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a

검색결과 827건 처리시간 0.039초

주암호의 수질변화 및 COD 및 Chl-a 농도의 상관관계 분석 (The Trend of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Correlation between COD & Chl-a Concentration for the Juam Reservoir)

  • 양형재;김병익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331-1336
    • /
    • 2006
  • 연도별 COD 변화 추세선에서 1992년도의 COD농도 2.31 mg/L에서 2005년 2.72 mg/L로 13년간 0.23 mg/L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실제 분석결과는 2.3 mg/L에서 2.5 mg/L로 0.2 mg/L증가). 추세선에서 2010년에는 COD농도가 3.0 mg/L 이상으로 나타나지만 상관도는 매우 낮다(결정계수 $r^2$=0.3669). 주암호 댐 앞의 Chl-a와 COD농도의 상관관계는 $r^2$=0.8141로 높았으며, Chl-a농도가 5.5 $mg/m^3$ 이하일 때 호소 생활환경 2급수인 COD농도 3 mg/L 이하를 유지하나, Chl-a 농도가 46.5 $mg/m^3$을 초과할 경우에는 상수 3 mg/L 이하를 유지하기 힘든 것으로 나타나 하절기 안정적인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류의 제어가 중대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대형 인공호에서 영양상태 평가 및 수질 변수를 이용한 경험적 모델 구축 (Trophic State Index (TSI) and Empirical Mo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Korean Reservoirs)

  • 박희정;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0권1호
    • /
    • pp.14-3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영양화도 지수(TSI)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호소의 영양 상태를 평가하고,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에 의한 호소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수질 자료(2000, 2001)는 환경부 DB시스템에서 획득하였으며 이용된 변수는 용존산소(DO),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총인 (TP), 총질소 (TN), 부유물질 (SS), 투명도(SD), 엽록소-${\alpha}$ (CHL), 전기전도도 (Cond.)였다. 이런 수질 변수의 농도는 측정된 수계 및 계절에 따라 변이양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영양상태(Trophic state)는 상류로부터 댐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계절적 변이는 여름 장마기 (7${\sim}$8월)동안 크게 발생했다. TP의 주된 유입은 장마기 (r=0.656, p=0.002)동안 일어났고, 이런 현상은 SS(r=0.678, p<0.001)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HL, TP, SD 및 TN을 포함한 수질변수는 계절에 따른 수계내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방법에 적용되었다. Carlson(1977)의 부영양화도지수(TSI)에 기초한 수계 내 TSI(CHL), TSI(TP)및 TSI(SD)는 중영양-부영양 상태를 보였다. 한편, TSI(TN)은 계절에 관계없이 전체 호소 내에서 TN농도가 풍부한 부영양-과영양 상태를 보였다. 따라서, 인은 호소 내 영양 상태를 조절하는 주요인자가 된다. CHL와 다른 수질 변수(TP, TN,그리고 SD)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이 개발되었다. 로그-전환 회귀분석에서 CHL-TP는 장마 전기 $R^2$ 값이 031(p=0.017)이었으나 장마 후기에는 0.69(p<0.017)로 장마 후기 인이 조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SD는 TP, CHL증가에 대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TN은 모든 기간 동안 CHL와 약한 관계를 가졌다. 결과적으로,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이 제시하듯이 TP는 CHL을 예측하는 핵심 인자로 사료되었다.

NaCl이 황백화된 보리(Hordeum vulgare L.) 잎의 녹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aCl on the Greening of Etiolated Leaves of Barely (Hordeum vulgare L.) Seedings)

  • 정화숙;임영진;송승달;노광수;송종석;박강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0호
    • /
    • pp.1023-1030
    • /
    • 2002
  • The effects on photosynthesis of NaCl(0, 0.2, 0.4, 0.6, 0.8 or 1.0 M) were examined in etiolated barley seedlings. Chlorophyll(Chl) a, Chl b and carotenoid contents, Chl a fluorescence and quenching coefficients of Chl fluorescence have been determined in the primary leaves of etiolated barley seedlings cultivated under low light(60 $\mu$$m^{-2}\;s^{-1}$). Chl a, b,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decreased remarkabl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0.4 M NaCl. However, the value of Fo and Fv were decreased at 0.6 M NaCl and the ratio of Fv/Fm were deceased at 1.0 M NaCl. Chlorophyll synthesis was seriously inhibited from 0.4 M NaCl, and the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rt system was inhibited from 0.6 M NaCl. Quantum of photosystem II reaction center was inhibited at 1.0 M NaCl. The effects of NaCl on the Chl content were raised in a 6 hrs, but the effects of NaCl on the value of Fo, Fv and Fv/Fm were raised in 30 hrs. The value of qP wa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t all concentrations, but there was a small change in the value qE.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NaCl inhibited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 of NaCl were inhibited quinone redox, however, proton gradient between thylakoid membranes was little damaged.

