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Understanding of Teaching Strategies on Quadratic Function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Huang, Xingfeng;Li, Shiqi;An, Shuhu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7-194
    • /
    • 2012
  • What strategies are us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quadratic functions in mathematics classroom? In specific, how does Chinese teacher highlight a connection between algebraic representation and graphic representation? From October to November 2009, an experienced teacher classroom was observed. It was found that when students started learning a new type of quadratic function in lessons, the teacher used two different teaching strategies for their learning: (1) Eliciting students to plot the graphs of quadratic functions with pointwise approaches, and then construct the function image in their minds with global approaches; and (2) Presenting a specific mathematical problem, or introducing conception to elicit students to conjecture, and then encouraging them to verify it with appoint approaches.

Features of Student Engagement in Chines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 Ye, Lijun;Si, Haixia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4호
    • /
    • pp.333-345
    • /
    • 2010
  • This study focuses on student engagement in Chinese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By the record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on video case, this study explored the main acts and time of student engagement. The data showed that among the student engagements: (1) Students' responses to teacher's question occurred most frequently; (2) Collective responses were much more than the individual responses; (3) Students' responses and classroom practice spent the longest time; (4) The most frequent student engagements occurred in the aspects of classroom practice; and (5) Students rarely asked a question to teachers.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teacher's effective guidance could improve the level of student engagement and the content of classroom practice is very important to the quality of student engagement.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s in the New Curriculum of Mainland China

  • Ding Rui;Wong Ngai-Y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205-213
    • /
    • 2006
  • In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with hypothetical situations questions and got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 status quo of what is happening in the new mathematics classrooms of Mainland China, that is, teachers'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their teaching approaches influence the students' conceptions of mathematics to a large extent. For the teacher who emphasizes the precision and rigidity of mathematics, her students focus on the superficial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On the contrary, for the teacher who believes that mathematics is an open process, related to real life and rich in content, her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mathematics and have more diverse conceptions.

  • PDF

중국 수학 교실에서 교사 발문과 담화 유형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Teacher Questions and Discourse Type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Liu, Went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487-509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라는 독특한 수학 교실 배경이 있는 중국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실 담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실 담화를 시작 발화로서 교사 발문 통계와 교사 발문 유형별 에피소드를 분석하였고, 교실 담화 구조 분석으로는 특히 다섯 가지 IRF 하위 유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중국 귀주성 귀양시에 위치한 H학교에 재직 중인 세 명의 수학 교사가 녹화했던 수학 수업 총 15개의 녹취록과 교사 서면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차시별로 평균 20개 교사 발문이 관찰되었고 교사 발문의 사회적 스케폴딩 역할이 있었으며, 교사 발문 유형은 확인형 발문(이해확인 발문, 설명요구 발문, 상세요구 발문, 재확인 발문)과 정보형 발문(정보제시 발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담화 분석에 따르면 IR형 담화 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IRF형 담화 구조의 경우는 단편적인 평가, 평가 및 이유, 근거 설명, 평가 및 학생 반응 재진술, 다른 사고나 해법 안내, 그리고 학생 답 수정이나 교사 의견 제시로 구분되었다.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in Science Classes)

  • 김희경;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3-4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과학교사의 사례와 과학 교과에서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에 대한 교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128명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 339개와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 사례 199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과의 적응적 실행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이었다. 가장 많은 적응적 사례로 제시한 항목인 '추가적인 자료/활동의 제시'에서 학생들의 이해나 동기유발을 위해 시범실험을 추가하여 제시하는 것이나 두 번째로 많은 사례가 제시된 '실험기구 조작이나 탐구기능 제시'에서도 실험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응답한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적응적 실행에 대해서도 50%가 넘는 사례가 실험 지도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둘째, 수리력과 문해력 등 학습 상황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적응적 실행도 많이 제시되었는데, 과학 학습에서 도구로 사용되는 수학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사례와 한자어로 된 과학 용어의 이해와 관련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실험 지도' 이외에 '과학이론과 실세계의 연결', '과학 오개념 지도', '과학적 사고 함양', '융복합적 접근' 등을 위한 적응적 실행이 과학 교과의 특징적인 유형이었다. 넷째, 과학교사들이 제시한 적응적 실행의 사례는 학교급별로 전공별로 차이가 있어 적응적 실행과 관련된 추후 연구에서 학교급이나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례수가 적은 적응적 실행 항목들은 대부분 거시적 측면에서 실행되는 적응적 실행으로 이와 연관된 전문성 향상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