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estero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배양한 근원세포의 분화와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온열처리의 효과 (Effects of Hyperthermia on the Myoblast Differentiation and Protein Synthesis in vitro)

  • 강만식;이회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7-192
    • /
    • 1987
  • 온열처리가 근세포의 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양한 근세포에 여러가지 온열처리를 한 다음, 단백질 합성, 세포증식, 융합지수, creatine kinase(CK)의 활성 및 cholesterol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한지 24시간지나 45$^{\circ}C$에서 1 hr의 온열처리를 하면 근세포의 융합과 CK 활성이 지연되었으며, 55시간지나 같은 온열처리를 하면 세포막내(세포내 양의 95% 이상)의 chloesterol 양이 일시적으로 증가함과 아울러 세포융합이 지연되었다. 그러나 세포증식은 대조군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로부터 온열처리가 분화에 미치는 영향은 온열처리를 받게되는 근원세포의 분화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온열처리에 따른 chloesterol 양의 일시적인 증가가 근세포 융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한편, 근세포는 온열처리를 받으면 평소의 단백질 합성 수준이 떨어짐과 더불어 heat shock protein(HSP)합성이 증대 내지는 유도 되었으며 HSP 합성의 유도는 actinomycin D의 처리로 억제되었다. 또한 온열처리로 근세포는 열내성을 얻어 세포융하과 CK 활성은 동일한 온열처리를 4시간 간격으로 두번 주어도 한번 주었을 경우와 차이가 없었으며 두번째 온열처리에 의해서는 새로운 HSP 합성이 유도되지도 않았다.

  • PDF

메밀식이가 제 2형 당뇨환자의 혈당과 혈중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ckwheat Diet on Serum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NIDDM)

  • 이정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9호
    • /
    • pp.809-816
    • /
    • 1995
  • We have studied the effects of buckwheat diet on serum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9 NIDDM volunteers during 2 weeks. The subjects were given dietary counseling in their own homes at 2-3 day intervals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s and the dietary intake were determined by interview and record methods. The intake of calorie,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during the buckwheat diet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control diet and body weight was maintained within 1-2kg. The mean total glycohemoglobin, fructosamin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t the end of buckwheat die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nd of control diet (P<0.05). Fasting serum glucose, insulin and HDL-chloesterol levels were slightly decreased. The mean triglyceride level was increased but i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uckwheat diet is an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for the control of metabolic derangements in diabetes mellitus.

  • PDF

혈청분해시간의 경과가 소 혈액화학치 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ime Elapse of Serum Separation on the Examination of Bovine Blood Chemical Values)

  • 김봉식;허인;윤영순;김종형;김원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8-133
    • /
    • 1992
  •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blood chemistry, the effects of the time elapse of serum separation on bovine blood chemical valu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constant fluctuation tendency and significance was not detected in GOT, GPT, BUN, Creatinine, ALP, CPX, Cholesterol, Ca, Mg and Pi. 2. Glucose showed the decrease tendency according to the time elapse of serum separation. As the values at 12 and 24 hours showed significant lower values than those at 1 and 2 hours (p<0.01) it was thougth that separation time of serum should be focussed for the glucose determination.

  • PDF

내인성 및 외인성 Estrogen이 관상심장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제1보 : 내인성 및 외인성 Estrogen이 혈액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Estrogen on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Part I : On Serum Lipid Levels-)

  • 박유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307-317
    • /
    • 1997
  •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ndogenous and exogenous strogen on serum lipid levels, twenty nonsmoking healthy Korean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12 weeks. They were assigned to three groups : (1) eight women aged 22 to 30(yr) for the premenopausal(Pre) group, (2) eight, aged 49 to 60(yr) for the postmenoparusal(Pst) group, (3) four, aged 23 to 30(yr) for the oral contraceptive(OC) group which used triphasic OC formulation. Fasting blood samples representing every phase of the hormonal levels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of the Pre and the OC group. From the subjects of the Pst group,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once per three weeks for 12 weeks. All the serum data were adjusted for dietary effects, exercise, personality type and body mass index(BMI) by using analysis of covariation(ANCOVA). Serum lipid levels of the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hil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TG)(p<0.0001), low density lipoprotein-chloesterol(LDL-C)/high density liporotein-cholesterol(HDL-C) ratio (LDC-C/HDL-C)(P<0.01) and total cholesterol (TC)/HDL-C ratio (TC/HDL-C)(P<0.001) were significatnly high in the Pst group, serum HDL-C(P0.001)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Pre group. The OC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serum TC(P<0.0001) and LDL-C(P<0.0001) levels. There was no signidicant difference in the fluictuation of serum lipid levels during the menstrual cycle of the Pre group. However, in the OC group, serum TG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phase 2(P<0.05) where exogenous estrogen administration was highest. Even though other serum lipid levels of the OC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fluctuated according to the exogenous estrogen administration, there was a trend of increased levels of serum TC, LDL-C, LDL-C/HDL-C and TC/HDL-C and decreased level of HDL-C during the menstruation period. Also, serum TC level was high(P<0.005) and serum TG level was low (P<0.005) at the baseline of the OC group compared with the periods of OC administration. When screening and counseling the female population at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CH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may be desirable to divide the population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C administration, menstrual cycle and menopause, as well as general risk factors for CHD.

