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Hospital

검색결과 4,465건 처리시간 0.029초

전반적발달장애 아동 및 발달성언어장애 아동의 뇌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대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F BRAIN SPECT I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OR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신의진;유영훈;육기환;노경선;송동호;이호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56-265
    • /
    • 1997
  • 전반적발달장애 환자와 발달성언어장애 환자의 뇌혈류량의 분포를 조사하여 각 질환의 국소적 뇌기능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14명의 전반적발달장애 환자와 13명의 발달성언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뇌 technetium-99m-EDC SPECT를 촬영하여 2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판독하고, 대뇌의 측두엽, 두정엽, 기저핵, 시상, 소뇌를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으로 하여 뇌혈류량을 양적으로 측정하여 양군을 비교한다. 뇌 SPECT 소견상 전반적발달장애와 발달성언어장애에서 모두 측두엽, 두정엽, 기저핵, 시상, 소뇌의 혈류량의 감소를 보였고, 혈류량을 양적으로 측정한 결과, 상기부위의 혈류량이 전반적발달장애군과 발달성언어장애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전반적발달장애와 발달성언어장애는 뇌기능의 특정 국소부위의 이상이 아니고, 대뇌피질과 피질하부위의 신경발달-신경연결(interneural connection)-상의 이상에 의한 질환이며, 두 질환이 스펙트럼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뚜렛씨병과 만성틱장애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 조수철;이명철;김자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68-78
    • /
    • 1993
  •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는 7세 전후한 연령에서 가장 흔히 시작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행동장애로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전적인 경향이 아주 강한 질환들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서도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뇌의 기능 또는 기질적인 장애로 인하여 발병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질환들의 생물학적인 원인들 중 일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시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1.0%(13/42)에서 대뇌피질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전두엽이 가장 흔한 혈류 이상 소견을 보인 부위였다.2) 4.8%(2/42)애서 대뇌기저핵의 혈류에 감소를 나타내었다. 3) 4.8%(2/42)에서 시상부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4) 16.7%(7/42)에서 소뇌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5)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간에 혈류장애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6)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에 있어서, 혈류장애가 동반된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걸과로 미루어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중의 하나로 뇌혈류장애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뇌혈류의 정도를 정량화시키거나, 또는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흰쥐 대뇌피질에서의 Somatostatin 신경세포의 생후발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SOMATOSTATIN IMMUNOREACTIVE NEURONS IN THE RAT CEREBRAL CORTEX)

  • 김선미;차중익;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79-90
    • /
    • 1993
  • 대뇌피질에서 somatostatin 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과정을 규명하고자 생후 1, 2, 3, 4주 및 2, 3개월의 흰쥐 대뇌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여 신경세포의 형태, 크기 및 분포와 대뇌피질 영역별 세포 수의 변화를 관측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형태 및 분포의 변화 생후 1주부터 비교적 염색성이 뚜렷한 다양한 형태의 미성숙 신경세포가 대뇌피질 V, VI층에서 관찰되다가 생후 2주에는 세포질내의 염색성이 균일하게 증가되어 있고 여러개의 돌기를 내는 뭇극성세포가 V, VI층뿐 아니라 제 II층에서도 출현하였다. 생후 3주부터는 신경세포체가 점차 II, III층과 V, VI층에 넓게 분포하였고 미성숙한 신경세포는 II, III층에서 보다 많이 관찰되었으며 생후 4주에는 IV, V, VI층에서의 세포의 감소가 뚜렷하여 주로 II, III, IV층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고 미성숙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2) 신경세포체의 크기의 변화 세포체의 크기는 생후 2주를 전후하여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여 생후 8주째에 성숙흰쥐에서의 크기가 되었다. 3) 내뇌피질 영역별 신경세포체 수의 변화 전두, 두정 1, 2, 측두 1, 배모양, 섬피질에서는 생후 1주에서 2주째에 걸쳐 큰 차이없이 세포체의 수가 최대로 증가했다가 이후 성숙흰쥐 수준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측두 3, 후두, 띠, 코주위 피질에서는 생후 2주째에 최대값을 보였다.

