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loroform fraction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32초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 분획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Nandina domestica Fruits)

  • 서수정;심규봉;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71-1377
    • /
    • 2011
  • 남천(Nandina domestica) 열매를 물과 에탄올 추출 후 극성이 상이한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폴리페놀은 EE(ethyl acetate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922.22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는 EB(butanol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 282.49 mg/g을 함유하였다. WA(aqueous of water extract)와 EH(n-hexane fraction of ethanol extract)는 0.1 mg/mL에서 93% 이상의 전자공여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의 농도 증가에 따른 전자공여능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EA(aqueous of ethanol extract)에서 56.36%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H와 EC(chloroform fraction of ethanol extract)에서도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pH 1.2의 EC에서 82.03%로 가장 높았다. Xanthine oxidase 저해율은 0.5 mg/mL에서 WE를 제외한 모든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나, WE는 46.75%로 가장 우수한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남천 열매 분획물은 다량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생리활성 효과가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 제재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지닌 약용 식물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대황 모상근 추출물의 세포독성

  • 황성진;표병식;나명석;박돈희;황백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53-456
    • /
    • 2001
  • 배양된 대황으로 모상근으로부터 추출한 물질에 대한 분획별 신장상피세포에 있어서의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l 수층과 클로로포름 층으로부터 얻은 대황 모상근 추출물모두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증가하였다. 2. 클로로포름층으로부터 얻은 대황 모상근 추출물이 수층으로부터 얻은 대황 추출물보다 세포에 미치는 독성이 크게 나타났다. 콜로로포름층 분획의 $MTT_{50}$, $NR_{50}$, $SRB_{50}$은 각각 289.3 ${\mu}g/ml$. 302.7 ${\mu}g/ml$. 433.8 ${\mu}g/ml$ 이었고, 수층 분획물의 $MTT_{50}$, $NR_{50}$, $SRB_{50}$은 각각 475.8 ${\mu}g/ml$. 428.3 ${\mu}g/ml$. 549.5 ${\mu}g/ml$ 이었다. 3. 세포독성 측정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수층 분획의 경우 NR정량법에서 클로로포름 층 분획의 경우 MTT정량법에서 독성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목향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ssurea lappa)

  • 송진욱;민경진;차춘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5-61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ies of Saussurea lappa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functional food. The methanol extract of Saussurea lappa was fractionated with five solvents (hexane, chloroform, EtOAc, BuOH, water) and examined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in addition to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human cancer cell (HT-29, SNU-1, HeLa).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s were higher in EtOAC fraction than other fractions. Also,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over 90% at $500{\mu}g/ml$ (93.1 %) and $1000{\mu}g/ml$ (94.3%). The hexane fraction revealed stronger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an the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and its abilities were 22.4% and 42.8% at $500{\mu}g/ml$ and $1000{\mu}g/ml$, respectivel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had similar tendency to electron donating ability. The EtOAc fraction showed high inhibition to xanthien oxidase activities at $500{\mu}g/ml$(81.9%) and $1000{\mu}g/ml$(90.4%). In the antitumor activity test, the hexane fraction exhibited potent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HT-29, SNU-1 and HeLa cells. Therefore, we believe that Saussurea lappa can be developed into a functional food with antioxidant activity.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for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of Saussurea lappa to develop them into therapeutic supplements for stomach cancer, colon cancer, and cervical cancer.

식용 버섯류의 도파민 베타 수산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Dopamine ${\beta}-Hydroxylase$)

  • 황금희;김현구;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4-197
    • /
    • 1997
  • 식용버섯류 중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용버섯류에 대한 생리활성 검색의 일환으로 영지, 양송이, 표고 등 3종의 버섯을 대상으로 dopamine ${\beta}-hydroxylase(DBH)$에 대한 저해활성을 tyramine을 기질로 하여 검색하였다. 각 버섯들의 DBH에 대한 저해활성은 영지버섯은 클로로포름 분획에서 100% 이상의 현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표고와 양송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각각 79.7%라 64.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버섯류의 각 용매분획에 대하여 DBH 저해활성을 검색하여 각 분획의 $IC_{50}$을 구하고 용매분획 총량의 specific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영지버섯의 클로로포름분획의 $IC_{50}$$1.60{\times}10^{-4}\;g$으로 DBH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양송이와 표고버섯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IC_{50}$$5.50{\times}10^{-4}\;g,\;2.35{\times}10^{-4}\;g$으로 각각 검색되었다.