  • PDF

흉막액 Cholesterol 농도에 대한 진단적 의의 (A Diagnostic Significance of Pleural Fluid Cholesterol Level)

  • 김영균;권순석;김관형;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62-26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pleural fluid cholesterol level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and in differentiating tuberculous exudates from non-tuberculous exudates, 52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involved in this prospective study. By predefined criteria, 40 of these effusions were classified as exudates (Group I) and 12 as transudates (Group II). Group I was subdivided into tuberculous exudates (Group A) and non-tuberculous exudates (Group B). The followings are parameters used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pleural protein (P-PROT) 3.0 g/dl, pleural protein/serum protein ratio (P/S PORT) 0.5, pleural LDH (P-LDH) 200 IU, pleural LDH/serum LDH ratio (P/S LDH) 0.6, pleural cholesterol (P-CHOL) 50 mg/dl and pleural cholesterol/serum cholesterol ratio (P/S CHOL) 0.4. Mean values of the parameter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then misclassified rate and the dignostic efficiency for each parameter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P-CHOL ($94.98{\pm}73.86\;mg/dl$) in Group I was higher than that ($36.5{\pm}26.5\;mg/dl$) in Group II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CHOL between Group A and Group B. 2) Mean P/S CHOL ($0.64{\pm}0.39$) in Group I was also higher than that ($0.27{\pm}0.15$) in Group II (p<0.01),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n P/S CHOL between Group A and Group B. 3) Misclassified rates for each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were as follows; P-PROT 1.9%. P/S PROT 3.8%. P-CHOL 9.6%, P/S CHOL 11.5%, P/S LDH 11.5%, and P-LDH 17.3%. 4) Diagnostic efficiencies for each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were as follows; P-PROT 98.1%, P/S PROT 96.2%. P-CHOL 90.4%. P/S CHOL 88.5%, P/S LDH 88.5%, and P-LDH 82.7%.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leural fluid chloesterol level could be used as a supportive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but could not be used as a parameter in differentiating tuberculous exudates from non-tuberculous exudates.

  • PDF

막걸리와 막걸리 침전물이 간 독성 및 혈청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kgeolli and Makgeolli precipitate on Hepatotoxicity and Serum Lipid Content in Rats)

  • 김보경;강민숙;전명정;이상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2-2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원액의 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에탄올을 대조군으로 하여 막걸리를 투여한 실험동물의 간 지표 효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실험동물에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일으킨 후 알코올 이외의 성분에 의한 막걸리 효능을 검토하기 위해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고 얻은 침전물을 투여하여 혈청 중의 효소활성 및 지질농도분석을 통하여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기간 중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는 실험 동물의 체중 증가량은 에탄올 투여군은 대조군 및 막걸리 투여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장기 무게에서는 간 조직의 중량이 에탄올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나 막걸리 투여에 의한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AST 및 ALT의 경우 막걸리 투여에 의해 오히려 그 활성이 감소하였으나, 에탄올 투여에 의해 그 활성이 증가하여 알코올 자체가 간 조직의 병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측된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에탄올 투여군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증가하였고, 막걸리 투여군인 MG3군은 동량의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나, 막걸리 중의 알코올 이외의 성분에 의해 콜레스테롤 증가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혈청 중 HDL-cholesterol 함량은 막걸리 투여로 인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막걸리가 혈중 HDL-chloesterol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 독성에 막걸리 침전물이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상군의 AST 및 ALT활성에 비해 사염화탄소에 의하여 간 독성이 유발된 $CCl_4$군의 혈중 AST 활성이 증가되었고, 생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AST 및 ALT 활성이 정상군의 수준까지 회복되지는 못하였으나, 사염화탄소 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한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에 의해 정상군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가열막걸리의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였다. HDL-cholesterol은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에 의해 사염화탄소 투여군 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질의 경우 사염화탄소 투여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생막걸리 침전물 투여로 인해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사염화탄소 투여로 상승된 혈청 지질은 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한 경우 저하되었으며, 특히 가열막걸리보다 생막걸리 침전물을 투여했을 때 지질대사 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운동과 홍삼복합제의 투여가 20대 비만여성의 혈중 지질 및 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d Ginseng Product and Combined Exercise on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of Obese Women in Their Twenties)

  • 김성수;김재등;김홍;신말순;박채규;박명한;양재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59-66
    • /
    • 2002
  • 본 연구에서 12주간의 홍삼복합제 투여와 복합운동이 20대 비만 여성의 혈중 지질 및 체구성 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은 12주 후, 대조군의 증가에 비해 홍삼복합제투여군, 홍삼·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율은 12주 후, 대조군에 비해 홍삼복합제투여군, 홍삼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TC는, 다른 두 집단이 12주에 걸쳐 꾸준히 증가한 것에 비해 홍삼·운동군은 지속적인 감소현상을 보여 대조적인 경향을 보였다. HDL-C은 12주 후 대조군과 홍삼·운동군은 소폭 감소한 반면, 홍삼복합제투여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LDL-C은 대조군과 흥삼복합제투여군이 8주에서 12주 사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는 반면 홍삼·운동군은 거의 변화를 하지 않아 대조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반복측정분산분석의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TG는 다른 두 집단이 12주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던 반면에 홍삼복합제투여군은 꾸준한 감소를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론으로 보아서 12주간의 실험 결과는 홍삼복합제투여와 홍삼·운동의 복합 처치가 체중, 체지방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total cholesterol, HDL-C, TG 등을 포함한 혈중 지질 농도의 개선에 관련하여 유리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