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hood Traum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6초

Multiple Ossicular Dislocation Including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Presenting with Conductive Hearing Loss

  • Lee, Geonho;Kim, Yoonjoong;Kim, Bong Jik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5권3호
    • /
    • pp.159-162
    • /
    • 2021
  • Temporal bone trauma can cause hearing loss and in case of prolonged conductive hearing loss, traumatic ossicular injury should be considered. Separation of the incudostapedial joint is the most common lesion, and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is relatively rare but can easily cause perilymphatic fistula. Here,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external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after trauma, ending up with successful surgical outcome. A 27-year-old man with non-progressive hearing loss on the right side since childhood visited the clinic. Audiogram showed a conductive hearing loss with air-bone gap of 55 dB on the right side. Temporal bone CT revealed the disruption of ossicular chain. An exploratory tympanotomy identified multiple ossicular disruptions including external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with shiny fibrous membrane sealing the oval window. Ossicular chain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total ossicular replacement prosthesis of titanium. A postoperative audiogram showed a recovery of air-bone gap less than 10 dB.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external long-standing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with oval window completely sealed with fibrous membrane, ending up with successful hearing recovery by surgery. This case would help dealing with such condition which can be encountered in the clinic.

Multiple Ossicular Dislocation Including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Presenting with Conductive Hearing Loss

  • Lee, Geonho;Kim, Yoonjoong;Kim, Bong Jik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9-162
    • /
    • 2021
  • Temporal bone trauma can cause hearing loss and in case of prolonged conductive hearing loss, traumatic ossicular injury should be considered. Separation of the incudostapedial joint is the most common lesion, and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is relatively rare but can easily cause perilymphatic fistula. Here,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external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after trauma, ending up with successful surgical outcome. A 27-year-old man with non-progressive hearing loss on the right side since childhood visited the clinic. Audiogram showed a conductive hearing loss with air-bone gap of 55 dB on the right side. Temporal bone CT revealed the disruption of ossicular chain. An exploratory tympanotomy identified multiple ossicular disruptions including external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with shiny fibrous membrane sealing the oval window. Ossicular chain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total ossicular replacement prosthesis of titanium. A postoperative audiogram showed a recovery of air-bone gap less than 10 dB.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external long-standing stapediovestibular dislocation, with oval window completely sealed with fibrous membrane, ending up with successful hearing recovery by surgery. This case would help dealing with such condition which can be encountered in the clinic.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between Offspring of Parents with Bipolar I Disorder and Those with Bipolar II Disorder: A Cross-Sectional Study

  • Lee, Hyeon-Ah;Kim, Ji-Sun;Lee, Yeon-Jung;Heo, Nam-Hun;Shim, Se-Hoon;Kwon, Young-Joon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2호
    • /
    • pp.1135-1143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between offspring of parents with bipolar I disorder (BP-I) and those with bipolar II disorder (BP-II). Methods The sample included 201 offspring between 6 and 17 years of age who had at least one parent with BP-I or BP-II. The offspring were diagnostically evaluated using the Korean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Psychopath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cluding lifetime DSM-5 diagnoses, depression, and childhood trauma. Lifetime DSM-5 diagnoses were also compared between schoolchildren aged 6 to 11 years and adolescents aged 12 to 17 years. Results In lifetime DSM-5 diagnoses, offspring of parents with BP-I had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MDD and BP-I than those with BP-II. Regarding clinical characteristics, ADHD rating scale and childhood trauma sc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ffspring of parents with BP-I than that in those with BP-II.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at BP-I may be etiologically distinct from BP-II by a possible genetic liability. Our findings indicate that additional research related to bipolar offspring is nee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ifferences between BP-I and BP-II.