남양호와 백제보의 Chlorophyll-a 산정을 위한 초분광 영상기반 수체분광특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water surface spectral characteristics based on hyperspectral images for chlorophyll-a estimation in Namyang estuarine reservoir and Baekje weir)

  • 장원진;김진욱;김진휘;남귀숙;강의태;박용은;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2호
    • /
    • pp.91-10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담수를 대상으로 녹조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내륙에 위치한 백제보와 남양호의 초분광영상을 이용하여 클로로필-a (Chl-a)의 농도를 추정하였다. 각 유역의 초분광이미지는 2016년부터 2017년까지 백재보에서 항공기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남양호에서 드론으로 촬영하였다. 이후, 순열 특성 중요도를 이용하여 Chl-a 농도와 관련성이 높은 30개의 반사 대역을 선택하였으며, 백제보는 400-530, 620-680, 710-730, 760-790 nm, 남양호는 400-430, 655-680, 740-800 nm 구간의 반사도가 선택되었다. 선택된 반사율을 입력자료로 하는 인공 신경망 기반의 Chl-a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모형의 성능은 결정계수(R2), 평균제곱근오차(RMSE), 평균절대오차(MAE)로 평가하였다. 유역별 산정모델의 성능은 각각 R2: 0.63, 0.82, RMSE: 9.67, 6.99, MAE: 11.25, 8.48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Chl-a 모델은 향후 담수호 녹조의 최적 관리를 위한 기초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양 쌍극진동 변동에 따른 위성에서 추정된 표층 클로로필-a 농도 변화 연구 (Variability of Satellite-derive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Indian Ocean Dipole (IOD) Variation)

  • 손영백;김석현;김상현;노태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1호
    • /
    • pp.917-930
    • /
    • 2017
  •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이사부호"를 활용하여 인도양에서 본격적으로 수행되는 관측에 앞서 위성을 활용하여 인도양 쌍극진동(Indian Ocean Dipole, IOD) 변동에 따른 위성에서 추정된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단기적인 변화보다는 장기 변화에 초점을 두고 1998년부터 2016년까지 해색위성에서 계산된 월평균 클로로필-a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인도양 전 해역($30^{\circ}E{\sim}120^{\circ}E$, $30^{\circ}S{\sim}30^{\circ}N$)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클로로필-a 농도는 중앙 인도양에서 낮고, 용승해역 및 대륙 주변 해역에서 증가되었다. 계절풍과 해류 시스템의 영향으로 클로로필-a 농도는 봄에 가장 감소하고 여름에 최대를 나타냈다.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분석 결과, 첫 번째 모드의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엔소(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의 변화와 높은 관계를 보이고, 두 번째 모드의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엔소에 의한 영향보다는 인도양 쌍극진동의 변화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클로로필-a 농도는 두 개의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에서 서로 상반된 변화를 나타냈다.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동 인도양, 서 인도양 및 인도 주변 해역에서는 인도양 쌍극진동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열대 중앙 인도양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엔소의 변화와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는 인도양 쌍극진동의 발생 기작에 따라 다른 반응을 나타냈다.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첫 번째 타입 인도양 쌍극진동(엔소 발생시기와 동일)은 여름철에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에서 클로로필-a 농도 차이가 생기고, 최대는 가을에 발생했다. 두 번째 타입 인도양 쌍극진동(엔소 발생 후 그 다음 해 또는 소멸되는 시기)은 봄에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 클로로필-a 농도 차이가 생기고, 여름과 가을에 증가되어, 겨울에 감소되었다. 인도양 쌍극진동의 변동에 따른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의 클로로필-a 농도 차이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유사하지만, 북부 인도양은 쌍극진동 발생 기작에 따라 상반된 클로로필-a 농도 변화를 나타냈다.

실험실 규모 입상 혐기성 암모늄 산화 연속회분식 반응조 내의 신종 사상균 동시 농화 배양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Enrichment of Novel Filamentous-Like Bacterial Population in Lab-Scale Granular Anaerobic Ammonia Oxidation (Anammox) Sequencing Batch Reactor)

  • 박홍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77-382
    • /
    • 2013
  • Enriching anammox bacteria (AMX) in a lab-scale granular sequencing batch reactor using local digester centrate, we observed the significant enrichment of the filamentous-like bacterial population. These bacteria were revealed as novel bacterial species (termed CHL) belonging to Chlorobi/Bacteroidetes phyla via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Further, niche differentiation of AMX and CHL quantification was observed in granule and filament biomass, suggesting AMX was dominant in the granule and CHL was dominant in the filamen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e structural role of CHL was indeed to aid the granule formation of the AMX. In parallel, the physiological role of CHL was suspected to degrade biopolymers in the digester centrate using nitrate as an electron acceptor.

