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amy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울릉도 해안 익형아강(연체동물문: 이매패강) (Pteriomorphia (Mollusca : Bivalvia) from Ullng Island , Korea)

  • Byung Lae Choe;Won Kim;Jong Rak Lee;Sook Hee 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1호
    • /
    • pp.61-83
    • /
    • 1994
  • 1989년 6월부터 1992년 8월까지 울릉도의 13개 지점에서 채집된 해산 이매패류를 조사한 결과 익형아강(Pteriomorphia)에 속하는 9과 33종(아종)이 채집되었다. 이들은 모두 울릉도 미기록 종이며, 이들 중 Modiolus(Modiolus) comptus Sowerby, 1915, Gregariella coralliophaga(Gmelin, 1971), Musculus(Musculus) laevigatus(Gray, 1824), Chlamys(Coralichlamys) jousseaumei Bavay, 1904, Spondylus(Spondylus) varius Sowerby, 1829 등 5종은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졌기에 이들을 재기재 하였다.

  • PDF

한국산 가리비 2종의 28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의한 유전적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based on Partial 28S rRNA Gene Sequence of Korean Two Scallops)

  • Park, Gab-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1997
  • 한국산 가리비, 큰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와 주문진가리비(Chlamys swifti), 2종에 대한 28S ribosomal RNA 유전자의 PCR- 산물을 이용 RFLP 및 염기서열을 밝히고, 이미 보고된 2과 3종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8S rRNA유전자를 이용하여 7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PCR-RFLP의 종간 차이에서 Taq I 제한효소에서만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한편 두종간에 28S rRNA유전자의 D1 부위의 염기서열에서 231개 부위 중 14군데에서 변이를 보였다.

  • PDF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의 산란과 유생사육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 박기열;김수경;서형철;마채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05
  • 비단가리비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산란기 조사. 산란유발, 난 발생 및 유생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비단가리비의 산란기를 알기 위하여 비만도 및 GSI 분석 결과 비단가리비의 산란기는 5$\~$8월로 추정되어지며, 단일 생식주기를 나타내었다. 어미의 각종 산란유발 자극에 대한 반응은 Serotonin 주사, 온도자극, 혼합자극에서 반응률이 가장 높았으며. 자외선 조사해수 자극은 수컷만 반응을 하였고 간출자극은 반응이 없어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단가리비의 수정란의 크기는 69.5$\mu$m였고, 수정 후 약 2시간 후에 2세포기, 8시간 후에 8세포기, 20시간 후에는 담륜자유생으로 부화하였으며 40시간 후에는 D상 유생, 11일 후에는 각정기로 성장하였다. 수정 18일 후에는 부착기 유생으로 발달하였으며 80일째는 각장 2.6 mm로 성장하였다.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Pteriomorph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 Jun, Je-Cheon;Kim, Jin Hee;Park, Young Jae;Kang, Hee Woong;Chung, Jae Seung;Chung, Ee-Yung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4
    • /
    • 2012
  • The morphology and taxonomic values of the sperm in male Chlamys (Swiftopecten) swiftii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ies and ultrastructures of the sperm nucleus and the acrosome of this species are the vase type and long cone shape, respectively. Spermatozoa are approximately $45-50{\mu}m$ long including a sperm nucleus (approximately $2.60{\mu}m$ long), an acrosome (about $0.63{\mu}m$ long), and a tail flagellum (approximately $44-47{\mu}m$ in long).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2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ight and left basal rings in the acrosomal vesicle of this specie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and also the anterior apex part of the acrosomal vesicle shows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crosomal vesicle were found in Pectinidae and other several families in subclass Pteriomorphia.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this species are four, as one of common characteristics appear in most species in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In addition, the satellite fibres are found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this species, a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pecies of Pectinidae in subclass Pteriomorphia. Accordingly, structut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found in the acrosomal vesicle, four mitochondria in the sperm midpiece and the appearance of the satellite fibers near the distal centriole of C. (S.) swiftii in Pectinidae (subclass Pteriomorphia), can be employed for phylogenetic and taxonomic analyses as taxonomic key or a significant tool.