  • PDF

청소년용 정신화 프로그램의 학생정신건강 증진효과 평가 (Efficacy of the Mentaliz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 (MIPAdo) for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in School Children)

  • 문수진;오소영;이원혜;홍민하;민정원;김봉석;황준원;우이혁;반건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3권3호
    • /
    • pp.109-116
    • /
    • 2012
  • Objectives : Understanding the emotions, thoughts, feelings and behaviors of others, as well as oneself, is part of the mentalizing function. We developed a new school-based community model for mental health, called the Mentalization Improvement Program for Adolescent-Community Model (MIPAdo-CM), based on the concept of mentalization. Methods : The MIPAdo-CM was composed of 12 sessions and was applied to 403 students in the 2nd grade of a middle school. Every session was conducted after the regular school hours for 6 weeks. After 6 weeks, we compared the endpoint changes of Adolescent Mental Problem Questionnaire-Revised (AMPQ-R), Emotional Empathy Test (EET), Peer Aggression Scale (PAS), Peer Bullying Scale (PBS), School Adjustment Scale (SAS), Test Anxiety Inventory (TAI) and Visual Analogue Scal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MPQ-R, EET, PAS, PBS, SAS, and TAI. On the Visual Analoge Scale, however, students in the trial classes reported more increase in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both others and themselves. Conclusion : The efficacy of MIPAdo-CM was subjectiv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both others and themselves, erence between two groups in AMPQ-R, Empathy test, To prove objective usefulness of this program, further studies with more structured design will be needed.

지각된 간호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대처노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Nurse's Communication Style on Admitted Children Mother's Stress and Coping)

  • 박인숙;오재우;김양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365-373
    • /
    • 2014
  • 간호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노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봄으로써 간호서비스의 개선 및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서,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시행하였으며, D시에 소재한 E병원의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피어슨 상관계수,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지각된 간호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대처노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간호사의 비권위적 스타일이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노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은 권위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친화적인 태도의 의사소통 기술과 정보 제공적 태도의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의사소통 기술들은 체계적인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 - 전남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Recognition of food allergies and dietary attitudes in Jeonnam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오미애;김수경;전은례;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9-69
    • /
    • 2016
  • 본 연구는 전남 나주지역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특성을 알아보고,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식품 알레르기와 식생활 태도 인식을 비교하여 학교급식에서 알레르기 학생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식품 알레르기 증상으로는 '피부'가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 원인 음식으로는 '원인 식품을 모른다'가 33.5%이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경우는 51.0%이었고,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63.9%이었으며, 이로 인해 식품을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53.5%, 식품을 제한하게 된 동기는 병원진단을 통해서가 40.5%로 가장 많았다. 식품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가 가장 많았고, 식품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계절은 '계절과 상관없다'가 가장 많았다. 알레르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특정 식품이나 음식이 64.1%로 가장 많았고, 알레르기에 대처하는 방법은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품 알레르기 예방 치료 방법으로 '원인 식품을 제한한다'가 45.1%로 가장 많았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품 알레르기 인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에 대하여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 '식품 알레르기 상담 및 교육 참여 여부', '알레르기 원인 식품을 제한해서 나타나는 성장기 아동의 문제점',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학교급식 알림판 정보 제공 관심 여부', '알레르기 주의 식품에 대한 교육 필요 여부',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하여 학교에 바라는 점' 항목에서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른 식생활 특성은 편식하는 이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하루 식사, 특정 식품 편식, 주된 간식에서는 식품 알레르기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부 공무원들의 흡연유형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Smoking Patterns among Public Officiers)