Development of Novel Microsatellite Markers for Strain-Specific Identification of Chlorella vulgaris

  • Jo, Beom-Ho;Lee, Chang Soo;Song, Hae-Ryong;Lee, Hyung-Gwan;Oh, Hee-Mo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9호
    • /
    • pp.1189-1195
    • /
    • 2014
  • A strain-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is required to secure Chlorella strains with useful genetic traits, such as a fast growth rate or high lipid productivity, for application in biofuels, functional foods, and pharmaceuticals. Microsatellite markers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s can be a useful tool for this purpose.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five novel microsatellite markers (mChl-001, mChl-002, mChl-005, mChl-011, and mChl-012) using specific loci along the chloroplast genome of Chlorella vulgaris. The microsatellite markers were characterized based on their allelic diversities among nine strains of C. vulgaris with the same 18S rRNA sequence similarity. Each microsatellite marker exhibited 2~5 polymorphic allele types, and their combinations allowed discrimination between seven of the C. vulgaris strains. The two remaining strains were distinguished using one specific interspace region between the mChl-001 and mChl-005 loci, which was composed of about 27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13~15 specific sequence sites, and (T)n repeat sites. Thus, the polymorphic combination of the five microsatellite markers and one specific locus facilitated a clear distinction of C. vulgaris at the strain level, suggesting that the proposed microsatellite marker system can be useful for the accurate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C. vulgaris.

여름철 동해의 현장측정치와 GOCI와 MODIS 위성 자료로 측정한 엽록소와 유색용존유기물의 공간 변동성 (Spatial Variability of in situ and GOCI and MODIS Chlorophyll and CDOM in Summer at the East Sea)

  • 박미옥;신우철;손영백;노태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27-338
    • /
    • 2015
  • 해수 중 광학적 특성 때문에 유색 용존유기물은 위성자료에 기반한 해양의 엽록소와 일차생산력의 정확한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과 2011년 여름철을 대상으로 서로 특이하게 다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이 두 시기의 여름철 차이는 것은 용존유기물에 영향을 주는 주요 공급원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장 측정치와 위성자료로 부터 얻어진 엽록소 농도를 비교하여 위성자료로부터 구한 엽록소 농도 측정에 대한 용존유기물의 영향을 보았다. 그 결과, 2009년 MODIS를 이용한 엽록소 농도와 현장 측정된 엽록소 a 농도는 서로 유사하였으나, 2011년과 같이 유색용존유기물의 농도가 높았던 시기에는 이 두 농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011년 여름 MODIS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GOCI 자료는 엽록소와 유색용존유기물 모두 현장 측정치 자료와 잘 일치하였다. 수직 혼합에 의해 공급된 표층 해수 중 높은 유색용존유기물의 존재는 위성자료에 의한 엽록소 농도의 과대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SEASON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 DEDUCED FROM MODIS OCEAN COLOR DATA IN THE EDDY AREA HYUGA-NADA EAST KYUSHU SEAWATER

  • Winarso, Gathot;Hiroyuki, Kikukaw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475-478
    • /
    • 2006
  • Total primary production resulting from the photosynthetic process can be defined as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produced in a given period of time. It is proportional to the chlorophyll-a (chl-a) values in the surface layer of the ocean. The MODIS board on Aqua satellite measures visible and infrared radiation in 36 wavebands, providing simultaneous images of chl-a concentration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upper layer of the sea.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chl-a concentration during one year from April 2005 to March 2006 was examined. Light has a role of starting the seasonal cycle. The Kuroshio Current in this area induces many oceanographical features affecting to the change of seasonal control. The chl-a concentration is also seasonal, which is low in summer and high in winter. In summer, the meandering of Kuroshio Current induces strong eddies and increases the chl-a concentration. In autumn, the delayed small autumn bloom occurred until last December due to the Kuroshio Current. When the Kuroshio axis moves far from the coast, the coastal water dominates and increases the concentration even in the winter. The spring bloom starts early at the beginning of March and decreases during the spring.

  • PDF

완도해역에서 유기물의 생산량 평가 (Assessment for Produc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Wando Costal Area.)

  • 김우항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5-170
    • /
    • 2006
  • 육상 오염원의 영향을 적게 받는 완도 해역에서 약 10년간의 월별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식물성플랑크톤의 증가에 의한 유기물의 증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DIN의 경우 겨울철인 2월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인 0.138mg/L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름철인 8월에는 0.052mg/L로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DIP의 경우도 DIN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겨울철인 2월의 농도가 가장 높은 0.015 mg/1이고 여름철인 8월이 가장 낮은 값인 0.011 mg/1를 나타내고 있다. 식물성플랑크톤의 제한영양염을 알아보기 위하여 Redfield ratio(N:P=16:1)를 이용하여 제한영양염을 평가하여 보면 완도해역은 질소가 제한 영양염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장 제한이 되고 있는 계절은 여름으로 N/P의 비가 10.5로 나타났다 Chl.-a는 겨울철인 2월에 비해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79%, 9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농도는 COD로 나타내었으며 2월에는 0.84 mg/1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8월인 여름철에 가장 높은 1.10 mg/1를 나타내었다. 영양염과 Chl.-a의 상관관계는 DIN과의 상관에서 $r^2$M가 0.93, DIP과의 상관에서 $r^2$M가 0.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성플랑크톤의 증식이 영양염의 감소에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Chl.-a와 COD의 회귀분석에서 상관계수 $r^2$M가 0.78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생산량은 겨울철에는 17%, 여름철에는 3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완도의 해역에서 수온이 증가하는 여름철에 용존성 영양염의 농도는 감소하고 있으나 식물성플랑크톤의 지표가 되는 Chl.-a와 유기물의 지표가 되는 CO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