기능성위장질환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과 삶의 질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

  • 이동호;이상열;류한승;최석채;양찬모;장승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1호
    • /
    • pp.20-28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FGID 환자군, FGID양성군 및 정상대조군에서 정신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원광대학교병원 소화기 내과 전문의에 의해 기능성위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135명을 FGID 환자군으로 선정하였다. 167명의 일 도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로마 III 진단 기준에 따라 기능성위장증상을 보이지 않는 79명을 정상대조군, 기능성위장증상을 나타내는 88명은 FGID 양성군으로 선별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K-BDI-II), Korean version of the Beck Anxiety Inventory (K-BAI), Korean version o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K),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PHQ-15),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집단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FGID 환자군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FGID 환자군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결 과 우울 증상(F=48.75, p<0.001), 불안(F=14.48, p<0.001), 아동기 트라우마(F=12.71, p<0.001) 및 신체화(F=24.42, p<0.001)에서 FGID 환자군이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사회적지지(F=39.95, p<0.001)와 회복탄력성(F=17.51, p<0.001) 및 삶의 질(F=52.14, p<0.001)에서 FGID 환자군이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Model 2에서는 Model 1에 심리적 변인들을 추가했으며 회복탄력성(β=0.373, p<0.01)이 가장 중요한 설명 변인이었다. 최종 회귀 모델의 설명 변량은 47.2%였다. 결 론 FGID 환자군은 FGID 양성군 및 정상대조군에 비해 우울 증상, 불안과 아동기 트라우마, 신체화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회적지지 및 회복탄력성, 삶의 질이 낮았다. FGID 환자군의 삶의 질에 주요한 요인은 회복탄력성이었다.

성매매 여성의 외상 경험과 이성 관계 집착 (Traumatic Experience and the obsessive behaviors in romantic relationship of Female Sex Workers)

  • 김수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632-1643
    • /
    • 2013
  • 본 연구는 성매매 여성의 이성 관계 집착 양상을 일반 여성과 비교한 후 매매 아동기 외상 및 성매매 중 외상 경험이 이성 관계 집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매매 여성 및 일반 여성 각 42명이었다. 연구 결과, 성매매 여성은 일반 여성에 비해 이성 관계 집착 중 외로움, 질투, 과민함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거절에 대한 두려움과 의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성매매 여성의 경우 성매매중의 외상 경험은 이성 관계 집착과 상관이 없었으나, 아동기 외상은 이성 관계 집착과 관련성이 있었고 특히 방임 및 가족 내 비밀은 이성 관계 집착과 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이 높았다. 일반 여성의 경우 아동기 외상이 이성 관계 집착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가족 내 비밀과 신체 학대가 이성 관계 집착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 분석결과, 일반 여성의 경우는 아동기 외상 중 신체적 학대가 이성 관계 집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매매 여성의 경우는 방임이란 아동기 외상요인이 이성관계 집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능성위장질환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 및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 김소원;장승호;류한승;최석채;노승호;이상열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1호
    • /
    • pp.25-34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집단, 기능성 위장증상 양성 집단 및 정상대조집단에서 정신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과 연관된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소화기 내과 전문의에 의해 기능성위장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 65명을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167명의 일 도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로마III 진단 기준에 따라 기능성 위장증상을 보이지 않는 79명을 정상대조집단, 기능성위장증상을 나타내는 88명은 기능성위장증상 양성 집단으로 선별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II (K-BDI-II), Korean-Beck Anxiety Inventory (K-BAI), Korean version of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K-CTQ),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K-CD-RISC),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집단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군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결 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학력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했다(p<0.001). FGID 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우울(F=29.012, p<0.001) 및 불안(F=27.954, p<0.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아동기 외상에서 정서학대(F=6.994, p<0.001)와 신체방임(F=5.573, p<0.001)은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체학대, 성 학대 및 정서방임은 세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 사회적 지지 또한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27.664, p<0.001). 회복 탄력성(F=9.623, p<0.001)과 하위영역인 강인성(F=5.123, p<0.001), 인내력(F=8.402, p<0.001), 낙관성(F=15.039, p<0.001) 및 영성(F=5.129, p<0.001)에서도 FGID환자집단이 정상 대조집단과 FGID-positive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척도(F=35.991, p<0.001)와 그 하위영역인 전반적 안녕(F=30.463, p<0.001), 신체적 건강(F=45.247, p<0.001), 심리(F=22.852, p<0.001), 사회(F=20.070, p<0.001), 환경(F=17.851, p<0.001) 모두에서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FGID 환자집단에서 삶의 질은 회복탄력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475, p<0.01), 우울(r=-0.641, p<0.01), 불안(r=-0.441, p<0.01) 및 아동기 외상(r=-0.278, p<0.05)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연구결과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집단은 기능성 위장증상 양성 집단 및 정상대조집단에 비해 우울, 불안과 아동기 트라우마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 및 회복 탄력성이 낮았다. 따라서 추후 기능성 위장질환 환자의 치료에 있어 정신사회적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소아, 청소년 시기의 섬유 강화형 포스트를 이용한 심미 수복 (ESTHETIC RESTORATION WITH FIBER-REINFORCED POST FOR CHILDHOOD AND ADOLESCENT PATIENTS)

