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sondamin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1초

가토에서 혈압에 관여하는 약물의 작용에 대한 니페디핀의 영향 (Effect of Nifedipine on the Action of Drug Participating in Blood Pressure in Rabbits)

  • 고석태;정창주;김해석
    • 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79-389
    • /
    • 199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fedipine, $Ca^{+2}$ channel antagoninst, on the action of some drugs participating in blood pressure, this experiment was peformed in rabbits. Nifedipine decreased the pressor actions of norepinephrine, angiotensin and carotid artery clamping, but did not affect the pressor actions of tyramine and depressor actions of acetylcholine and pilocarpine. Nifedipine inhibited the potentiated pressor action of norepinephrine and angiotensin, but did not influence the potentiated pressor action of tyramine in rabbits pretreated with chlorisondamine, ganglionic blocking agent. Nifedipine weakened the potentiated pressor action of norepinephrine, did not affect the pressor action of angiotensin and the potentiated pressor action of tyramine in rabbits pretreated with debrisoquine, sympathetic neuronal blocking agent.

  • PDF

교감신경계, Renin-Angiotensin계, Vasopressin계의 차단이 혈압 및 Norepinephrine, Angiotensin II 및 Vasopressin의 승압효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lockade of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nin-Angiotensin System, and Vasopressin System on Basal Blood Pressure Levels and on Pressor Response to Norepinephrine, Angiotensin II, and Vasopressin)

  • 정행남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74
    • /
    • 1992
  • 마취가토에서 혈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교감신경계, renin-angiotensin계, vasopressin계를 차단하였을때의 혈압자체의 변동과 norepinephrine (NE), angiotensin II (AII) 및 vasopressin (VP)의 승압효과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교감신경계와 renin-angiotensin계의 차단에는 각각 교감신경절 차단약인 chlorisondamine (CS)과 pirenzepine (PZ), angiotensin 변환효소억제약인 enalapril (ENAL)를 사용하였다. VP계의 차단에는 혈장 VP농도를 하강시킴이 알려져 있는 kappa opioid 수용체의 작용약인 bremazocine (BREM)을 사용하였다. CS (0.4mg/kg), ENAL (2mg/kg), BREM (0.25mg/kg)은 각각 비슷한 정도의 저혈압상태를 일으켰다. BREM에 의한 저혈압은 VP와 같은 효과를 가진 합성약인 desmopressin으로 유의하게 길항되었으며 BREM에 의한 저혈압이 적어도 일부 혈장 VP농도의 하강과 관계있음을 시사하였다. CS는 ENAL 또는 BREM으로 하강된 혈압을, ENAL은 CS 또는 BREM으로 하강된 혈압을, BREM은 CS 또는 ENAL로 하강된 혈압을, 더욱 하강시켰다. CS, PZ 그리고 ENAL 또는 CS, PZ 그리고 BREM에 의한 저혈압은 CS이외의 세약물에 의한 저혈압보다 심하였다. CS는 NE에 의한 승압효과 뿐만아니라 AII와 VP의 승압효과도 강화시켰다. AII의 승압효과는 또 ENAL과 BREM으로도 증대되었다. VP의 승압효과는 BREM으로도 강화되었다. ${\alpha}$-수용체의 길항약인 phentolamine과 phenoxybenzamine은 AII와 VP승압효과를 강화시켰다. 3승압계 차단이 혈압자체에 미치는 실험결과는 3계가 모두 혈압조절에 관여하고 그 중에서도 교감신경계가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 한 승압계의 차단하에서, 그 계의 승압 hormone 뿐만아니라 다른 계의 승압 hormone의 승압효과도 증대됨은 이 3승압계가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증거이다.

  • PDF

흰쥐 적출 부신에서 Metoclopramide의 Catecholamine 분비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Evoked by Metoclopramide of the Rat Adrenal Gland)

  • 임동윤;김규형;최철희;유호진;최동준;이은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42
    • /
    • 1989
  • Metoclopramide (MCP)는 역류성식도염, 위하수증, 항암제에 의한 구토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dopamine수용체 차단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의 적출 관류부신에서 catecholamine (CA)의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CP는 부신정맥내로 주입하였을때 용량의존적으로 CA 분비작용을 나타냈다. 이러한 MCP의 CA 분비작용은 atropine 전처치로 차단되었으나 chlorisondamine 처치에 의해서는 완전 차단되지 못하였다. MCP 분비작용은 physostigmine, adenosine, ouabain의 전처치로 현저히 증강되었다. 그러나 5mM-EGTA 함유 $Ca^{++}-free\;Krebs$ 액으로 관류하였을때 MCP의 CA 분비작용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MCP (200 ug/30 min)를 관류한 실험에서는 KCI이나 acetylcholine의 CA 분비작용이 유의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MCP는 칼슘의존적기전에 의해 CA를 유리 시키며, 이러한 분비작용은 부신에서 nicotine수용체 보다도 muscarine수용체의 활성화에 더 기인 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chromaffin cell에 대한 일분 직접작용도 개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파낙사디올의 가토적출부신의 카테콜아민 분비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evoked by Panaxadiol in the Isolated Rabbit Adrenal Gland)

