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ese cabbage by-product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2초

얼갈이배추의 재배기간 중 Chlorothalonil, Indoxacarb, Lufenuron, Metalaxyl 및 Methomyl의 잔류량 변화 (Residual Pattern of Chlorothalonil, Indoxacarb, Lufenuron, Metalaxyl and Methomyl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in Chinese Cabbage)

  • 고광용;김성헌;장영희;이규승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4-42
    • /
    • 2008
  •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출하 전 농산물 검사시 얼갈이배추에서 검출빈도가 높은 chlorothalonil, indoxacarb, lufenuron, metalaxyl 및 methomyl 등 농약 5종에 대하여 수확 10일전에 대상약제를 살포하고 생산기간중의 경시적인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얼갈이배추의 생산기간동안 표준량 살포 처리구에서 chlorothalonil의 잔류량은 55.58 mg/kg(0 day)에서 20.08 mg/kg(10 day)로 감소하고, 반감기는 7.45일 이었으며, indoxacarb는 7.85 mg/kg(0 day)에서 1.46 mg/kg(10 day)로 감소하고 반감기는 4.2일 이었으며, lufenuron는 1.57 mg/kg(0 day)에서 0.49 mg/kg(10 day)로 감소하고 반감기는 5.85일 이었으며, metalaxyl은 8.12 mg/kg(0 y)에서 0.10 mg/kg(10 day)로 감소하고 반감기는 1.75일 이었고 methomyl은 11.51 mg/kg(0 day)에서 0.80 mg/kg(10 day)로 감소하고 반감기는 2.42일 이었다. 또한 배량 처리구에서의 반감기는 chlorothalonil 9.05일, indoxacarb 7.09일, lufenuron 8.82일, metalaxyl 3.32일, methomyl 2.72일 이었다.

재배 시 brushing 처리에 따른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생육과 수확 후 선도 차이 (Growth and Postharvest Freshness of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Baby Leaf Vegetable as Affected by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 이정수;도경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5
    • /
    • 2012
  • 새싹이나 어린잎과 같이 싹을 길러 이용할 수 있는 채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조직이 연해 수확 후 급격히 품질이 저하되어,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확 전 재배에서부터 개선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다채의 어린잎 채소를 재배 중에 brushing처리를 주어 생육 및 재배 후 포장하여, 중량감소, 선도와 SPAD 등의 수확 전 요인에 따른 수확 후 변화 요인을 조사하였다. 수확 시 다채의 생육은 무처리구에 비해 물리적 brushing처리구에서 초장이나 생체중은 적었으나, 조직이 치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중 brushing처리한 어린 다채 잎은 저장 중 생체중량 변화, $O_2$ 소모나 $CO_2$ 축적 정도, 색차 변화가 적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SPAD값이나 선도에서는 처리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린 다채 잎은 재배 중 물리적 brushing처리로 식물 조직이 치밀해지고, 생육은 적어졌으나, 포장 후 저장 특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선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잎 채소 다채는 재배 중 brushing처리에 의한 물리적 처리가 수확 후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아, 다른 방법으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굴 패화석 비료가 배추 수량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yster-Shell Meal on Improving Spring Chinese Cabbage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 이주영;이창훈;윤영상;하병연;장병춘;이기상;이도경;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74-280
    • /
    • 2005
  • 남부해안지역의 굴 양식장에서 배출량이 날로 증대되고 재활용도가 낮아 지역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굴 패각으로부터 제조된 굴패화석 비료의 농업적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봄배추의 수량, 그리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밭토양에서 배추의 최고수량은 굴패화석 비료 약 $9Mg\;ha^{-1}$ 처리 시 획득이 가능하였으며, 약 $4Mg\;ha^{-1}$ 처리 시 소석회의 추천시비량 $2Mg\;ha^{-1}$에서와 동일한 수준의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굴패화석 비료는 토양의 pH 교정, 칼숨 및 붕소 공급효과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밭 토양에서 배추의 최고수량은 굴패화석 비료 약 $9Mg\;ha^{-1}$ 처리 시 획득이 가능하였으며, 굴패화석 비료 약 $4Mg\;ha^{-1}$ 처리 시 소석회 추천량 $2Mg\;ha^{-1}$ 처리 때와 동일한 수준의 토양 pH 교정과 Ca 공급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굴패화석 비료의 과량시용은 토양 내 치환성 Ca 농도증가에 의한 배추의 생육저해 및 수량 감소, 그리고 토양의 물리성 악화 원인이 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굴패화석 비료의 활용도를 증진 시키기 위해서는 이 부분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한 대처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굴패화석 비료는 비교적 많은 양의 붕소를 포함하고 있어 배추에 대한 붕소시용 대체효과 및 미량원소의 이용률을 증진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굴패화석 비료는 토양 pH 교정 및 미량원소 공급을 할 수 있는 토양개량제로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Agrobacterium을 이용하여 형질전환시킨 배추에서 T-DNA Right Border 인접염기서열 분석 (Analysis of right border flanking sequence in transgenic chinese cabbage harboring integrated T-DNA)

