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pepper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9초

음식폐기물로부터 유도된 퇴비가 채소류의 발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ost Derived from Food Waste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Vegetables)

  • 박석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26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ood waste and food wastewater, and to find the effect of salinity variation experiment, the samples of 1, 2, 3 and 4 were prepared by the salinity of 1.0%, 1.5%, 2.0% and 2.5%, respectively. In experiment, aerobic composting reactors were operated by the model which was composed of half an hour's stirring and 2 hour's aeration per day, for 45 days. Seeds of vegetables of Chinese cabbage and red pepper were seeded at compost-free control, compost 1, 2, 3 and compost 4 for the sake of investigation of germination rate and growth rate of those.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is study. 1. In food waste, the moisture content was 60%, organic compound content was 95%, total carbon was 47.5%, total nitrogen was 1.6%(therefore, C/N ratio was 30). The values of pH were 4.0 and 3.8 the values of salinity were 0.9% and 1.2%, and the values of conductivity were 7.8 mS/cm and 18.0 mS/cm, respectively. 2. In salinity experiment, the reduction rate of volume was increased(40%) when the salinity was decreased(1.0%). Also, the reduction rate of mass was increased(52%) when the salinity was decreased(1.0%). This fact denotes that salinity hinders the process of composting. 3. Germination rate and growth rate of Chinese cabbage are more excellent than those of red pepper(97.14%, 5.2:2.5 cm). 4. In Chinese cabbage, germination rate and growth rate at compost with the lowest salinity are more excellent than those at compost-free control(97:94%, 5.2:4.5 cm).

  • PDF

Control of Fungal Diseases with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p. AC-1

  • Park, Yong-Ch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4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LOGICAL CONTROL OF PLANT DISEASES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 /
    • pp.50-61
    • /
    • 1994
  • Biological control of important fungal diseases such as Phytophthora blight of red pepper, gary mold rot of vegetables, and powdery mildew of many crops was attempted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p. AC-1 in greenhouses and fields. The antagonistic bacterium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soils of healthy red pepper plant was very effective in the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plant pathogenic fungi in vitro including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Pyricularia oryzae, Botrytis cinerea, Valsa mali, Fusarium oxysporum, Pythium ultimum, Alternari mali, Helminthosporium oryzae,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ulture filtrate of antagonistic Bacillus sp. AC-1 applied to pot soils infested with Phytophthora capsici suppressed the disease occurrence better than metalaxyl application did until 37 days after treatment in greenhouse tests. Treatments of the bacterial suspension on red pepper plants also reduced the incidence of Phytophthora blight in greenhouse tests. In farmers' commercial production fields, however, the controlling efficacy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was variable depending on field locations. Gray mold rot of chinese chives and lettuce caused by Botrytis cinerea was also controlled effectively in field tests by the application of Bacillus sp. AC-1 with control values of 79.7% and 72.8%, respectively. Spraying of the bacterial suspension inhibited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of many crops such as cucumber, tobacco, melon, and rose effectively in greenhouse and field tests. The control efficacy of the bacterial suspension was almost same as that of Fenarimol used as a chemical standard. Further experiments for developing a commercial product from the antagonistic bacteria and for elucidating antagonistic mechanism against plant pathogenic fungi are in progress.

  • PDF

셀레늄과 게르마늄 강화 배추와 고추 생산기술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the Production of Selenium and Germanium-enriched Chinese Cabbage and Pepper)