  • 임동윤;박규백;김규형;최철희;배재웅;김무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42
    • /
    • 1988
  • 본 연구에서 한국산 인삼의 활성성분의 하나인 Panaxadiol(PD)에 대한 가토적출부신에서 카테콜아민(CA)의 분비작용과 작용기전을 파악하고자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D(400{\mu}g)$을 가토적출부신에 투여하였을 때 카테콜아민의 분비를 의의있게 증가시켰다. PD의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atropine 처치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Physostigmine 전처치시 PD 뿐만 아니라 Ach의 CA 분비작용은 뚜렷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chlorisondamine 전처치로 PD나 Ach의 분비 효과는 억제되었다. 또한 $PD(400{\mu}g/30\;min)$을 주입한 후에 Ach의 CA 분비 효과는 오히려 강화되었다. PD나 Ach의 작용은 adenosine 전처러시 현저히 증강되었다. EGTA(5mM)와 함께 Ca-free Krebs액으로 30분 주입한 경우에 Ach의 분비작용은 거의 전적으로 차단되었으며, PD의 작용도 약화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PD는 가토적출부신에서 $Ca^{++}$ 의존적으로 CA분비를 증가시키며, 이러한 작용은 cholinergi muscarinic 및 nicotinic receptor의 흥분작용에 기인하며, chromaffincell 대한 일부 직접작용도 개재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관류부신에서 Histamine 수용체 활성화가 Catecholamine 분비작용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staminergic Receptor Activation on Catecholamine Secretion in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

  • 임동윤;노상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3-55
    • /
    • 1993
  • 흰쥐 관류부신에서 histamine의 catecholamine (CA) 분비작용의 특성과 기전을 규명코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Histamine $(37.5{\sim}150\;{\mu}g)$을 부신정맥내에 주사 하였을 때 현저한 용량 의존성의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istamine $(150\;{\mu}g)$을 120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시 제 3차 투여시부터는 CA 분비효과가 뚜렷이 감소하였다. 즉, histamine의 반복투여로 인한 반응급강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Histamine의 CA 분비작용은 chlorisondamine, diphenhydrarmine, ranitidine, $Ca^{++}-free$ Krebs 용액의 관류, nicardipine 및 TMB-8 등의 전처치로 유의하게 억제 되었으나 pirenzepine의 전처치에 의해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더우기 histamine $(6.8{\times}10^{-5}M)$으로 30분간 관류시킨 후에 ACh $(50{\mu}g)$의 CA 분비작용이 상당히 억제됨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histamine은 흰쥐 적출관류 부신에서 현저한 CA 분비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칼슘 의존성이었다. 이러한 CA 분비작용은 $H_1-$$H_2-$ 양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해서 일어나며 또한 부신의 nicotine 수용체와도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파낙스디올의 가토적출부신의 카테콜아민분비 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Evoked by Panaxadiol in the Isolated Rabbit Adrenal Gland)

  • 임동윤;박규백;김규형;최철희;차종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55-62
    • /
    • 1988
  • 본 연구에서 한국산 인삼의 활성성분의 하나인 panaxadiol(PD)의 가토적출분신에서 카테콜아민(CA)의 분비작용과 작용기전을 파악하고자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D($400\;{\mu}g$)을 가토적출부신에 투여 하였을 때 카테콜아민의 분비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PD의 이러한 CA분비작용은 atiropine처리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Physostigmine 처리시 PD뿐만 아니라 Ach의 CA 분비작용은 뚜렷이 증가 되었다. 그러나 chlorisondamine처리로 PD나 Ach의 분비효과는 억제되었다. 또한 PD($400\;{\mu}g$/30min)을 주입한 후에 Ach의 CA분비작용은 증강되었다. Ouabain에 의해서 PD의 작용은 약화되었으나 Ach의 CA분비효과는 오히려 강화되었다. PD나 Ach의 작용은 adenosine 전처리시 현저히 증강되었다. EDTA(5mM)와 함께 Ca-free Krebs액으로 30분 주입한 경우에 Ach의 분비작용은 거의 전적으로 차단되었으며, PD의 작용도 약화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PD는 가토적출부신에서 $Ca^{++}$의존적으로 CA분비를 증가시키며, PD의 이러한 작용은 부신내의 cholinergic muscarinic 및 nicotinic receptor의 흥분작용에 기인되고, chromaffin cell에 대한 일부 직접작용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Influence of Cytisine on Catecholamine Release in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s