  • 안홍일;신공식;우희종;이기종;김효성;박용환;서석철;조현석;권순종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15-21
    • /
    • 2011
  • Agrobacterium tumefaciens와 운반체 416을 이용하여 cryIAc1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배추 14개체를 선발하였다. Southern blot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1 사본 유전자가 도입된 개체가 6개이었으며 backbone 염기서열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4개체이었다. LB 인접서열 분석 결과, 416-2과 416-3은 23 bp의 LB 부위가 남아있는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였고, 416-9 경우 15 bp가 남았으며, 416-17 경우 LB를 포함하여 안쪽의 염기서열의 최대 36 bp의 결실이 확인되었다. T-DNA의 염기서열을 제외한 배추 gDNA의 499 bp의 LB 인접염기서열은 B. oleracea의 염기서열과 96% 상동성을 가진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RB border 인접서열 분석용 primer를 제작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모두 834 bp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였고, vector의 구성 요소 중 cryIAc1의 3' 말단 부위, nos-terminator 부위와 52 bp 및 배추 gDNA RB 인접염기서열로 확인되었다. RB 염기서열은 확인할 수 없었으며 nos-terminator 3' 말단의 21개의 염기를 포함하여 모두 58개의 염기서열이 결실된 것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식물체를 제작할 경우 발생하는 전이유전자나 식물의 염색체에 염기 결실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번 실험의 경우, 전이유전자가 삽입된 위치에서 약 10 bp의 배추의 gDNA 염기가 결실된 것이나 삽입된 전이유전자의 RB 말단부분이 결실된 것은 예상할 수 있는 결과였지만, 특히 전이유전자의 말단인 nos-terminator 3' 끝에 65 bp 정도의 배추의 다른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였다. 삽입된 다른 배추유전자의 절편은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위치와 기능확인이 필요할 것이다.

농산 부산물을 이용한 애느타리 및 버들송이의 배지재료 활용 효과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and Agrocybe aegerita using Agricultural by-product)

  • 이희덕;김용균;김홍규;한규흥;문창식;허일범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47-50
    • /
    • 1998
  • 농산부산물첨가배지 개발로서 이화학적 특성은 콩비지첨가구에서 유기물, 질소, 탄소 함량이 높았으며 전처리구의 pH, 유기물, 질소, 탄소 함량은 버섯 생육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애느타리 관행재배시 병당(850cc)에서 갓의수 20개 72g에 비하여 콩비지 10% 첨가구는 갓의 수 12개 수량 77g으로 7% 증수, 귤껍질 10% 첨가구는 갓의 수 21개 수량 11% 증수되었다. 버들송이 관행재배시 병당 (850cc) 수량 98g 대비 한약박을 제외한 모든 농산부산물 첨가해서 증수되었으나 그중 콩비지 10% 첨가구가 수량 113g으로 15% 증수되었다. 저비용 고효율 농산부산물 버섯 배지개발로써 농가경영비 절감과 고품질 버섯 생산으로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s of an Organic Fertilizer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Amended with N) on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 임선욱;류진창;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1979
  •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토양(土壤)에서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대풍표(大豊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져 포장(圃場)과 실내(室內)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가. 시험포장(試驗圃場)의 비옥도(肥沃度)가 높아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나 무우의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한 영향(影響)은 못 미쳤다. 이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던 때문인 것 같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특(特)히 배추의 가리농도(加里濃度)를 높게 했으며, 무우의 경우(境遇) 엽중(葉中) 가리농도(加里濃度) 증가(增加)는 무우의 엽(葉)/근(根) 비(比)를 낮게 했고 낮은 엽(葉)/근비(根比)는 근중(根重)을 낮게한 경향(傾向)이었다. 2.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공극율(空隙率)을 높이고 가비중을 낮게 하여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을 개선(改善)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내수성(耐水性) 대립단(大粒團)의 발달(發達)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과 토양총질소(土壤總窒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나 1 회시용(回施用) 으로는 그 증가량(增加量)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게 하는 경향(傾向)인데 이는 이 비료중(肥料中)의 질소(窒素)가 유안(硫安)의 형태(形態)로 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3. 본(本) 비료(肥料)는 유기물(有機物)과 질소(窒素)를 함유(含有)하는 비료(肥料)이므로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낮은 척박지 에서 효과(效果)가 기대(期待)되며 그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는 시험(試驗)이 바람직하다.