Gametogenic Cycle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Kuroda, 1932) (Bivalvia: Pectinidae) in Western Korea

  • Park, Ki Yeol;Chung, Ee-Yung;Lee, Ki-Young;Park, Kwan Ha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5-76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gametogenic cycle and spawning seasons of the male Chlamys (Azumapecten) farreri nipponensis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and also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was calculated by the data of first sexual maturity. In this study, the male gametogenic cycle of this species by qualitative analysis was divid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April),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ly to September),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January). The male gametogenic cycle showed similar patterns with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and condition index. Particularly, spawning in male scallop occurred once a year from July to September, unlike the spawning period of this species (from June to August) reported by the previous researchers.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s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June, and then sharply dropped from July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C. (A.) farreri nipponensis occurred once per year from July to early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RM50)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estimated to be 49.90 m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and it was 100% for male scallops over 61.0 mm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중국에서 이식된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의 먹이섭취와 체조성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Dietary Feeding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Transplanted from China)

  • 김철원;백재민;한석중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23-329
    • /
    • 2008
  • 비단가리비 치패의 수온(24, 27, 30$^{\circ}C$)과 염분(24, 27, 30%o)에 따른 먹이 섭취 활동(여수율과 소화율)및 체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온과 염분 변화에 의하여 일간 먹이량, 여수율, 소화율 및 체성분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과 염분에 따른 비단가리비의 여수율과 소화율은 수온 24$^{\circ}C$의 30%o실험구에서 각각 8.88 L h$^{-1}$ g$^{-1}$과 25.42$\times$10$^7$ cells h$^{-1}$ g$^{-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circ}C$의 24%o에서 여수율과 소화율이 0.15 L h$^{-1}$ g$^{-1}$와 0.73$\times$10$^7$ cells h$^{-1}$ g$^{-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비단가리비 치패의 체조성 성분은 고수은인 30$^{\circ}C$ 실험구와 저염분인 24%o 실험구에서는 다른 실첨구에 비하여 조단백질이나 조지방 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여름철 고수온과 저염분이 바지락의 대량 폐사 원인으로 작용하며 안정적인 생산을 방해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서해산 암컷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의 난형성과정 중 생식세포 분화 및 생식주기 (Germ Cell Differentiations during O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in Femal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기열;이기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2호
    • /
    • pp.195-202
    • /
    • 2008
  • 1998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전라남도 대흑산도 연안에서 채집한 비단가리비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 생식세포 분화 및 난소주기를 조직, 세포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하였다. 초기 난황형성 난모세포에서,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및 조면소포체들은 지방적 형성에 관여하였다.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에서 생식상피상에 존재하는 외인성 물질들 즉, 글리코겐 입자들 및 지방 과립상 물질들이 난황막의 미세융모를 통해서 난모세포의 난질로 통과해 들어갔다.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에서, 난황과립들과 다포체들은 단백질성 난황과립형성에 관여하였다. 난황형성과정은 내인성 자율합성과 외인성 타가합성에 의해서 일어난다. 보조세포들은 초기단계인, 전난황형성 난모세포 및 초기 난황형성 난모세포들의 형성 및 발달에 영양세포로서 기능을 한다. 생식소 중량지수의 월별 변화는 난소 발달단계들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변하였다. 본 종의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1~3월), 후기활성기(3~4월), 완숙기(4~8월), 부분산란기(6~8월), 퇴화 및 비활성기(8~12월)의 5단계로 구분되었다. 산란은 6~8월 사이에 일어나며, 주산란기는 수온이 높은 7~8월이었다.

  • PDF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의 난소 발달단계에 따른 폐각근, 난소 및 소화맹낭의 생화학적 성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Digestive Diverticula and the Ovary in Chlamys farreri in Relation to the Ovarian Developmental Phases)

