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hood.adolescenc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hood-adolescence trauma on the suicidal ideation in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 박은아;조혜정;이재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3호
    • /
    • pp.223-24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까지 일반 성인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절회귀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의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을 많이 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은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성장이 낮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증가 할수록 자살생각의 증가 또한 강하게 나타났으나, 외상 후 성장이 높은 집단에서는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증가해도 자살생각의 증가폭은 완만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 대상자의 개입의 필요성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언하였다.

Cognitive outcomes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of neona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 Lee, Bo Lyun;Glass, Hannah C.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12호
    • /
    • pp.608-618
    • /
    • 2021
  •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HI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neonatal encephalopathy with a global incidence of approximately 1 to 8 per 1,000 live births. Neonatal encephalopathy can cause neurodevelopmental and cognitive impairments in survivors of hypoxic-ischemic insults with and without functional motor deficits. Normal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early childhood do not preclude cognitive and behavioral difficulties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because cognitive functions are not yet fully developed at this early age. Therapeutic hypothermia has been shown to significantly reduced death and severe disabilities in term newborns with HIE. However, children treated with hypothermia therapy remain at risk for cognitive impairments and follow-up is necessary throughout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Novel adjunctive neuroprotective therapies combined with therapeutic hypothermia may enhance the survival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of infants with HIE. The extent and severity of brain injury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ight predict neurodevelopmental outcomes and lead to targeted interven tions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neonatal encephalopathy. We provide a summary of the long-term cognitive outcomes in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children with a history of HIE and the association between pattern of brain injury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s.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생존자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xual Violence Victim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 주소희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2호
    • /
    • pp.33-6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을 직접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즉, 현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 구조를 탐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연구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 경험이 있는 6명의 여성과 심층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분석과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일상에서 벗어난 그날, 말할 수 없는 공포감: 어느 날 갑자기 왜 하필 이런 일이', '의식하지 않으려고 발버둥침: 말 못할 고통, 말할수 없어서, 나는 왜 이럴까? 난 내가 싫어', '잊었다고 끝이 아니었어: 말하면 괜찮을까?, 의식하게 됨, 더 심해진 혼란들', '내 잘못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내면화된 사회통념들, 여성성에 대한 부정, 혼란과 회복' 등이 있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을 돕기 위한 실천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성 (Children's Sociality and Perceptions of Fathering Practice in Middl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송요현;현온강
    • 아동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9-3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erceptions of fathering practice and their sociality. The subjects were 569 grade 6 students and 511 grade 3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ajor results showed (1) the effectiveness of quantity; that is, children's sociality increased with increase in fathering practice. (2)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fathering practice and children's sociality was higher in middle childhood than in early adolescence. (3) Children's sociality was influenced by child variables and fathering practice variables, especially more by the variables of Fathering Practice. Among the variables of Fathering Practice Scales, the variable of "Education of children" is the most influential element for improving "Children's Sociality".

  • PDF

기혼남성의 성장기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부부기능 및 갈등해결방식과의 관계 -광주지역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The Influence of Married Men′s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on Their Marital Fun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 -Focusing on Married Men in Gwangju Area-)

  • 김경신;김정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8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how married men's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nfluences on their marital func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412 married men who live in Gwangiu.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 marital function was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abuse by parents and witness of father-to- mother abuse. 2. The conflict resolution style was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abuse by parents and the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3. The witness of father-to-mother abuse had the strongest impact on married men's marital function and their conflict resolution style .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concludes that the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a marital relationship.

  • PDF

소아 및 청소년의 신체형장애 (Somatoform Disord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김승태
    • 정신신체의학
    • /
    • 제4권2호
    • /
    • pp.277-285
    • /
    • 1996
  • Somatoform disorders do occur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mong the seven disorders under the grouping of somatoform disorders of DSM-IV, three disorders, namely somatization disorder, pain disorder and conversion disorder are seen relatively more often than one can expec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Pain disorders are more prevalent among children before adolescence, whereas conversion disorder and somatoform disorder are seen more often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Diagnoses of somatofram disorders should not be made by the process of exclusion, but based on positive findings that positive evidence that normal functioning is possible and that a positive history of psychosocial stress and or intrapsychic conflict exists. Treatment strategy should be mindful of including collaboration with primary care health professionals and family therapy staff in addition to all the basic treatment modalities essential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PDF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이 청소년기 애착전이와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애착전이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hood Attachment on Attachment Transition and Loneliness in Adolescence: An Examination of Attachment Transfer Process Model)

  • 전효정;이귀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85-198
    • /
    • 2000
  •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attachment processes in adolescence. However, the nature of attachment formation and transfer during this developmental period were not answered yet. This study examine the mechanism of attachment transfer from parents to friends, and the effects of childhood attachment styles on the level of attachment transfer and loneliness in adolescence. The resets show the majority of participants(70%) used their parents as primary attachment figures but wer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attachment-related functions from parents to peers. There were the significant effects of attachment style, the level of transfer or state and trait loneliness in adolescence. This study provid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for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adolescent attachment formation and loneliness.

