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lorophyll Content

Search Result 1,19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imary Production System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II.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Phytoplankton in Relation to Chlorophyll Maximum Layer

  • Shim, Jae-Hyung;Park, Jong-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1권4호
    • /
    • pp.196-206
    • /
    • 1996
  • Vertical profiles of the chlorophyll ${\alpha}$, phytoplankton abundance, nutrients and sigma-t were compared with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species in conjunction with $^{14}$C primary production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Korea. In the upper mixed layer the water column was only weakly stratified and ambient nitrogenic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markedly depleted. Dissolved silicate seemed to be another limiting nutrient in the surface layer. The occupation of different water depths by several dominant diatom species was well explained by the degree of silicification of each cell and the silicate concentration of ambient seawater.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were continuously observed in the lower parts of the euphotic layer and the depth coincided with nutricline, supporting our view that chlorophyll maximum was sustained partially by enhancement of in situ growth of phytoplankton and partially by increase of cellular chlorophyll content. The persistence of chlorophyll maximum layer was attributed to the physiological adaptation of the phytoplankters to low light intensities and to the utilization of regenerated nutrients. Integrated water column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by photosynthesis appeared to be better related to phytoplankton cell division than to the cell growth in terms of biosynthesis of pigments and other intracellular components.

  • PDF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에 대한 보리의 품종간(品種間) 반응차이(反應差異) (Response of Barley Cultivars to Butachlor, Terbutryn, and Methabenzthiazuron)

  • 변종영;김태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0-104
    • /
    • 1983
  • 보리 피맥(皮麥) 8품종(品種) 과맥(稞麥)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1. Butachlor는 표준 추천약량인 147g/10a에서 모든 품종(品種)은 약해(藥害)를 받지 않았으나 2 배량 이상의 수준에서 피맥(皮麥)의 올보리, 동보리 1호와 강보리에서 약간의 약해 증상을 나타냈다. 2. Terbutryn에 대한 약해 반응은 피맥품종(皮麥品種)보다 과맥품종(稞麥品種)에서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표준 처리약량인 175 g/10 a에서 피맥품종(皮麥品種)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과맥품종(稞麥品種)중에서 이리 4호는 약간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terbutryn 350g/10a에서 피맥품종(皮麥品種)의 동보리, 부호보리와 부농보리는 다소 심한 약해를 보였고, 과맥품종(稞麥品種)의 방사 6호, 광성, 논산과 1~6 호와 이리 4호는 심한 약해를 나타냈다. 3. Methabenzthiazuron은 표준약량인 245g/10a에서 모든 품종은 약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2배 이상의 수준에서도 피맥(皮麥)은 약해를 받지 않았으나 과맥(稞麥)의 광성, 방사 6호와 논산과 1~6호는 경미한 약해를 보였고 이리 4 호는 심한 약해 증상을 나타냈다. 4. Butachlor, terbutryn과 methabenzthiazuron의 표준 추천량에서 보리의 건물중(乾物重)은 감소되지 않았으나 terbutryn은 추천량의 2배 수준인 350g/10a 이상에서 건물중(乾物重)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특히 과맥품종(稞麥品種)은 피맥품종(皮麥品種)에 비하여 그 경향은 더욱 심하였다. 5 피맥(皮麥)의 오월보리, 동보리 1 호, 조강보리와 과맥(稞麥)의 백동, 방사 6호와 광성은 butachlor 처리에 의하여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약간 감소된 경향이었다. 오월보리, 올보리와 논산과 1~6호의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terbutryn 175g/10a 처리에 의하여 약간 감소되었으나 추천량의 2배인 350g/10a 이상의 수준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현저히 감반되었으며 특히 과맥품종(稞麥品種)에서 그 경향은 더욱 현저하였다. methabenzthiazuron을 처 리 하였을 때는 피맥(皮麥)의 조강보리, 동보리 1호와 오월보리, 과맥(稞麥)의 백동, 광성과 논산과 1~6 호에서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은 약간 감소되었다.