  • PDF

역전사 중합효소련쇄반응(RT-PCR)과 제한효소 분석을 이용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신속한 검정과 동정 (Rapid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Cucumber Mosaic Virus by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Restriction Analysis)

  • Park, Won Mo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3호
    • /
    • pp.267-274
    • /
    • 1995
  • Based up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As strain of cucumber mosaic virus (CMV-As0 RNA4, coat protein (CP) gene was selected for the design of oligonucleotide primer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virus.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performed with a set of 18-mer CMV CP-specific primers to amplify a 671 bp fragment from crude nucleic acid extracts of virus-infected leaf tissues as well as purified viral RNAs. The minimum concentrations of template viral RNA and crude nucleic acids from infected tobacco tissue required to detect the virus were 1.0 fg and 1:65,536 (w/v), respectively. No PCR product was obtained when potato virus Y-VN RNA or extracts of healthy plants were used as templates in RT-PCR using the same primers. The RT-PCR detected CMV-Y strain as well as CMV-As strain. Restriction analysis of the two individual PCR amplified DNA fragments from CMV-As and CMV-Y strains showed distinct polymorphic patterns. PCR product from CMV-As has a single recognition site for EcoRI and EcoRV, respectively, and the product from CMV-Y has no site for EcoRI or EcoRV but only one site for HindIII. The RT-PCR was able to detect the virus in the tissues of infected pepper, tomato and Chinese cabbage plants.

  • PDF

밭 토양에서 패화석비료 시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증대 (Increased Available Phosphate by Shell Meal Fertilizer Application in Upland Soil)

  • 이창훈;이주영;하병연;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05
  • 굴껍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화석비료가 토양개량제로서 배추의 생육 및 수량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통 (Fine silty, Typic Endoaquepts)의 밭 토양에 굴패화석비료를 0, 4, 8, 12, and $16Mg\;ha^{-1}$ 처리하여 봄배추를 재배하는 과정 중 패화석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유효인산함량은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1차적으로 패화석비료내 포함된 인산 ($1.5g\;P_2O_5\;kg^{-1}$)의 직접투입이 토양 내 전 인산을 증가시키고 유효인산을 증진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알카리성 제재인 패화석비료가 pH 5.8의 공시토양의 pH를 중성범위로 높이면서 간접적으로 유효인산함량을 증진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패화석비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수용성 인산과 Ca-P 함량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Al-P와 Fe-P의 비율을 크게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패화석비료는 토양내 유효인산함량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이렇게 많아진 유효인산을 이용하여 인산시비량을 저감하고 나아가 인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외식급식산업에 있어서 국(탕)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Soup(Tang) upon Customers Royalty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n Korea)

