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tinase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1초

Chitoologosaccharides 생산에 적합한 Chitinase를 분비하는 균주의 선별, Chitinase의 분리정제 및 반응특성 (Isolation of Microorganism Producing Chitinase for Chitooligosaccharides Production, Purification of Chitinase, and its Enzymatic Characteristics)

  • 정의준;이용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6
    • /
    • 1995
  • In order to produce fuctional chitooligosaccharides, a strain excreting mainly endo-type chitinase suitable for chitooligosaccharides production was newly screened and identified as Aspergillus fumigatus JC-19. The chitinase excretion was repressed in nutrient rich medium but stimulated by colloidal chitin indicating that the chitinase is inducible type enzyme. Maximum secretion of the enzyme was observed at pH 7.0 and 37$\circ$C . The growth and chitinase production patterns of Aspergillus fumigatus JC-19 showed that the cell growth reached maximum after 4-5 days with final chitinase concentration of 0.46 unit per ml. Excreted chitinase was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colloidal chitin adsorp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gel filtration, respectively, and measured M.W of 50 KDa. The enzyme reaction carried out both by crude and purified chitinase showed that the purified chitinase accumulated more chitooligosaccharides of 1-6 degree of polymerization than that of crude chitinase.

  • PDF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과정 중 chitinase 활성과 조직감 (Chitinase Activity and Textural Property of Leek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유경;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2-107
    • /
    • 1999
  • 김치재료들의 chitinase 활성을 측정하고, 부추의 첨가량을 달리한 김치를 제조하여 15$^{\circ}C$에서 9일간의 숙성과정 중 김치의 chitinase 활성과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김치의 주요 재료들은 쪽파(특히 잎부분)>마늘>부추>대파(특히 잎부분) 순으로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김치숙성 중의 chitinase 활성은 김치액이 김치조직 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각 김치시료간의 효소활성 차이도 김치액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김치액에서의 chitinase 활성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한 반면, 김치조직에서의 chitinase 활성은 숙성 3일 또는 5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김치조직과 김치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부추첨가구가 더 높은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부추첨가구에서는 부추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chitinase 활성을 보였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시료구에서는 김치조직의 침투관통력은 감소하였으며 부추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으나 대조구가 숙성 전 기간동안 가장 낮은 침투관통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부추첨가는 김치 숙성 중 부추의 chitinase 활성에 의해 새우젓 등의 키틴질을 분해하여 chitosan을 형성하므로서 김치의 조직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hitinase 생성을 위한 배did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oe Production of Chitinase)

  • 차진명;석근영;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65-369
    • /
    • 2001
  • Serratia marcescens KY와 Serratia marcescens ATCC 27117 두 균주 모두 기본 배지에 $K_2$HPO$_4$ 농도를 0.2 g/L 농도 첨가할 경우 최대 chitinase 생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세포 성장에 따른 균체량은 기본 배지에 $K_2$PHO$_4$ 농도 0.2 g/L 이상에서는 균체량은 약간 감소한다. 1.2% colloidal chitin과 0.2 g/L의 $K_2$PHO$_4$가 포함된 기본 배지에 MgSO$_4$를 0.2-0.25 g/L를 첨가하였을 때 최대의 chitinase 생성을 보이고, 두 균주 모두 K, P, Mg 및 기타 mineral을 영양 요구 인자로서 필요한다. Colloidal chitin을 1.2% 함유하고 있는 기본 배지에 각종 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세포 성장과 chitinase 생성은 colloidal chitin만을 첨가하였을 때가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하고, 탄소원을 첨가할 경우 Serratia marcescens는 모든 탄소원에서 chitinase 생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질소원에 따른 세포 성장과 chitinase 생성은 Serratia marcescens KY와 Serratia marcescens ATCC 27117 모두 tryptone이 가장 우수하였고, 2.0 g/L의 질소원 농도까지는 질소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hitinase 생성은 증가하다가 2.0 g/L 이상의 농도에서는 질소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hitinase 생성은 감소하였다. 이들 질소원 중 chitinase 생성은 trypotone>yeast extract > beef extract > asparagine 순서로 chitinaserk 생성되므로, Serratia marcescens는 chitinase 생성에 있어 vitamin B군과 같은 질소원을 growth factor로 요구한다.