  • 윤형권;장성호;서태철;황화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0-185
    • /
    • 2007
  • 셀레늄과 게르마늄 처리 시 배추(봄, 가을배추)와 고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셀레늄처리에 의한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생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Ge 처리시 높은 농도에서 생체중이 감소하였으나 고추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배추의 셀레늄 처리 경우 비타민 C 함량은 Se $4mg{\cdot}L^{-1}$ 10회 처리가 무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게르마늄 처리 경우 Ge $4mg{\cdot}L^{-1}$ 10회 처리와 Ge $8mg{\cdot}L^{-1}$ 5회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고추에서 셀레늄 처리에 의해 Se $2mg{\cdot}L^{-1}$ 20회 처리가 높았으며 홍고추가 풋고추에 비교하여 비타민 C 함량이 약 2배가량 많았다. 봄, 가을배추 부위별 셀레늄함량은 외엽>중엽>내엽 순으로 많았고 엽육부위가 중륵에 비해 높았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게르마늄 처리 시 가을 배추 잎에서 모든 처리구가 무 처리에 비해 높았다.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박건영;이숙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28-1235
    • /
    • 1997
  • 문헌을 이용한 표준화 배추 김치의 배합비를 표준 값으로 하고 표준편차 만큼의 양을 가감하여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기능성 실험으로 항돌연변이성과 항암성을 평가하여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를 표준화하였다. 절인 배추 100에 대해 무 13.0, 파 2.0, 설탕 1.0, 고춧가루 3.5, 마늘 1.4, 생강 0.6, 멸치액젓 2.2, 염도 2.5% 또는 2.7%로 조절한 배추김치의 경우가 관능검사에서 주관적인 평가항목인 종합적인 냄새, 향미, 질감과 종합적인 평가에 있어서 좋았고, 객관적 평가항목인 군덕내, 군덕맛이 적게 감지되었으며, 이화학적 실험결과 및 재료배합비에 따른 $AFB_1$의 항돌연변이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김치 시료에서 높은 항돌연변이효과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고, 특히 표준화 배추김치의 즙액은 84%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80%이상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관능성과 기능성의 연을 고려해 볼때 가장 적절한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한 재료배합비는 절인 배추 100g에 대해 무 13.0 g, 파 2.0 g, 설탕 1.0 g, 고춧가루 3.5 g, 마늘 1.4 g, 생강 0.6 g, 멸치 액젓 2.2 g, 염도 2.5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헌을 통한 표준화의 재료배합비 중 최종염도만 2.7에서 2.5로 변한 것 외에는 일치하였다.

  • PDF

김치의 숙성중 색상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 in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미경;하귀현;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4-278
    • /
    • 1994
  •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to visually evaluate the fermentation degree of Chinese cabbage Kimchi. Color "a" and 'H" values in the white part, "a", "H" and "C" values in the green part of the Kimchi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pH, respectively. "a" and "H" values of Kimchi juice. "L" and "V" values of red pepper attached to kimchi had a high correlation with pH. The color of the white part was light greenish white in unripended Kimchi, but changed to redish in ripended kimchi. Green part changed from light green to redish green as ripening. Red pepper powder attached to kimchi showed redish color in unripening, but changed to yellowish re din over ripening.

  • PDF

채소(菜蔬) 및 과실중(果實中) 질산염(窒酸鹽)과 아질산염(亞窒酸鹽)의 축적(蓄積)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ccumulation of Nitrite and Niarite in Vegetables and Fruits)

  • 신광순;남궁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4호
    • /
    • pp.111-115
    • /
    • 1977
  • Vegetables and fruits purchased from several markets in Seoul from July to October in 1977 were analyzed to know the level of nitrate-and nitrite-nitrogen accumulation in relation to a public health. Radishes and chinese cabbages utilized mainly as pickled vegetables in Korea resulted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itrate-nitrogen. Some of the levels for radishes and chinese cabbages were notably high and exceeded a recommended upper limit of 300 ppm $No_{3}-N$, and thus these levels would render these samples unsafe for use. The levels in some of vegetables other than radish and chinese cabbage, e.g., spinach, lettuce, green onion, cabbage were relatively high and considered to be unsafe for use in feeding infants, where as those of green pepper, bean sprouts and parsely were very low and safe. And also the levells in fruits were very low and safe. Nitrite-nitrogen contents in all tested vegetables and fruits ranged to trace and appeared not to be accumulated in fresh vegetables and fruits. Stems and roots of radishes and chinese cabbages accumulated approximately 2 fold more nitrate-nitrogen than leaves in 5 samples of each vegetable tested.