  • Lim, Dong-Yoon;Jang, Seok-Jeong;Kim, Kwang-Cheo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932-939
    • /
    • 2002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cytisine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in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s, and to clarify its mechanism of action. The release of CA evoked by the continuous infusion of cytisine ($1.5{\times}10^{-5} M$) was time-dependently reduced from 15 min following the initiation of cytisine infusion. Furthermore, upon the repeated injection of cytisine ($5{\times}10^{-5}$), at 30 min intervals into an adrenal vein, the secretion of CA was rapidly decreased following the second injection. Tachyphylaxis to the release of CA was observed by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cytisine. The cytisine-induced secretion of CA was marked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chlorisondamine, nicardipine, TMB-8, and the perfusion of $Ca^{2+}$-free Krebs solution, while it was not affected by pirenzepine or diphenhydramine. Moreover, the secretion of CA evoked by ACh was time-dependently inhibited by the prior perfusion of cytisine ($5{\times}10^{-6} M$). Taken together, these experimental data suggest that cytisine causes secretion of catecholamines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glands in a calcium-dependent fash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neuronal nicotinic ACh receptors located in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It also seems that the cytisine-evoked release of catecholamine is not relevant to the activation of cholinergic M$_1$-muscarinic or histaminergic receptors.

Influence of Nicorandil on Aortic Strip's Contractility and Blood Pressure of the Rat

  • Lim, Dong-Yoon;Kim, Yong-Jik;Hong, Soon-Py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3권1호
    • /
    • pp.48-58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icorandil o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vascular contractile responses in the normotensive anesthetized rats and to establish the mechanism of action. Nicorandil (30~300 ${\mu}g/kg$) given into a femoral vein of the normotensive anesthetized rat produced a dose-dependent depressor response. These nicorandil-induced hypotensive responses were not affected by pretreatment with atropine (3.0 mg/kg, i.v.) or propranolol (2.0 mg/kg, i.v.), while markedly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chlorisondamine (1.0 mg/kg, i.v.) or phentolamine (2.0 mg/kg, i.v.). Futhermore, after the pretreatment with 4-aminopyridine (1.0 mg/kg/30 min, i.v.) or glibenclamide (50.0 ${\mu}g/kg$/30min) into a femoral vein made a significant reproduction in pressor responses induced by intravenous norepinephrine. In he isolated rat aortic strips, both phenylephrine (10$^{-5}$ M)- and high potassium (5.6 ${\times}\;10^{-2}$ M)-inducedcontractile responses were dose-dependently depressed in the presence of nicorandil (25~100 ${\mu}M$). Collectively, the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intravenous nicorandil causes a dose-dependent depressor action in the anesthetized rat at least partly through the blockade of vascular adrenergic ${\alpha}_1$-receptors,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mechanism of potassium channel opening-induced vasorelaxation.

백출(白朮) Extract의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 (Hypotensive Action of Atractylodes rhizoma alba Extract)

  • 고석태;서세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6권2호
    • /
    • pp.101-110
    • /
    • 1976
  • 1. In the rabbit and the dog, the blood pressure response to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Atractylodes rhizoma alb'a was investigated. 2.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when administered into the rabbit and the dog by the route of vein, produced fall of the blood pressure. 3. The depressor response of the rabbit to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was not affected by $Avicel{\circledR}$, propranolol and atropine. 4. The depressor response by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in the rabbit was not affected by guanethidine, but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produced elevation of blood pressure in this rabbit. 5. Pretreatment of rabbit with chlorisendamine or phenoxybenzamine weakened the depressor response to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and the both extracts produced secondary elevation of blood pressure in this rabbit. 6. The pressor response of the chlorisondamine-treated rabbit to water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was not affected by atropine. 7. Water extract decreased the pressor action of tyramine and depressor action of pilocarpine and isoproterenol, but did not affect the blood pressure response of nor einephrine, angiotensin and dimethylpehnyl piperazinium iodide(DMPP).

  • PDF

Influence of ${\beta}-Eudesmol$ on Blood Pressure

  • Lim, Dong-Yoon;Kee, Young-W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33-40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ta}-eudesmol$, one of various ingredients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bark of Magnolia obovata Thunberg, on arterial blood pressure and vascular contractile responses in the normotensve rats and to establish its mechanism of action. ${\beta}-Eudesmol\;(30{\sim}300\;{\mu}g/kg)$ given into a femoral vein of the normotensive rat produced a dose-dependent depressor response. These ${\beta}-eudesmol-induced$ hypotensive responses were markedly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chlorisondamine (1.0 mg/kg, i.v.) or phentolamine (2.0 mg/kg, i.v.). Interestingly, the infusion of ${\beta}-eudesmol$ (1.0 mg/kg/30min) into a femoral vein made a significant reduction in pressor responses induced by intravenous norepinephrine. Furthermore, the phenylephrine $(10^{-5}\;M)-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were depress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beta}-eudesmol\;(10{\sim}40\;{\mu}g/ml)$, but not affected in low concentration of ${\beta}-eudesmol\;(2.5{\sim}5\;{\mu}g/ml)$. Also, high potassium $(5.6{\times}10^{-2}\;M)-induced$ contractile responses were greatly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beta}-eudesmol\;(10{\sim}40\;{\mu}g/ml)$ in a dose-dependent fash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intravenous ${\beta}-eudesmol$ causes a dose-dependent depressor action in the anesthetized rat at least partly through the blockade of vascular adrenergic ${\alpha}_1-receptors$, in addition to the some unknown mechanism of direct vasorelax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