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ngsim Yonja Ta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 활용(活用)에 대(對)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 (A Clinical study of Taeumin Chongsim Yonja Tang)

  • 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35-252
    • /
    • 1998
  • 1. 연구배경 및 목적 : 태음인(太陰人) 신방법(新定方)의 하나인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의 효능(效能)과 활용(活用)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연구(硏究)를 통하여 사상체질병증(四象體質病證)의 이해(理解)와 방제(方劑)의 운용(運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방법 :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1년간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체질의학클리닉에 내원(來院)한 환자를 중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이 20점(貼) 이상 투여되고 경과관찰(經過觀察)이 가능(可能)했던 125명(남자 62명, 여자 63명)을 대상으로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이 투여된 환자(患者)의 특성(特性), 치료효과(治療效果), 부작용(副作用)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3. 결과 : 태음인(太陰人)의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은 남녀(男女) 구별없이 20세 이상의 전 연령층(年齡層)에서 사용되었으며, 대상환자(對象惠者)들의 주소증(主訴症)은 수족비(手足痺), 두통(頭痛), 피로(疲勞) 등 60 종류였다. 치료효과(治療效果)의 분포는 호전(好轉)(60.8%), 우수(優秀)(15.2%), 별무변화(別無變化)(24.0%)였으며 악화(惡化)는 없었다. 전신상태의(全身狀態)의 특징으로는 설태(舌苔)가 백태(白苔) 또는 황태(黃苔)를 띠거나 수면(睡眠)에 장애(障碍)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처방(處方)을 활용(活用)할 때는 다른 치료법이나 처방의 변경없이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만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병증(病症)에 따라 2~3 종류(種類)의 약물(藥物)을 가미(加味)하여 사용하였다.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의 치료효과(治療效果)에는 질환(疾患)의 이환기간(罹患期間), 치료기간(治療期間), 투여량(投與量)등이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부작용(副作用)으로는 설사(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등이 있었다.

  • PDF

말기위암환자의 복통에 태음인 청심연자탕을 투여한 증례 (A case about the patient prescribed Taeumin Chongsim Yonja Tang, suffered abdominal pain with terminal gastric cancer)

  • 서웅;송정모;김혜원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0
    • /
    • 2000
  • For many patients suffered from a terminal cancer, the best care is to extend a period and improve a quality of life. So that the pain, a major symptom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should be effectively controled. Otherwise it causes anorexia, nausea, vomiting, general weakness, loss of body weight, insomnia and becomes worse the condition of patients. The case is a report about a patient diagnosed as terminal gastric cancer and suffered abdominal pain. The patient was treated by Taeumin Chongsim Yonja Tang and the abdomnal pain decreased. This report described the process and contents about the way the patient was cu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