  • PDF

보관용기 및 저장조건에 따른 고추 및 배추종자의 10년간 발아율 추이 (Change of Germination Rate for Chili Pepper and Chinese Cabbage Seed in Relation to Packaging Materials and Storage Conditions over 10 Years)

  • 소은희;이우문;박기웅;최근진;윤무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64-871
    • /
    • 2014
  • 종자 저장 시 보관조건은 종자의 활력유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급격한 종자활력의 저하는 발아율저하의 중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채소작물 중 고추(Capsicum annuum L.) 및 배추(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종자의 저장조건(저장온도 및 보관용기)에 따른 10년 동안의 발아율추이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저장기간에 따른 두 종자의 활력유지를 위한 효율적 저장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고추 및 배추종자를 각각 진공 알루미늄 호일 봉투, 폴리에틸렌(PET)병 및 종이봉투에 실리카겔과 함께 밀봉하여 상온, $15^{\circ}C$$5^{\circ}C$ 등 세 가지 온도조건 하에서 10년간 보관하면서 6개월마다 발아율검정을 수행하였다. 고추 및 배추종자는 $15^{\circ}C$$5^{\circ}C$에서는 보관용기에 상관없이 6.5년까지 저장하기 전의 활력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상온/종이봉투 조건하에서는 각각 4년째 및 5년째에 활력을 잃었다. 상온조건일지라도 진공 알루미늄 봉투에 보관 시 저장 6년까지 보관전의 활력을 유지하였고 특히 고추종자의 경우 저장기간 10년이 경과하여도 9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종자저장시설(장기 및 중기)이 없더라도 고추종자의 경우 상온/진공 알루미늄 봉투, 배추종자의 경우 $5^{\circ}C$/진공 알루미늄 호일 봉투에 보관한다면 10년 이상 90% 이상의 발아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활력유지 점검을 위한 모니터링 기간을 늦춰 발아검정을 위한 시료낭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유지(油脂) 및 단백질조성(蛋白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Analytical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Oil and Protein in the Seed of Thornless Chinese Pepper Zanthoxylum schinifoilum var. inermis Nakai)

  • 윤한교;김지문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70-176
    • /
    • 1976
  • 야생식용유자원(野生食用油資源)의 개발(開發)을 위하여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종실유(種實油)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상(性狀)을 A. O.AC. 법(法)으로,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및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의 amino 산조성(酸組成)을 GLC법(法) 및 amino acid auto analyzer 로 각각 분석(分析)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민산초나무의 종실(種實)은 비교적 다량(多量)의 유지(油脂)(47.05%), 단백질(蛋白質)(20.14%) 및 회분(灰分)(3.1%)을 함유(含有)하고 있는 영양가(榮養價)가 높은 반식물(飯食物) 또는 식용유(食用油)로 인정(認定)되었다. 민산초나무 종실(種實)에는 극미량(極微量)의 유황(硫黃)(0.02%)과 cyan 화합물(化合物)(0.00005%)이 함유(含有)되였으나 모두 한계량이하(限界量以下)로서 식용유(食用油) 및 생과(生菓)로서 이용이 안전(安全)하다. 종실유(種實油)는 옥도가(沃度價) 145.2로서 건성유(乾性油)에 속(屬)하며 산가(酸價), 감화가, 굴절율(屈折率)등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도 불포화고급(不飽和高級)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 특성(特性)을 나타냈다.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oleic acid(34.8%), linoleic acid(25.1%), linolenie acid(26.1%)등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함량(含量)이 80%이상으로서 식용유(食用油)에 적합(適合)한 것으로 인정(認定)되였다. 종실단백질(種實蛋白質)에서 17종(種)의 amino산(酸)을 분석정량(分析定量)하였으며,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등 필수(必須) amino산(酸)의 함량(含量)이 비교적 높았고, glutamic acid의 함량(含量)(4.985%)이 특히 높아서 단백질원(蛋白質源)으로서 유용(有用)하다고 인정(認定)되었다.

