• 제목/요약/키워드: Chow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2초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 혼합식이에 의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의 비만 억제효과 (Antiobese Effects of Diet Containing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서동주;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22-1527
    • /
    • 2009
  • 우리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및 혈장 지질 농도에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MPWEs) 혼합식이가 어떤 영향들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MPWEs 혼합식이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는 11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켰다. 마지막 6주 동안, 계속해서 고지방식이(HFD)만 섭취시키거나 고지방식이에 MPWEs(5 g/kg, HFD+MPWEs)이나 고지방식이에 orlistat[0.5 g/kg, HFD+orlistat(항비만 약)]을 섞어 섭취시켰다. HF-free군은 11주 동안 일반 식이를 섭취시켰다. 11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장 지질 수준, 몸무게, 간 무게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MPWEs를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몸무게, 간 무게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와 마찬가지로 혈장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혈당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혈장 중성지방 수준은 6주 동안 orlistat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HFD+orlistat)에서 현저히 낮았고 MPWEs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HFD+MPWEs)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군 마우스의 지방세포크기가 일반식이군의 그것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MPWEs와 orlistat(positive control)는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나 orlistat가 MPWEs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MPWEs 섭취는 몸무게 증가,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Induction of Forkhead Class box O3a and apoptosis by a standardized ginsenoside formulation, KG-135, is potentiated by autophagy blockade in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 Yao, Chih-Jung;Chow, Jyh-Ming;Chuang, Shuang-En;Chang, Chia-Lun;Yan, Ming-De;Lee, Hsin-Lun;Lai, I-Chun;Lin, Pei-Chun;Lai, Gi-M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247-256
    • /
    • 2017
  • Background: KG-135, a standardized formulation enriched with Rk1, Rg3, and Rg5 ginsenosides, has been shown to inhibit various types of cancer cell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explored its effects in A549 human lung cancer cells to investigate the induction of Forkhead Class box O3a (FOXO3a) and autophagy. Method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sulforhodamine B staining. Apoptosis and cell cycle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flow cytometry. The changes of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utophagy induction was monitored by the formation of acidic vesicular organelles stained with acridine orange. Results: KG-135 effectively arrested the cells in G1 phase with limited apoptosis. Accordingly, a decrease of cyclin-dependent kinase-4, cyclin-dependent kinase-6, cyclin D1, and phospho-retinoblastoma protein, and an increase of p27 and p18 proteins were observed. Intriguingly, KG-135 increased the tumor suppressor FOXO3a and induced the accumulation of autophagy hallmark LC3-II and acidic vesicular organelles without an increase of the upstream marker Beclin-1. Unconventionally, the autophagy adaptor protein p62 (sequestosome 1) was increased rather than decreased. Blockade of autophagy by hydroxychloroquine dramatically potentiated KG-135-induced FOXO3a and its downstream (FasL) ligand accompanied by the cleavage of caspase-8. Meanwhile, the decrease of Bcl-2 and survivin, as well as the cleavage of caspase-9, were also drastically enhanced, resulting in massive apoptosis. Conclusion: Besides arresting the cells in G1 phase, KG-135 increased FOXO3a and induced an unconventional autophagy in A549 cells. Both the KG-135-activated extrinsic FOXO3a/FasL/caspase-8 and intrinsic caspase-9 apoptotic pathways were potentiated by blockade of autophagy. Combination of KG-135 and autophagy inhibitor may be a novel strategy as an integrative treatment for cancers.

2차원 타원형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복합재료의 열팽창 계수 연구 (Study 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for Composites Containing 2-Dimensional Ellipsoidal Inclusions)