  • 박덕용;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8-83
    • /
    • 2009
  • 심한 치아 우식증, 외상, 발육성 결함으로 인한 근관치료 및 광범위한 수복이 필요한 소아, 청소년 시기의 유전치 및 영구 전치부 치료는 소아치과 의사에게 어려운 문제이다. 전치부에 사용되어온 기존의 수복 방법은 치질 손상이 광범위한 경우 유지력과 심미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기에 영구 전치를 수복할 경우 심미성과 유지력 뿐 아니라 성장 완료 후 영구 보철물 수복을 위한 전 준비 단계를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는 소아, 청소년기의 광범위한 전치부 치관 손상에서 섬유 강화형 포스트를 이용하여 심미적 수복을 시도하였으며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utotransplantation: A biological treatment alternative for a patient after traumatic dental injury

  • Vishwanath, Meenakshi;Janakiraman, Nandakumar;Vaziri, Hamed;Nanda, Ravindra;Uribe, Flavi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5-130
    • /
    • 2018
  • Traumatic dental injury is considered a public dental health problem because of a high childhood incidence, high treatment costs, and prolonged treatment time. Although management guidelines for traumatized teeth have been outlined, tooth loss following trauma is occasionally unavoidable. Here, we describe the successful interdisciplinary management of a traumatized central incisor in an 11-year old boy that was extracted because of a poor prognosis and restored by the autotransplantation of an immature donor tooth into the site. The patient underwent orthodontic treatment in order to close the donor site space and bring the autotransplanted tooth to an ideal position. Postorthodontic treatment radiographs and photographs revealed an esthetic and functional natural tooth replacing the lost tooth. The findings from this case suggest that autotransplantation offers unique advantages as a treatment modality for the restoration of missing teeth, particularly in growing children.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횡문근융해증 2례 (Two Cases of Rhabdomyolysis after Excessive Exercise)

  • 이정빈;박성신;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256-261
    • /
    • 2008
  • 횡문근융해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 증후군이다. 합병증으로 심한 대사성 이상과 여러 장기의 침범이 동반 될 수 있는데 치명적인 합병증으로는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초기에 충분한 수액 요법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학교에서 벌로 과도한 운동을 시행 받은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Offspring

  • Na, Min Chull;Kim, Moon Doo;Park, Joon Hyuk;Jung, Young-Eun;Moon, Duk-Soo;Yang, Hyun-Ju;Kim, Bung-Nyun;Kang, Na R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2권2호
    • /
    • pp.63-70
    • /
    • 2021
  • Objective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of mothers may negatively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ir offspring. Little is known about the intergenerational effect of maternal ACE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the offspr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maternal ACEs on PTSD in the offspring. Methods: A total of 156 mothers with children aged 13-18 years completed the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DISC) Predictive Scal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psychiatric disorders in their offspring. The subjects completed the ACE questionnaire and the Early Trauma Inventory Self-Report-Short Form.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CEs and PTSD in the offspring. Results: Of the mothers, 23.7% had at least one ACE, and PTSD was reported in 21.8% of the offspring. The offspring of the mothers in the AC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TSD than the offspring of the mothers in the no ACE group. Maternal household dysfunction independently predicted offspring PTSD [odds ratio (OR)=3.008, p=0.05), and three or more maternal AC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TSD in the offspring (OR=10.613, p=0.025). Conclusion: Maternal A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isk of traumatic experiences and PTSD in the offspring. These findings suggest the presence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s by which maternal ACEs affect the mental health of the offsp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