  • PDF

SO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의 선발(選拔)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研究) - I. 엽조직(葉組織) 실험(實驗) - (A Study on Selection of SO2 Resistant Tree Species - I. Leaf Disk Experiment -)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23-228
    • /
    • 1988
  • $SO_2$에 대한 내성수종(耐性樹種)을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6수종(樹種)(등나무, 일본목련, 찔레, 튜울립나무, 아까시, 단풍나무)의 엽조직(葉組織)(직경(直徑) 6mm, 50개(個))을 $H_2SO_4$, $H_2SO_3$$Na_2SO_4$를 증류수로 묽혀 농도별(濃度別)(0, 25, 50, 100 및 250 ppm stoichiometric $SO_2$ concentration) 용액(溶液) 25ml에 띄워 실온(室温)에서 1,500 Lux(fluorescent lamp)하에서 20시간 처리한 후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과 처리용액(處理溶液)의 산도변화(酸度變化)를 측정(測定)하였다. 총엽록소함량(總葉綠素含量)은 처리전(處理前)에 비해 처리후(處理后)에 감소했으며, 급원(給源)$H_2SO_3$에서 가장 심하고 다음으로 $H_2SO_4$, $Na_2SO_4$의 순이었다.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의 감소율(減少率)은 대체로 단풍나무, 일본목련 및 등나무에서는 크게 나타났고, 찔레, 튜울립나무 및 아까시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엽록소함량의 감소율은 잎의 $SO_2$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처리용액(處理溶液)의 산도(酸度)는 대체로 처리후(處理后)에 낮아졌으며, 이는 처리중(處理中)에 세포질누출이 있었음을 나타낸다. 처리전후(處理前后)의 용액(溶液)의 산도변화(酸度變化)는 수종별(樹種別)로 엽육발달정도(葉肉發達程度), 조직내(組織內) 산도유지기작(酸度維持機作) 및 완충능(緩衝能)이 상이하므로 $SO_2$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는 지표(指標)로 이용(利用)하기는 부적당하다고 보여 진다.

  • PDF

임분 조건이 다른 환경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Carpinus cordata) 유목의 양분 이용 특성 (Nutrient Use Strategy of Carpinus cordata Saplings Growing under Different Forest Stand Conditions)

  • 권보람;허남준;신호용;김현석;박필선;이명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8-196
    • /
    • 2014
  • 경기도 광릉의 국립수목원 내의 토양과 빛 환경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하층식생으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자원의 획득과 이용 및 분배를 이해하기 위하여, 잎의 질소와 인 농도의 계절 변화와 재전류, 엽록소와 LMA를 조사하였다. 엽면적 지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낙엽활엽수림은 유입되는 광량이 많았고, 전반적인 토양 양분의 수준이 양호하였으나, 유효인산의 농도는 전나무림의 1/3 수준으로 현저히 낮았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의 경우, 잎의 인 농도가 전나무림의 까치박달 보다 연중 낮았고, 재전류율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 내 질소 농도는 상대적으로 낙엽활엽수림에서 높았으나, 계절별 잎의 질소농도와 질소의 재전류율은 임분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빛의 유입이 적은 전나무림에서는 까치박달의 LMA와 엽면적당 질소 분배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또한 엽록소 a/b율은 낮고, 총 엽록소 함량은 높여 질소에 대한 엽록소의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임분 조건이 서로 다른 낙엽활엽수림과 전나무림에서 생육하는 까치박달이 주어진 토양과 빛 환경에 순응하여 양분의 동태와 분배의 전략적 차이를 달리하여 생육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 Study on Chlorophyll Estimating Algorithm in Kwangyang bay Using Satellite Images

  • Jo, Myung-Hee;Suh, Young-Sang;Kim, Byoung-Su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49-255
    • /
    • 1999
  • Water pollution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in the populous cities and coastal areas near industrial complex. Sometimes, phytoplankton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the coastal environment. Phytoplankton is easily estimated by measuring chlorophyll content in the laboratory. In this study, to build up estimating algorithm of the chlorophyll amount related to the monitoring of coastal environments in Kwangyang bay, the correlationship the respective in situ observed data with Landsat TM and SeaWiFS satellite Image was analyzed. It showed that Landsat TM band 3 image has the highest correlationship with observed data, and based upon this result the monitoring algorithm of chlorophyll in coastal area was extracted. This algorithm will be an important for extracting and controlling environment elements in coastal areas in the future. And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has established a spatial data construction in which satellite image alone could monitor the coastal environment.

  • PDF

오존처리에 의한 미국 사시나무의 엽록소 분해 (Ozone-Induced Chlorophyll Degradation in Populus tremuloides Michx. Foliage)

  • 신동일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3
    • /
    • 1996
  • 미국사시나무(Populus tremuloides)의 삽목개체에 오존이 엽록소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오존은 일일 6시간씩, 주 3일간 연속적으로 open-top chamber에서 fumigation 하였다. 오존처리는 괴사반점과 광범위한 chlorosis 등 잎 조직에 심각한 상해를 발생시켰다. 오존처리에 의한 엽록소의 분해는 완전히 성숙한 잎에서 현저하게 관찰되었으나 어린 잎에서는 분해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오존처리에 대한 엽록소의 반응은 실험 전 기간에 걸쳐 모든 실험대상식물에 있어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clone 별로 오존 민감성에 따라 엽록소함량의 변화에 상당한 유전적 변이를 보였다.