  • 이영남;노성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82-493
    • /
    • 2003
  •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stress the thoughts that soups should be offered taking into account customer's preference aimed at leading to eventual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that Korean traditional food should take the lead in shifting dining-out industry's paradigm to customer-orientation instead of product-orientation. From August 15 through August 30, 2003, the drawn-up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500 numbers of adults aged over 20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of Korea and the finally collected 361 questionnaires from them have been analysed as a subject for this study. It showed that the male respondents(44%) dined out much more frequently than the female respondents(35%) and their rate of 5,000-7,000 Won for a meal was most preferred as their average expenditure at one sitting in the restaurant. When eating Korean food at home or in a restaurant, the majority(5l,3%) of them think the soups(Tang) should be served coupled with their ordered meals. Among soups using flesh and meat as a staple material, they most preferred beef & bone soup(33.2%), followed by beep rib soup(30.4%) and beef soup with seasoned red pepper(l0.8%), and among soups using fish & shell and crustacean as a staple material, most preferred were hot fish soup(20.6%), loach soup(l5.2%) and hot crab soup(11.4%). Among soups using beans as a staple material, they most preferred soybean paste stew(33.2%), uncurdled soybean curd stew(29.4%) and Dambuk stew(l5.8%). Among soups using fowls and birds as a staple material, chicken soup with ginseng(51.9%), plain chicken soup(l8.4%) and chicken soup with red pepper sauce(l2.3%) falls on the most preferred. Among soups using vegetables and seaweeds as a staple material, most preferred are sea mustard soup(25.3%), Kimchi soup(16.8%), soybean paste soup with Chinese cabbage(13.0%) and bean sprout soup(10.1%). The soups(Tang) most preferred in the morning time are those soups whose staple materials are vegetables and seaweeds, such as sea mustard soup, bean sprout soup, Kimchi soup and soybean paste soup with Chinese cabbage while the soups most preferred for the lunch time are beef & bone soup, beep rib soup, chicken soup with ginseng and beef soup with seasoned red pepper while beef soup with seasoned red pepper, beef & bone soup, soybean curd stew and Kimchi soup are most preferred soups for the dinner time. The survey showed that 41 % of the subject preferred chicken soup with ginseng for a food considered good by themselves for their health. The male respondents preferred Bosin-tang(soup of edible-dog meat) than the female counterparts did, while the female respondents preferred chicken soup with ginseng than the male counterparts did. The survey showed that when eating korean traditional food, 70% of the subject are visiting a restaurant where soups are cooked delicious while 61% of the subject think that price does not matter if only food tastes good, which is reflecting that taste of food is a decisive factor in selecting menu rather than its price is. In conclusion, you can say that taste of sou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creating steady customer in the restaurant, taking it into account Korean people most prefer their traditional food when dining out.

  • PDF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체계화 연구(I) -상용식품의 폐기율 조사와 급식소의 유형별 음식물 쓰레기량과 교육에 의한 개선효과- (The Systematic Study on Reduction of Food Waste Products(I) -Survey on Waste Rates of Frequently Consumed Korean Foods and Effect of Education on Kitchen Wast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s -)

  • 전예숙;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3
    • /
    • 1999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imate waste rates of 69 food items after pre-preparation and amounts of food wastes disposed and it's reduction effect by education in some institutional foodservices for reduction of the food waste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waste rates were 55.40% for sweet corn, 5.73% for potatoes, 19.14% for sweet potatoes, and 33.47% for chestnuts. 2. The waste rates of fruits were 0.21-49.36%. Food items with over 40% waste rate were banana, watermelon, and pineapple. 3. The waste rates of vegetables were 1.14-52.90%. The number of foods with under 10% waste rate were 14 items(red pepper, green pepper, chard, and so on), 10-20% was 9 items(perilla leaf, chinese cabbage, ginger root, and so on), 20-30% was 5 items(root of chinese bellflower, garlic, radish-leaves, burdock, welsh onion-large type), 30-40% was 3 items(shepherd's purse, head lettuce, kale) and over 40% was 3 items(water dropwort, crown daisy, mallow). 4. The waste rates were 24.30% in chicken, 9.53-13.79% in eggs, and 9.30-55.32% in fishes. The waste rates of vegetables and fish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food groups. 5.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mount of food wastes disposed (g/person/day) to institutional foodservices (hospital>industrial institution> Korean restaurant>elementary school). The amount of food wastes disposed, especially amount in pre-preparation phase, after education for reduction of food wastes was significantly reduced. Since these study results show significant deviations in food waste rates and education effec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for standard waste rates of each food and systematic education method for reduction of food was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