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Sexual Violence Victim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생존자에 대한 질적연구

  • Ju, So-Hee (Dept. of Social Welfare, Korean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
  • 주소희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3.10
  • Accepted : 2010.06.22
  • Published : 2010.07.30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Qualitative methodology, which allows us to directly meet individual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see their experience, and qualitatively analyze their experience was employed. More specificall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woman who experienced sex abuse in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analyzed their experience using categorization and theme analysis methods. The key themes that were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data include, 'On the day out of the ordinary; Unspeakable terror', 'Why did this kind of thing happen to me', 'Trying not to loss my senses; Unspeakable suffering, unable to speak', 'I hate myself', 'Forgetting wasn't the end; Would it be okay if I speak out' 'Becoming conscious creates more confusion', 'I know that it is not my fault', 'Internalized social norms', 'Denial of feminity', 'Confusion and recovery'. Based on these findings, I propose a practice guideline to help woman who experienced sexual abus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을 직접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즉, 현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 구조를 탐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연구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 경험이 있는 6명의 여성과 심층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분석과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일상에서 벗어난 그날, 말할 수 없는 공포감: 어느 날 갑자기 왜 하필 이런 일이', '의식하지 않으려고 발버둥침: 말 못할 고통, 말할수 없어서, 나는 왜 이럴까? 난 내가 싫어', '잊었다고 끝이 아니었어: 말하면 괜찮을까?, 의식하게 됨, 더 심해진 혼란들', '내 잘못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내면화된 사회통념들, 여성성에 대한 부정, 혼란과 회복' 등이 있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을 돕기 위한 실천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