  • PDF

차광정도가 산마늘의 생육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Makino)

  • 박병모;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1-285
    • /
    • 2012
  • 본 연구는 쌈채 및 강장제로 이용되고 있는 산마늘을 조경용 지피식물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 정도를 30%, 50%, 80%로 처리하여 생육 특성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엽수는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80% 차광 처리구가 각각 16.8cm, 10.1cm로 무처리구의 13.4cm, 7.3cm에 비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가 차광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기구가 8.5g인데 비해 80% 차광 처리구가 0.4g로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50% 차광 처리구가 42.8, 80% 차광 처리구가 40.5로 무처리의 36.7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차광 수준에 따른 산마늘의 생육 특성은 80% 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질처리에 따른 벼 유묘 출현, 생육 및 광합성 (Effect of Light Quality on Seedling Emergence,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Rice)

  • 김영광;강진호;전병삼;최진용;김종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60-464
    • /
    • 2003
  • 본 연구는 벼 종자의 파종 후 발아, 유묘출현 및 생육 초기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가 유묘 출현, 생장, 형태,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벼의 육묘에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의 색상을 전환할 필요가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직후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에서 유묘출현율은 조사일 모두 일미벼에서는 광질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동진벼와 대산벼에서는 원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낮았으며, 청색광과 적색광간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2. 파종 직후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로 인하여 원적색광 처리에서 초장과 엽장이 가장 짧았던 반면, 적색광은 뿌리수를 증대시켰다. 3. 파종 직후에 가하여지는 광질처리로부터 지상부 건물중은 청색광 처리에서, 뿌리의 건물중은 적색광 처리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지상부 및 뿌리 건물중 모두 원적색광에서 가장 적었다. 4. 엽록소 함량과 광합성율 모두 품종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나, 광질처리에서는 이들 모두 적색광에서 가장 높고, 청색광, 원적색광 순으로 감소하였다.

차광처리에 따른 수리취의 광합성 관련 특성 변화 (Changes of Characteristics Related to Photosynthesis in Synurus deltoid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 이경철;노희선;김종환;안수용;한상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20-330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hlorophyll contents, chlorophyll fluorescence, photosynthetic parameters, and leaf growth of Synurus deltoid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S. deltoides was grown under non-treated (full sunlight) and three different shading conditions (Shaded 88~93%, 65~75%, and 45%~55%). Light compensation point ($L_{comp}$), dark respiration ($D_{resp}$), maximum photosynthesis rate ($Pn_{max}$), photo respiration rate ($P_{resp}$), carboxylation efficiency ($\Phi_{carb}$), and photochemical efficiency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shading level; However, $CO_2$ compensation point ($CO_{2\;comp}$), total chlorophyll content, and specific leaf area (SLA) were shown the opposite trend. S. deltoides under 88~93% treatment showed the lowest photosynthetic activity such as maximum photosynthetic rate ($Pn_{max}$), photochemical efficiency, and $CO_2$ compensation point ($CO_{2\;comp}$). Therefore, photosynthetic activity will be sharply decreased with a long period of 8~12% of full sunlight. With the shading level decreased, carotenoid content and non-photochemical fluorescence quenching (NPQ) increased to prevent excessive light damage. This result suggested that growth and physiology of S. deltoides adapted to high light intensity through regulating its internal mechanism.

Effects of commercial soils on germination, early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of Aspilia africana, a medicinal plant

  • Okello, Denis;Komakech, Richard;Kim, Yong-Goo;Rahmat, Endang;Chung, Yuseong;Omujal, Francis;Kang, Youngm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115-122
    • /
    • 2021
  • Aspilia africana (Pers) C.D.Adams, a plant used for centuries in many African countries to treat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malaria, tuberculosis, and diabetes, is of great pharmaceutical interest, yet there is limited scientific literature on its germination and growth. This research paper describes the effects of different commercial soils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of A. africana. The germination parameters assessed included final germination percentage (FGP), mean germination time (MGT), and germination index (GI). Shoot length, leaf number, and fresh and dry weights were some of the parameters used to assess A. africana growth. The FGP was low and did not vary significantly; the MGT was 7 ~ 10 days; and the G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PS soil at 4.61 ± 0.332 days. Aspilia africana plants in HS:PPS soil showed the best overall growth, producing the highest mean leaf number (18.00 ± 1.129), longest mean shoot length (202.43 ± 13.451 mm), and highest mean fresh and dry weights (7.08 ± 1.061 g and 0.629 ± 0.112 g, respectively).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t in leaves of A. africana under HS:PPS conditions suggested a higher photosynthetic potential of plants in this soil. The best growth performance of A. africana in the HS:PPS soil could be attributed to a higher amount of certain mineral nutrients such as nitrogen, potassium, and phosphorus in the HS:PPS soil compared to the other soil categories. It is unclear why the FGP of A. africana was low and we recommend an exclusive study to investigate this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