  • PDF

자몽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항균성 Chitin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 antimicrobial Chitinase Purified from the Grapefruit Extract)

  • 김외연;정나은;제대엽;이동철;김재원;조성환;이상열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7-283
    • /
    • 1994
  • An antimicrobial chitinase was purified from grapefruit extract and its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e chitinase was purified with a single step chromatography on regenerated chitin affinity gel colum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chitinase was 29 kDa. The grapefruit extract contained the chitinase protein more than 50% of its total soluble proteins measured by coomassie stained protein bands. When the purified chitinase was incubated with polymers of N-acetylglucosamine (NAG), such as mycelia of Fusarium oxysproum and swollen chitin, they were degraded to oligosaccharides, and the oligosaccharides were then further hydrolyzed by the same enzyme to monomer and dimer of NAG.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hitinase contained both endo- and exo- chitinase activities. The chitinase was stable to heat and pH treatment; its activity was not diminished by the heat treatment upto 7$0^{\circ}C$ for 1 hr, and it showed a pH stability in the range of pH 4.0 to 12.0.

  • PDF

벼 세포 현탁배양중 chitooligosaccharides 처리에 의해 유도되는 chitinase (Induction of chitinase in rice cell suspension culture treated with chitooligosaccharides mixture)

  • 박희영;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1-6
    • /
    • 1993
  • Chitooligosaccharides 혼합물을 처리한 벼 세포 현탁배양액과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의 단백질 및 효소활성을 비교하여 이 elicitor에 의해 유도되는 chitinase를 확인하였다. Chitooligosaccharide 혼합물 처리로 chitinase 활성은 비처리구에 비하여 3.5배 증가하였으며 증가율이 단백질 증가보다 10배 이상 높아 본 효소가 선택적으로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상 나타나는 총 11종의 chitinase중 4종이 유도효소로 판명되었으며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결과 3개는 $26{\sim}58\;KD$의 분자량을 가진 acidic chitinase 분획에, 나머지 1개는 basic chitinase 분획에 속한 것으로 나타나서 주로 acidic chitinase가 유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58 kDa Chitinase Gene from Serratia marcescens KCTC 2172

  • Gal Sang Wan;Lee S. W.;Choi Y. J.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1호
    • /
    • pp.38-42
    • /
    • 2002
  • A chitinase gene (pCHi58) encoding a 58 kDa chitinase was isolated from the Serratia marcescens KCTC 2172 cosmid library. The chitinase gene consisted of a 1686 bp open reading frame that encoded 562 amino acids. Escherichia coil harboring the pChi58 gene secreted a 58 kDa chitinase into the culture supernatant. The 58 kDa chitinase was purified using a chitin affinity column and mono-S column. A nucleotide and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58 kDa chitinase had a leader peptide consisting of 23 amino acids which was cleaved prior to the 24th alanine. The 58 KDa chitinase exhibited a $98\%$ similarity to that of S. marcescens OMB 1466 in its nuclotide sequence. The chitinolytic patterns of the 58 kDa chitinase released N,N'-diacetyl chitobiose (NAG2) as the major hydrolysis end-product with a trace amount of N-acetylglucosamine. When a 4-methylumbellyferyl-N-acetylglucosamin monomer, dimmer, and tetramer were used as substrates, the 58 kDa chitinase did not digest the 4-Mu-NAG monomer $(analogue\;of\;NAG_2)$, thereby indicating that the 58 kDa chitinase was likely an endochitinase. The optimum reaction temperature and pH of the enzyme were $50^{\circ}C$ and 5.0, respectively.

Serratia marcescens JM에 의한 Chitin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Chitinase from Serratia marcescens JM)

  • 이상환;유의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2-80
    • /
    • 1996
  • Chitinase를 생성하는 세균인 serratia marcescens JM을 해안 갯벌 시료로부터 분리하여,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ffinity adsorption, hydroxylapatite와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chitinase는 7.1% 회수율과 4.22의 정제도를 나타내었으며, 전기영동시 단일밴드를 얻을 수 있었고, SDS-PAGE에 의해 측정된 분량은 59,000으로 나타났다. 정제된 chitinase의 $K_m$$V_{max}$는 5.71mg/mL과 39.8 unit/mL로 나타났다. Chitinase의 최적활성 pH와 온도는 7과 50$^{\circ}C$였고 최적안정pH는 7.0이며 50$^{\circ}C$이하에서는 안정하였다. $Cu^{2+}\;Ca^{2+}$$Mg^{2+}$는 효소활성을 증가시켰으나 $Hg^{2+}$$I_2$는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다. 또한 cysteine은 효소활성을 증가시키나 EDTA, MIA, PCMB, 및 SDS는 효소활성을 억제시켰다. 해수 음이온 중 $MG^{2+},\;Ca^{2+},\;K^+$는 효소활성을 약간 증가시켰으나 $Na^{2+}$ 이온은 1mM이상농도에서 활성이 억제되었다. 본 논문에서 정제된 chitinase는 여러가지 특이점이 있는 serratia효소였다.