  • 이기윤;김경환;정선경;전형진;주상일
    • 폴리머
    • /
    • 제31권2호
    • /
    • pp.160-167
    • /
    • 2007
  • 이 논문은 하나의 좌표축과 하나의 종횡비$(\rho_\alpha=a_1/a_3)$를 갖는 2차원적 형태의 섬유 형태$(a_1>a_2=a_3)$ 그리고 디스크 형태$(a_1=a_2>a_3)$의 충전제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분석은 Eshelby의 equivalent 텐서의 일반적인 접근과 Lee와 Paul의 접근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 개발된 탄성 모듈러스의 전개 과정을 따른다. 배열된 등방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의 영향이 종횡비에 따라 조사되었다. 이 모델은 복합체를 해석하기 위해서 한쪽 방향으로 배열된 충전제이어야 하며, 균일한 물성의 기지재와 충전제가 완전한 결합을 하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연구된다.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는 배열된 종단방향$(\alpha_{11})$과 횡단방향$(\alpha_{33})$으로 조사되었다. Chow와 Tandon 그리고 Weng이 발표한 에폭시 수지와 유리 섬유의 복합체의 재료특성 데이터로부터 종횡비에 따른 열팽창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종횡비가 증가함에 따라 길이 방향의 열팽창 계수 $\alpha_{11}$는 감소하여 충전제의 열팽창 계수에 접근한다. 그러나, 횡단방향의 열팽창 계수 $\alpha_{33}$는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충전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는 감소하여 충전제의 열팽창 계수에 수렴한다.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Jo, You-Young;Seo, Sang Deog;Kim, Ji-Won;Cho, Hyun-Ji;Chon, Jeong-Woo;Lee, Kwang Gill;Lee, Heui-Sam;Park, Yoo-Kyoung;Kweon, Hae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2권2호
    • /
    • pp.80-89
    • /
    • 2016
  •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CT) extract on markers of osteoporosis were examined in ovariectomized rats. We classified 26 rats into five groups and provided a pellet chow diet and tap water throughout the 27-wk experimental period. During the last 15 wk, we added oral injections to each group as follows: sham-operated (SHAM, n=4) and ovariectomized-control (OVX, n=5) with distilled water, alendronate with 10 mg/kg/d of alendronate sodium (ALEN, n=5), CT (CT100, n=6) with 100 mg/kg/d of CT, and CT (CT300, n=6) with 300 mg/kg/d of CT.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blood, urine, and micro-CT images were assessed. The CT100 and OVX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rinary n-terminal telopeptide (NTx) (p<0.05 ), but with increases in CT concentration, the NTx level was slightly reduced. Serum osteocalc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T groups than in all other groups (p<0.05 ). Notably, the serum calcium levels of all group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but urinary calcium levels in the C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VX group (p<0.05 ). In addition, the CT groups exhibited higher trabecular BMD than the OVX groups while showing similar BMD to the ALEN group (p<0.05 ). The Tb.Th of the ALEN group was lower than all other groups.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of results, CT prevented bone loss by inhibiting bone resorption and enhancing bone formation. Although alendronate showed a similar effect in preventing bone loss, it did so by solely inhibiting bone resorption, and its long-term use reportedly causes paradoxical effects such as hip fractures. Thus, for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we conclude that CT extract is an effective natural treatment without severe side effects.

간에서 지방산 분할에 대한 지방산결합 단백질 5의 역할 (The role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Fabp5) in fatty acid partitioning in the liver)

  • 박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83-291
    • /
    • 2019
  • 간성 지방생성과 지방 대사에 있어서 FABP5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우스에 바이러스 입자를 이용하여 간에서 FABP5를 과발현 그리고 침묵시켜 이용하였다. 마우스에 서양식 또는 일반 사료를 1주일간 섭취시키고 24시간 동안 금식한 후 희생하였다. 간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웨스턴 블?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mRANA 분석에는 RT-PCR을 이용하였다. 간과 혈청의 지질 분석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다. 서양식이나 고농도 포화 지방식을 급식한 쥐에서 FABP5 발현이 높은 증가를 보였으나, FABP5 mRNA 발현은 급식에 비해 단식조건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FABP5를 과발현 시킨 상태에서 급식과 금식을 실시한 결과 간성 TG가 중요하게 증가하였다. 간성 유리 콜레스테롤은 급식상태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FABP5 발현 억제 시 간성 TG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결과들에서 보듯이, FABP5가 간지질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 상태 및 탄수화물 유도 조건에서 간성 TG 저장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FABP5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대사증후군, 비만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FABP5 발현에 어떤 전사인자가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설계강우량 산정을 위한 매개변수 추정방법 평가 (Evaluation of Parameter Estimation Method for Design Rainfall Estimation)