  • PDF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 이경석;김민규;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2-1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70\%$ ethanol로 추출한 추출수율은 $8.16\%$였으며 이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한 수율은 butanol층이 $36.1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극성이 높을수록 높은 분획수율을 나타내었다. 분회물간 총 페놀함량 측정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총 페놀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BHA, BHT와 비교한 결과 BHA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BHT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TBA가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 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BHT보다도 활성이 떨어졌으나 이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단일물질로 분리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malonaldehyde 이외 다른 성분이 BHA와 반응하여 발색한 것으로 추측되어 졌다. AV와 POV 측정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ethyl acetate 분획물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HT에 비해서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치즈 및 된장에서의 쓴 맛 펩타이드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ter Peptides from a Cheese and a Soybean Paste)

  • 김수호;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6-282
    • /
    • 1985
  • 단백발효식품에서의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시료로부터 소수성 펩타이드를 2 1(v/v)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하였다 이 중 모짜렐라치즈와 된장으로부터 얻은 쓴맛 텝타이드 추출물을 다시 Sephadex C-25 겔 크로마토그라피한 결과 분획 I II, III을 얻었는데 이들 시료 자체와 각각의 크로마토그라피 분획을 구성하고 있는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평균소수도를 계산하였다. 시료들 자체는 쓴 맛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용매로 추출된 소수성 펩타이드 분획은 강한 쓴 맛을 나타내었다. 시료의 용매추출 수율은 총 질소 함량의 0.08내지 62.50%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짜렐라치즈 질소물의 평균 소수도는 1.376cal/mole, 용매추출 분획은 1.623cal/mole. 젤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은 1,797cal/mole, 분적 II 는 2,454cal/mole, 분획 III은 1,559cal/mole 이었다. 된장의 경우 된장 자체, 용매추출 분획, 겔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 II, III의 평균소수도는 각각 1,229. 1,654, 1900, 2016, 998cal/mole 이었다. 쓴맛 펩타이드에서 중요한 아미노산을 leucine, Phenylal anine. p-roline, valine으로 나타났다.

  • PDF

삼나무 흑심재 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s from Black Heartwood of Cryptomeria japonica against Dermatophytes)

  • 이수연;곽기섭;이전제;여환명;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65-273
    • /
    • 2009
  • 본 연구는 삼나무 부위별 추출물들의 피부사상균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 Microsporum gypse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진균 활성의 평가는 디스크확산법과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였고 활성 성분의 주성분을 확인하기 위해 GC/MS 분석을 실시하였다. 항진균 활성은 삼나무의 정상재와 흑심재 중 흑심재의 심재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활성 성분은 n-hexane과 chloroform를 전개용매로 이용하여 TLC를 실시하였다. TLC를 통해 분리된 활성 성분들에 대해 다시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7번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획물에 대하여 GC/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탄소개수 13개를 가지는 damascone에 탄소 2개가 더해진 sesquiterpene으로 예상되었다. 이밖에 elemol, eudesmol, hinokione 등도 검출되었다.

대두식품 지질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지질성분분석 (Cytotoxic Effects and Components of Lipid Fractions from Soybean Products on Cancer Cell Lines)

  • 송성광;김광혁;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66-1271
    • /
    • 2001
  • 대두식품들로부터 추출한 지질분획들이 사람의 K562 백혈구암세포, mouse의 Yak1 백혈구암세포 및 S180 고형암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 효과를 MTT assay법으로 조사하였다. 대두, 비지 및 된장의 총지질을 chloroform/methanol(2 : 1) 및 물포화 butanol로 추출하고 20배 용량의 acetone을 가하여 아세톤상층액(AS 획분) 및 아세톤침전물(AP 획분)을 얻었다 된장지질의 AS 획분 및 AP 획분이 실험에 사용한 K562, Yac1 및 S180암세포에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일으켰으며 비지 의 AS 및 AP 획분 역시 된장보다는 약하지만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나 대두의 지질획분들은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된장지질의 AS 및 AP분획의 지질조성을 보면 대두 및 비지에 비하여 많은 양의 유리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지질획 분들을 0.4 N KOH/methanol로 약알카리 분해하고 silica gel TLC로 분석한 결과, 된장의 지질획분에서는 대두 및 비지에서 보이지 않았던 알카리에 안정하고 ninhydrin에 양성인 물질들이 여러개 나타났으며 이들은 유리 sphingoid base 및 psycusin으로 추정되었다.

  • PDF

유근피(楡根皮) 추출물의 유방암 세포주 MCF-7 생장 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Ulmi Pumilae Cortex Extracts on MCF-7 cells)

  • 조성희;조수인;나원민;양승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44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Ulmi Pumilae Cortex Extracts(UPCE) on MCF-7(human, breast, adenocaecinoma) and NIH3T3 (human, murine, fibroblast). Methods: MCF-7 cells and NIH3T3 cells were cultured and seeded in cell culture plates, respectively. UPC was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it into five type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soluable fractions. These five different fractions from UPCE were tested for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CF-7 cells and NIH3T3 cells by MMT assay. Results: Among the five solvent-fractions of UPCE, n-hexane fraction and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a strong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CF-7 cells but they displayed significant cytotoxicity on NIH3T3 cells, too. On the other hand, chloroform fraction showed a marked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CF-7 cells and low cytotoxicity on NIH3T3 cells. Conclusion: Chloloform fraction from UPCE showed selective anti-cancer activities on human breast cancer cell MCF-7 relatively to the other fra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