  • PDF

Chitinase를 생산하는 길항미생물 Serratia sp. 3095의 선발과 Fusarium 속에 대한 항진균성 (Isol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Chitinase Producing Bacterium Serratia sp. 3095 as Antagonistic Bacterium against Fusarium sp.)

  • 이은탁;김상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181-187
    • /
    • 1999
  • 경주지역의 토양으로부터 Fusarium 속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을 갖는 chitinase 생산성 길항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를 분류학적으로 동정하여 본 결과 Serratia proteamaculans 3095로 동정할 수 있었다. 이 균주가 생성하는 chitinase의 생성조건을 조사한 결과 탄소원으로 colloidal chitin이 가장 좋았으며 그 최적 농도는 0.15%이었고, glucose에 의해 chitinase 생산 유도를 억제받는 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질소원에 의한 영향은 $(NH_4)_2SO_4,\;(NH_4)Cl$, peptone 등에 의해 chitinase 생산성이 증가되었고, $(NH_4)_2SO_4$와 peptone을 각각 0.1%씩 첨가하였을 때 chitinase 생산이 가장 좋았다. 또한 시드름병균 Fusarium oxysporum을 대상으로 in vitro, in vivo pot 실험을 통해 Serratia sp. 3095의 강한 방제력을 검증할 수 있었다.

  • PDF

Streptomyces속 115-5 균주로부터 생성된 Chitinase의 저해작용기작 (Some Kinetic Properties of an Extracellular Chitinase from Streptomyces sp, 115-5)

  • Hong, Yong-Ki;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9-183
    • /
    • 1981
  • 진균류의 세포벽제거 및 이에 따른 protoplast생성 등에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는 chitinase를 Streptomyces sp. 115-5 균주로부터 생산하여 순수 정제한 다음, 이 chitinase의 작용을 저해하는 포도당의 저해양상을 조사하였다. 포도당 외에 D-glucuronic acid, D-sorbitol및 D-xylose등도 chitin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그런고로, 포도당 분자에 의한chitinase의 활성 저해 효과에는 위의 분자들의 공통부분인 2번, 3번 및 4번 탄소의 hydroxyl group들의 구조위치가 중요한 영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포도당에 의한 chitinase의 저해양상은 competitive inhibition 과 non-competitive inhibition 과의 혼합 저해형으로 나타났다.

  • PDF

토양에서 분리된 Xanthomonas sp.의 Chitinase 유전자 cloning과 E.coli에서의 발현 (Cloning of a Chitinase Gene of Xanthomonas sp. Isolated from Soil and its Expression in E. coli.)

  • 김호상;성기영;은무영;황철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25-129
    • /
    • 1998
  •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Xanthomonas sp.는 Candida albicans에 대한 용균성을 나타내며 분비효소로서 chitinase를 분비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특히 chitinase활성은 chitin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3일 배양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이 있는 Xanthomonas의 chitinase 유전자를 cloning하기 위하여 cosmid vector를 이용한 genomic library를 작성하였으며, 다른 박테리아 chitinase 유전자와 homology를 가진 지역의 DNA sequence를 oligonucleotide로 합성하여 probe로 사용한 결과 4개의 독립된 positive clone을 cloning 하였다. 이중 pXCHl(1.2 kb insert) 이라고 명명한 clone에 대해 해석한 결과 이 크론의 전사산물은 chitin 배지에서만 유도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장균 발현 vector를 이용한 이 유전자의 대장균에서의 발현에 대한 실험의 결과 약 35 kDa의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산물의 chitin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전자가 포함되지 않은 산물에 비해 약 10배의 활성을 나타내어 이 유전자를 Xanthomonas sp.의 chitinase유전자임을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