  • PDF

아동발달시기별 아동학대 변화궤적 유형 비교 연구 (Identifying latent classes about the changing trajectories of child maltreatment by child developmental period)

  • 한지현;최옥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183-208
    • /
    • 2017
  • 본 연구는 KCYPS의 초1학년과 4학년 패널의 2차 년도에서 6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 발달시기별 학대경험의 변화궤적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초1학년 패널은 2,300명, 초4학년 패널은 2,325명이 최종 분석대상이 되었다. 아동학대 변화궤적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잠재계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체학대에서 초2~6학년에 이르는 아동기는 감소형, 낮은유지형, 증가형, 비학대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초5~중3학년에 이르는 초기청소년기도 같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정서학대에서는 아동기는 감소형, 증가형, 비학대형의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초기청소년기는 감소형, 낮은유지형, 증가형, 비학대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방임에서 아동기는 유지형, 낮은감소형, 낮은증가형, 비학대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초기청소년기는 유지형, 낮은증가형, 비학대형의 3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아동의 발달시기별 학대의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아동기에서 초기 청소년기로 신체학대가 지속되며 아동기에 비해 초기청소년기에 정서학대와 방임이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대 유형에 따라 잠재계층분류를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이론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한국 노인의 당뇨병과 소년기 굶주림 경험 (Impact of Hunger Experiences in Childhood or Adolescence on Diabetes among Korean Elders)

  • 정최경희;강민아;조성일;강영호;하은희;천희란;장숙랑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89
    • /
    • 2010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hunger in childhood or adolescence and diabetes mellitus in old age. Methods: Stratified national samples of 421 men and 554 women aged 60-89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Diabetes diagnosed by a doctor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Experience of hunger in childhood was assessed with the question, "In your childhood, have you ever gone hungry with skipping a meal?" and "In your childhood, have you ever eaten porridge or some bran cake as main dish instead of rice because of lack of food?"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Results: ORs of diabetes by experience of hunger in childhood were 1.64(95% CI 0.95-2.83) for men and 1.58(95% CI 1.01-2.47) for women. Significant association of experience of hunger in childhood with prevalence of diabetes persisted in men after adjustment for adulthood and old age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and other risk factors(OR 1.88(95% CI 1.04-3.41)). The effect of experience of hunger in 10-19 years was more prominent than that in less than 10 years in both gender. Conclusion: Experience of hunger in childhood or adolescence may increase the risk of diabetes in Korean elders.

소아청소년기 당뇨병성 신병증(I); 임상 소견을 중심으로 (Diabetic Nephropath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I) : Clinical Features)

  • 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1호
    • /
    • pp.1-13
    • /
    • 2009
  • 소아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제1형 당뇨병이나 최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서구 사회에서는 제2형 당뇨병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임상소견 상 제1형 당뇨병은 여러 위험인자에 의하여 비교적 전형적인 단계를 거치면서 미세알부민뇨와 당뇨병성 신병증으로 진행하면서 만성 신질환으로 발전하게 되며, 제2형 당뇨병은 비전형적 임상경과를 거치나 신병증 진행율이 높아서, 실제로 당뇨병성 신병증은 전세계 신장대체요법이 필요한 말기 신질환의 가장 많은 원인이며 국내에서도 꾸준히 원인 질환으로서 증가 중이다. 당뇨병이 사춘기 전에 발생하는 경우보다 사춘기나 그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 혈관합병증의 발생이 증가하므로, 사춘기가 위험인자로 작용하며, 이것은 유병기간과 함께 사춘기 전에 소아 당뇨병성 신병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이유이다.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에서 신병증은 비슷하게 15-25%에서 발병하며, 당뇨병성 신병증과 만성 신질환으로 진행하는 과정 중에 가장 중요한 표식자인 미세알부민뇨는 위험인자이고 병리학적 소견과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