  • 정의영;구재근;박기열;이창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80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ycle with ovarian development of Chlamys farreri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digestive diverticula and ovary were studied by biochemical analysis.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January to March), late active stage (March to April), ripe stage (April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ne to August) and spent/inactive stage (August to January). According to ANOVA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total protein, total lipid and glycogen contents among months for all of the adductor muscle, digestive diverticula and ovary. Total protein contents in ovary and digestive diverticula showed significant changes (ANOVA, p < 0.05) during the study period, while that in the adductor muscle did not. Total protein content was highest in the adductor muscle, followed by ovary, and lowest in digestive diverticula. There was no correlation in total protein content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digestive diverticula (p = 0.220). But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ductor muscle and ovary (r = 0.450, p = 0.013).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lipid and glycogen contents among months for all of the adductor muscle, ovary, and digestive diverticula (p < 0.05). The monthly changes in total lipid content were highly variable in ovary and digestive gland. High contents of total lipid were found during April and May-June in ovary, while March and June-July in digestive diverticula.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in total lipid content between ovary and digestive diverticula (r = -0.397, p = 0.030). Unlike total protein or total lipid, glycogen content in the adductor muscle was most dynamic. It showed more than 36-fold changes in the adductor muscle (at most 3-fold change in ovary) during the study period. Glycogen content was higher during May-July in the adductor muscle, while it was higher in March and August in digestive diverticula.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in glycogen content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digestive diverticula (r = -0.584, p = 0.001).

  • PDF

흔한가리비, Chlamys nobilis의 치패성장 및 중간육성 (Preliminary Studie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Subtrophic Noble Scallop Chlamys nobilis in Korean Waters - with a Special Focus on Nursery Life)

  • 원승환;조규태;한석중;김재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5-214
    • /
    • 2008
  • 흔한가리비 종묘생산시 부화 유생사육시 파판에 부착 후 60일째까지의 경과일수(X)에 따른 자패의 각장(SL) 성장은 $SL=0.1664e^{0.0579x}$($r^2=0.924$) 회귀직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지귀도에서 사육한 각장 1 mm 치패는 1개월후에 $4.1{\pm}0.8\;mm$로 성장하였고 2, 3, 4 및 5개월째에는 각각 각장 $13.0{\pm}1.9$, $23.1{\pm}3.1$, $30.3{\pm}4.3$, $33.6{\pm}5.2\;mm$로 성장 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지귀도 연안에서 흔한가리비의 수심별 일간 각장 성장량은 165.6, 154.0 140.0, $137.4{\mu}m/day$ 순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성장량은 낮았고(p < 0.05), 사육밀도별에서는 각각 168.3, 145.8, 115.2, $101.8{\mu}m/day$로 사육밀도가 높을수록 성장이 느렸다(p < 0.05). 제주연안에서의 흔한가리비 치패의 중간육성은 제주시 옹포리연안보다는 서귀포시 지귀도 연안이 성장 및 생존율에서 높아서 양식가능성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와 비교해서는 성패까지 사육할 경우, 3-6개월 정도 더디었지만 양식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되며, 양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름철 태풍 내습에 대한 시설물의 안정성이 우선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단가리비, Chlamys farreri 수하양식에서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the Scallop, Chlamys farreri (Jones & Preston, 1904) cultured in Hanging culture in the West coast of Korea)

  • 박광재;윤상필;박영제;송홍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
    • /
    • 2012
  • 2002년 6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충남 태안군 안면읍 내파수도 연안의 수하식 양식장에서 비단가리비 치패 (평균 각고 $32.97{\pm}6.21mm$, 전중량 $5.63{\pm}3.86g$) 를 채롱에 수용하여 밀도에 따른 성장과 생존을 연구하였다. 비단가리비는 주로 한국의 서해안과 중국의 북부 연안에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종이다. 조사해역의 표층 수온은 $4.3-25.3^{\circ}C$, 염분은 29.2-32.1 psu, 용존산소는 5.32-7.51 mg/L이었고, pH는 7.84-8.12로 나타났다. 실험을 시작할 때 채롱 당 수용밀도는 20, 30, 40, 50 개체로 하였다. 실험을 시작하여 16개월이 경과한 후의 평균 각고는 64.35-76.23 mm였고, 전중량은 41.53-64.85 g, 생존율은 82-100%로 나타났다. 비단가리비의 성장률은 수용밀도와 역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각고와 전 중량의 성장은 수온이 하강하면서 감소하였다. 비단가리비의 폐사는 대부분 3-4월과 9-10월에 나타났다. 밀도에 따른 생존율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20마리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