  • 현경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2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moking patterns and their relevant factors of the public officials who are placed to guide people's way of thinking as conservative middle-income group and thereupon, provide for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to reduce the diseases and death rate caused by smoking in terms of preventive medicine. For this purpose, 170 public officials working for the government agencies located in seoul were surveyed for Jan. 10-Jan. 20, 1995. The results of survey can be analyzed/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daily smoking frequencies, 50 officials $(29.4\%)$ are driven by stress to smoke. Among these offcials, 250nes $(50.0\%)$ smoke 20-30 times a day. Meanwhile, 22 officials $(12.9\%)$ answered that they smoke for pleasure and comfort, and among them 6 officials $(21.4\%)$ smoke 20-30 times a day. 26 officials $(15.3\%)$ are found to be nicotine­addicted physically or psychologically, and to 10 of them $(35.7\%)$ smoke 20-30 times a day. On the other hand, 10 officials $(5.9\%)$ have habit of smoking and 4 of them $(40.0\%)$ smoke 20-30 times a day. 2. Out of 50 officials $(24.9\%)$ who began smoking on impulse, 44 actually stopped smoking, and the rest 6 officials did not even implement their plan. In view of successful cigarette-stopping, only 8 officials $(15.4\%)$ out of 44 impulse-driven smokers succeeded in stopping cigarettes, while the rest 36 failed all. Meanwhile, out of those 84 officials $(64.6\%)$. Who smoked for reduced stress, 28 ones succeeded, while the rest 56 ones failed. Out of 20 officials who were nicotine-addicted but attempted to stop smoking, only 2 smokers succeeded and the rest 18 were all failures. 3. Factors involving smoking and Their patterns 1) By age group (30's, 40's and 50's), the smoking patterns can be grouped into stress-removing, nocotine-addictive and habitual ones, respectively. 2) By acadeic background, our officials smoke on impulse or due to nocotine addition. 3) The length of career is co-related with nicotine addition. 4) The ownership of house is related with smoking for comfort or less stress. 5) The number of children is related with impulse-driven smoking or smoking for comfort.

  • PDF

치은 퇴축과 치경부 마모의 임상적 변수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linical Parameters on Gingival Recession and Cervical Abrasion)

  • 김은정;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243-258
    • /
    • 2001
  • Gingival recession is exposure of the root surface with apical shift in the position of gingiva. The incidence of gingival recession is 8% in children and 100% after the age of 50. Recession tends to be found in patients with healthy gingiva, but more frequentely found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and it often causes mucogingival defects. Buccal surface of premolar is the area not only for severe gingival recession and cervical abrasion, but also the area of numbers of buccal frenum and less keratinized gingiva. Threrfo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nd examine whether there are clinical relations between gingival recession and cervical abrasion of premolar and other factors related with the condition of periodontal health. Generally healthy 218 patients who had periodontitis, aged between 18 and 78, were examined for depth of periodontal poket, width of attached gingival, gingival recession, cervical abrasion, and frenum of mid-buccal surface of premolar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in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following is the result. 1. The average gingival recession and cervical abrasion of premolar with periodontal disease was 0.76mm and 0.29mm and each has 43% and 14% of incidence. Also the width of attached gingiva of mid-buccal surface was 1.77mm. the average periodontal pocket depth is 2.0mm and 47% of frequently seen was narrow single shaped frenum, and the interdistance of the frenum was mostly over 4mm. 2.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the incidence of gingival recession increased with age and was related much more with female than male, the first premolar than the second premolar, and with narrow attached gingiva and frenum. 3.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the incidence of cervical abrasion increased with age and was related with the area of the first premolar and narrow attached gingiva, but the sexual and frenum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4. The severity of gingival recession increased with age and was more related with female than male, the first premolar than the second premolar. And the area of narrow attached gingiva and frenum showed more gingival recession and the distance of frenum was more highly related than shape, and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5.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the severity of cervical abrasion increase with age and was observed at the first premolar and narrow attached gingiva. But the sexual and frenum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 PDF

복위 및 측위에 따른 신생아의 활력증상, 울음회수, 수유량 및 배설횟수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Experimental Study on the Vital signs, Crying Fluid Intake and Excretion of the Full-term newborn Infant kept in the Prone or Lateral Position)