  • PDF

채소 종자별 온탕침지 종자소독 효과검정 (Evaluation of Hot Water Treatment for Disinfection of Vegetable Seeds for Organic Farming)

  • 이지현;신순선;박용주;류경열;지형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57-163
    • /
    • 2007
  • 본 연구는 유기농 채소종자의 소독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온탕침지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엽채류 중 열에 비교적 민감한 상추 종자의 최적 온탕침지 조건은 $45^{\circ}C$ 25분이었으며 배추와 무 종자 $50^{\circ}C$ 25분이었다. 온탕침지로 이들 종자의 발아율과 생장은 무처리와 비슷하거나 촉진되었고,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Mucor 등의 종자감염 곰팡이는 90% 이상 혹은 100% 억제되었으며 상추 종자에 감염된 세균 억제효과는 98.5%였다 오이, 고추, 호박 등 과채류 종자 중에는 호박이 가장 온수에 감수성이었는데 $50^{\circ}C$ 15분 침지가 적합하였고 오이와 고추 종자는 $50^{\circ}C$ 25분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온탕 침지한 오이 및 호박 종자의 발아율 및 생장은 무처리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는데, 고추의 경우에는 발아율은 50% 이상 증가되었으며 뿌리생장은 5배 이상 신장되었다. 이들 종자에 감염된 곰팡이 중 Rhizopus, Aspergillus, Penicillium, Mucor등의 억제율은 $72%{\sim}95.4%$였고 감염세균의 억제율은 $65.5%{\sim}86.0%$였다. 본 시험의 결과로 볼 때 온탕침지의 최적 조건은 종자에 따라 다소 다르며, 온탕침지는 모든 종자전염성 병원균을 방제할 수는 없으나 이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로 유기농업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및 부산근교의 명가김치 발굴을 위한 연구 (A Study of Famous Traditional Kimchi in Pusan and Near Pusan Area)

  • 문갑순;송영선;전영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4-81
    • /
    • 1996
  • 김치는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가정마다 독특한 김치맛을 이어왔으나 최근 산업화와 주거환경의 변화 등으로 사먹는 김치의 수요가 늘고 있고 점차 레시피의 다양성을 요구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 지역의 기호에 맞는 김치를 표준화시키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기호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요긴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급김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부산 및 부산인근의 예로부터 김치맛으로 유명한 명가김치들을 발굴하고 이를 현대화할 필요성이 높다. 따라서 이의 발굴을 위해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내에 명가김치 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여러 채널을 통해 9종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를 발굴하였고 이를 공장김치나 문헌상의 김치의 레시피와 비교해 보았다. 이들의 통배추김치의 레시피상의 특징은 고춧가루, 마늘, 젓갈의 사용량이 많았고 젓갈은 대부분 자가의 멸치젓을 사용하고 있어서 맛이 진하고 매운 남부지방 김치의 특성을 나타내 주었다. 생선류와 청각 같은 해산물의 사용이 많았던 것도 중요한 특징으로 여겨진다. 다량의 고추가루를 개기 위하여 멸치 우린물이나 새우 우린물, 배ㆍ무ㆍ양파 즙을 사용하였고 찹쌀풀을 넣어 맛을 부드럽게 하였다. 재료의 선정에 매우 신경을 써서 좋은 배추를 구매하고 있었으며 고추가루는 색깔을 중시하여 태양초를 선호하였고 풍부한 고명의 사용도 명가김치로서의 품위를 높이는데 소중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았다. 절인배추 1000 g에 대한 부재료의 비에서 명가김치와 타김치와의 차이가 확실하여 김치에 첨가하는 부재료들의 다양성과 함량이 김치의 맛과 품위를 높이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염농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남부지방 김치의 특징인 짭짤한 김치는 많지 않아서 2% 부근의 슴슴한 김치가 많았고 이는 소량의 김치담그기, 냉장고의 일반화 및 저염화의 경향 등으로 설명할 수 있겠고 특히 대부분의 조사대상들은 김치의 소금절임 과정을 대단히 중시하여 슴슴하게 소금절임하는 것이 배추의 아삭아삭한 조직감을 유지하는데 중요함을 알고 있어 김치의 염농도와 조직감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