  • 김귀훈;전상민;장정렬;송인홍;강문성;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4호
    • /
    • pp.87-96
    • /
    • 2021
  • Determining design rainfall is the first step to plan an agricultural drainage fac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ether the current method for parameter estimation is reasonable for computing the design rainfall. The current Gumbel-Kendall (G-K) method was compared with two other methods which are Gumbel-Chow (G-C) method and Probability weighted moment (PWM). Hourly rainfall data were acquired from the 60 ASOS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stations across the nation. For the goodness-of-fit test, this study used chi-squared (𝛘2) and Kolmogorov-Smirnov (K-S) test. When using G-K method, 𝛘2 statistics of 18 stations exceeded the critical value (𝑥2a=0.05,df=4=9.4877) and 10, 3 stations for G-C method, PWM method respectively. For K-S test, none of the stations exceeded the critical value (Da=0.05n=0.19838). However, G-K method showed the worst performances in both tests compared to other methods. Subsequently, this study computed design rainfall of 48-hour duration in 60 ASOS stations. G-K method showed 5.6 and 6.4% higher average design rainfall and 15.2 and 24.6% higher variance compared to G-C and PWM methods. In short, G-K showed the worst performance in goodness-of-fit tests and showed higher design rainfall with the least robustness. Likewise, considering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design rainfall estimation, G-K is not an appropriate method for the practical use. This study can be referenced and helpful when revising the agricultural drainage standards.

고지방식이 유도 비알콜성지방간 마우스 모델에서 육신국(六神麯)의 지방간(脂肪肝) 개선효과 (Massa Medicata Fermentata improves fatty liver in high fat diet-f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s mouse model)

  • 노종성;이혜림;안예지;윤미정;신순식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31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erify the effects of Massa Medicata Fermentata (MMF)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using high fat diet-fed male mice. Methods : Fifty four male C57BL/6N mice (age matched) were used for all experiments. Nine standard chow diet-fed mice were used as normal group and forty five high fat diet-fed obes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atorvastatin-10mg/kg, MMF(1)-62.5mg/kg, MMF(2)-125mg/kg and MMF(3)-250mg/kg. After all groups were treated with several kinds of diets for 8 weeks, we measured body weight gain, adipose tissue weights, plasma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visceral organ weights, histological analysis for liver on the mice. Results : MMF-treated mice had lower body weight gain compared with controls. Among MMF-treated mice, the effect was magnified in MMF(2). MMF(3)-treated mice had lower blood plasma total cholesterol (TC) and glucose level compared with controls. MMF decreased hepatic lipid accumulation, liver fibrosis and liver inflammation of mice compared with controls. The effects was maximized in MMF(2) and atorvastatin. Blood plasm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amma}$-glutamyltransferase (${\gamma}$-GT) concentrations tends to be decreased by MMF compared with controls. Blood plasma AST, ALT, ${\gamma}$-GT concentrations and organ weights were not changed by MMF, indicating that all three kinds of MMF do not show any hepatotoxicit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MF improves NAFLD by reducing body weight gain, hepatic lipid accumulation, liver fibrosis, liver inflammation.

고지방식이 C57BL/6N 모델에서 강지환(降脂丸)의 농도별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개선효과 (Gangjihwan Improve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High Fat Diet-Fed C57BL/6N Mice)

  • 안예지;윤기현;조주흠;장두현;정양삼;김종훈;김병출;석화준;유재상;구자룡;윤미정;신순식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7-54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verify the effect of Gangjihwan(Di-fatty, DF) composed with Pakistani Ephedra Herba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using high fat diet-fed male mice. Method : Eight-week old C57BL/6N mice were used for all experiments. Standard chow diet-fed mice were used as normal group and high fat diet-fed NAFLD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groups: control, atorvastatin, DF(1), DF(2) and DF(3). After 8 weeks, mice were treated with water, atorvastatin(10mg/kg) and DF(40, 80, 160mg/kg) for 8 weeks. And we investigated body weight gain, plasma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histological analysis for liver on the mice. Results : Compared with controls, DF-treated mice had very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gain and lower visceral adipose tissue weight, the magnitudes of which were prominent in DF(3).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DF-treated mice had lower blood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 compared with controls.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and blood plasma lipid level, DF-treated mice had lower liver weight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of DF-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control group. Also Blood plasma AST, ALT and ${\gamma}$-GT concentration were not changed by DF, and these results may indicate DF do not show any toxic effec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 effectively improves NAFLD. DF reduces liver weight and prevents lipid accumulation of hepatocyte by reducing body weight gain and modulating blood plasma lipid metabolism levels.