  • 한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3-143
    • /
    • 1975
  • Most of mothers place their babies in either supine or prone position without change of position. Studies comparing supine and prone position of the newborn infants -have already been performed with the result that the prone position is relatively better than the supine position. However, one kind of position recommended to the mothers is not sufficient for the good rearing practice of children, because the same position placed for period long of time may bring out physical, mental tension and fatigue, and deformities of the skull and the thorax. For this reason nurses have to find out other position which has identical or more advantages than prone position so as to perform the position change for the babies.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vital signs, the number of urination, defecation, diaper rash, crying and amount of feeding of the newborn infants with prone position or lateral position during the first three days of life. Sixty two newborn infants who were delive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to September 5, 1974 were chosen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criteria for the choice of subjects were the babies born with vaginal delivery; body weight 2.5kg or over at birth; Apgar score Seven or over; and gestation period between thirty-eight months ana forty- two months. Of these subjects, by random sampling, thirty-one newborn infants were placed in the prone position and the other thirty-one in the lateral 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iewed in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test to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 1. The heart rates of babies in the prone position were the mean heart rates of 135.03 and those in the lateral position 135.98 withou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spiration rate between two groups : a group in the prone position showed the mean respiration rates of 45,57 and the other in the lateral position 46.49.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ody temperature between two groups: the mean body temperature of a group placed in the prone position was 98$^{\circ}$18'F(36$^{\circ}$77'C) and that of the other group 98$^{\circ}$20'F(36$^{\circ}$78'C). 4. One baby showed diaper rash only in a group of infants in the prone position. 5. The number of crying of the babies in the prone position were 23.70 and those in the lateral position 30.00 with a statistical difference at 5 percent level. 6, There was no difference of frequency of urination between two groups: the mean frequency of a group placed in tile prone position was 5.44 and that of the other group 5.06, 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of defecation between two groups : the mean frequency of a group placed in the prone position was 4.20 and that of tile other group 4.21, 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eeding amount between two groups : the average amount of a group in the prone position showed 325.03 and that of the other group in the lateral position 291.51. All the above results mean that we may substitute tile lateral position for the Prone position or utilize both position for tile rearing practice of the babies.

  • PDF

한국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 FORM OF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 서동수;양석훈;이길홍;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68-177
    • /
    • 2004
  • 연구목적:자살사고에 관한 1차 선별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eynolds의 자가보고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SIQ-JR)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에 적용하여 한국판 SIQ-JR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서울시내 남녀 중고등학생 총 1,160명과, 정신과에 내원한 청소년 임상환자 1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SIQ-JR 이외에, 자살관련 8가지 국내 표준화된 척도(분노, 우울, 불안, 절망감, 공격성, 충동성, 내외통제, 자아평가)를 시행하였다. 결 과:전체 SIQ-JR 총점 평균은 여자가 남자 보다 높았고, 고등학생이 중학생 보다 높았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임상군의 경우 일반 학생군과 높은 변별력(p<0.01)을 보였다. SIQ-JR의 내적일관성을 나타내주는 신뢰도계수는 0.92-0.94, 검사-재검사 상관계수는 0.68-0.78, 항목-전체 상관계수는 0.59-0.82로 모두 높은신뢰도를 보였다. 요인분석 결과 타인에 대한 고려가 독립된 요인으로 추출되었는데 이는 서구의 개인주의와 다른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을 반영한다고 여겨졌다. 공존 타당도 분석결과 자살사고와 자아평가척도와 분노조절척도 점수와는 역상관관계였으며 나머지 6개 척도와는 정상관관계였다. 전체대상의 자살사고 점수와 가장 연관이 높은 척도는 우울척도(r=0.42), 공격성 척도(r=0.36), 특성불안척도(r=0.35), 분노척도의 하위척도인 내재화된 분노(r=0.31) 순이었다. 남자와 고등학생의 경우 공격성(r=0.37)이 가장 자살사고와 관련이 높은 척도였다. 그러나 절망감척도와 충동성척도는 자살사고와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상을 살펴볼 때 한국판 자살사고 척도는 만족할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얻었다고 여겨지는바 학교, 지역사회, 임상현장에서 1차적 자살사고 선별검사 도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