콜레스테롤 식이 및 내막 손상을 통한 토끼 장골동맥 협착 전임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Rabbit Iliac Arterial Stenosis Model Using a Controlled Cholesterol Diet and Pullover Balloon Injury)

  • 민훈;이종호;이재환;김건영;윤창진;김민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72-380
    • /
    • 2024
  • 목적 콜레스테롤 식이 및 기계적 혈관 내막 손상 유발을 통한 토끼 장골동맥 협착 모델을 개발하고 서로 다른 내막 손상 방법에 따른 협착 유발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8마리의 토끼를 콜레스테롤 식이 후 풍선으로 당김 손상(pullover injury)을 가한 군(group A, 6마리), 콜레스테롤 식이 후 국소 확장 손상(localized balloon dilatation) 군(group B, 6마리), 일반 사료 식이 후 당김 손상을 가한 군(group C, 6마리)로 나누었다. 모든 군에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고 좌측 장골동맥에 직경 3 mm, 길이 10 mm의 비순응성(noncompliant)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당김 손상(group A, C) 또는 국소 확장 손상(group B)를 가하였다. 실험 시작 후 9주째 추적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혈관조영술상 장골동맥의 협착 정도(후기 내강 손실, 협착 비율)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A군이 9주째 추적 혈관조영술에서 가장 심한 후기 내강 손실을 보였고 32.02% ± 6.54%의 협착이 확인되었다(A군 vs. B군: 0.67 ± 0.13 mm vs. 0.04 ± 0.13 mm, p < 0.0001; A군 vs. C군: 0.67 ± 0.13 mm vs. 0.26 ± 0.29 mm, p < 0.05). B군에서는 혈관조영술상 협착이 1.75% ± 6.5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결론 콜레스테롤 식이 및 당김 손상 기법을 이용한 기계적 내막 손상이 토끼 장골 동맥에서 유의한 협착을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이 전임상 모델은 전임상 말초동맥 질환의 질병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운동빈도의 차이가 식이유도 운동알레르기 질환과 관련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hysical Frequency on Food-Dependent Exercise Induced Allergy Anaphylaxis (FDEIA) and Related Mechanisms)

  • 김철우;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97-90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적절하게 알레르기가 유발되는 운동강도인 50분간의 강도를 선정한 후 운동빈도를 서로 달리하여 통제 그룹(S) 저빈도 그룹(F2, 주2회), 중빈도 그룹(F3, 주 3회) 및 고빈도 그룹(F5, 주5회)으로 나누어 훈련을 부여하고 OVA알부민으로 감작한 후 OVA로 challenge를 하였을 때,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의 변화 양상 차이를 살펴보고 동시에 기전변화를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그룹당 25마리씩 통제군(S; control sensitized, n=25), 저빈도 훈련군(F2, n=25), 중빈도 훈련군(F3, n=25) 및 고빈도 훈련군(F5, n=25)으로 구분하여 수영훈련 빈도에 따른 알레르기를 유도하였을 때, 알레르기 아나플락시스를 조사하고 아울러 비장지수, 림프구의 수, 복강 ROS, ASAS, 및 싸이토카인(INF-${\gamma}$, IL-4)의 변화를 함께 측정하였다. 이 때, 알러지 아나플락시스 테스트는 그룹당 10마리를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세포분석과 ROS 측정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일반 감작군에 비하여 운동 감작군에서 알러지가 더 잘 유도됨을 알 수 있었고, 같은 운동강도 부여시 저빈도의 운동군에 비하여 고빈도 운동군에서 알러지 반응이 더 잘 일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고빈도 운동군에서 현저히 증가되는 IL-4 반응과 ASAS 반응으로 알 수 있었고, 특히 이러한 반응이 고빈도 운동그룹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ROS 반응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저빈도 그룹에서는 오히려 INF-${\gamma}$의 증가와 ROS 반응이 감소하였고, ASAS 반응이 통제군보다 오히려 줄어들어 운동의 빈도가 알레르기반응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요구되며, 알레르기 반응의 cross training 및 detraining 효과도 함께 규명 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