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psychiatric disorder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기 발병 제1형 양극성 정동장애의 약물치료 : 증례 보고 (The Pharmacotherapy of Pediatric Bipolar I Disorder : Case Report)

  • 홍현주;최태규;육기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8권1호
    • /
    • pp.66-71
    • /
    • 2007
  • There has been increasing recognition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in the psychiatric field during the past 10 years.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this disorder in preadolescent is greatly debated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The authors report 3 cases of children with bipolar I disorder whose clinical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pharmacotherapy. The authors also review current concepts, debates and treatment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산전 및 주산기 위험인자 (Prenatal, Perinatal and Developmental Risk Factor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여진영;최세진;주연호;김효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2호
    • /
    • pp.112-119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natal, perinatal and developmental risk factor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ompared to unaffected siblings (SIB),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C). Methods : Subjects with ADHD, their SIB, and TC were recruited from the child psychiatry outpatient clinic of the Asan Medical Center Children's Hospital. The parents of the children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erinatal and developmental risk factors. Results : Fifty-eight subjects with ADHD (41 boys, $7.7{\pm}1.3years$), 21 SIB (8 boys, $8.2{\pm}1.8years$), and 22 TC (8 boys, $8.5{\pm}2.1years$) were included. The ADHD group showed higher rates of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than the SIB group (p=.002), and the ADHD group showed higher rates of familial psychiatric history than the TC (odds ratio, 8.76 ; 95% confidence interval, 1.69 to 45.45).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mong perinatal and developmental factors, maternal stress during pregnanc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DHD. Future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inatal risk factors and development of ADHD.

소아 청소년 정신과 외래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S)

  • 이혜련;황순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14-22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청소년 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서울소재 한 개인 신경정신과에 내원한 환자들의 내원시의 주문제, 진단 및 기타 관련 변인들의 분포와 관계를 알아보았다. 약 4년여 기간동안 내원한 18세이하의 환자 2785명의 병록지를 조사해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2.7배 많았으며, 연령은 만 6세까지가 전체의 약 64%를 차지하였고 특히 만 3세까지가 가장 많았고 취학연령이후의 환자 수는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형제 수는 평균 1.95명이었으며, 출생순위는 맏이의 비율이 가장높았다. 특히 형제수가 한명일 때의 남아, 형제수가 세명 혹은 그 이상일 때의 여아의 내원율이 높았다. 내원시의 주문제는 언어결함, 행동과잉, 자폐적 행동, 틱증상, 적대행동, 학습문제 등이 높은 빈도를 기록하였다 진단분포는 부모-자녀 문제, 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기타 정서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등의 순서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실시된 치료의 종류로는 정신치료. 놀이치료, 부모면담, 작업치료. 언어치료의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최근의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연구결과들과 비교하고 논의하였다.

  • PDF

아동의 문제행동과 지능이 어머니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AND INTELLIGENCE ON MATERNAL DEPRESSION)

  • 양수진;정성심;노경선;이혜련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211-218
    • /
    • 2005
  • 연구목적 : 아동의 문제를 주소로 내원한 어머니의 우울증 관련인자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50명의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지능검사를 포함한 임상 심리검사를 시행하였다. 어머니는 한국형 아동행동 조사표(Korean version of Achenbach's Child Behavior Checklist ; K-CBCL)를 선생님은 Teacher's Report Form(TRF)을 작성하였다. 어머니의 우울증 여부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결과 : 총 50명의 어머니 중 $42\%$의 어머니가 우울장애를, $16\%$가 불안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우울한 어머니는 아동 문제 중 K-CBCL 공격성과 외현화 문제에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우울한 어머니의 아동은 지능 검사에서 차례 맞추기와 바꿔쓰기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선생님의 총 문제행동으로 보정을 하였을 때, 어머니의 우울증은 K-CBCL의 공격성, 외현화 문제, 총 문제 행동, 그리고 아동 지능 검사의 바꿔쓰기 항목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아동의 공격적 행동, 외현화 행동, 총 문제 행동, 낮은 바꿔쓰기 점수가 어머니의 우울증과 관련이 있었다.

  • PDF

소아정신과 입원환자의 공존질병(Comorbidity) (COMORBIDITY OF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 신윤오;조수철;홍강의;김자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91-97
    • /
    • 1993
  • 본 논문의 목적은 소아정신과 입원환자에서 진단의 공존질병이 어느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적 조사이다. 평균나이 12세인 56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DSM-III-R에 의한 공존질병을 조사결과 64.3%에서 2개 이상의 진단이 있었으며 평균 2개의 진단이 있었다.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정신분열증, 기분장애, 틱장애, 배설장애, 정신지체, 인격장애 9개의 진단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상당수에서 공존질병이 있었으며 특히 틱장애, 배설장애, 파탄적행동장애에서 평균진단 수 20개 보다 많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대상 군의 수를 늘려 공존질병을 조사하고 아울러 새로운 진단분류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될 것이다.

  • PDF

반응성 애착 장애의 치료 (TREATMENT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이혜련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32-142
    • /
    • 2004
  • 반응성 애착 장애에 관한 미국과 영국으로부터의 대부분 논문들은 국외에서 입양한 탈억제형(Disinhibited Type) 반응성 애착장애를 보고하였다. 터키와 한국에서만 반응성 애착장애의 억제형(Inhibited Type) 아동들에 대한 보고를 하고 있는데 대부분 친부모에 의해 양육되고 있으며 그들의 증세는 자폐장애와 매우 유사하다. 반응성 애착장애의 치료, 특히 억제형의 치료에 대한 논문은 매우 드문 상태이기 때문에 저자는 1987년부터 한국의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들을 치료해 온 경험을 이 논문에 자세히 기술하였다. 반응성 애착장애 환자와 그 부모들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세가지 중요한 영역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1)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에게 치료적인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2)개별 놀이치료, 엄마 놀이치료, 형제 놀이치료, 또래 놀이치료, 집단 놀이치료를 통해 반응성 애착장애 아동과 그 엄마와의 사이에 애착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3) 언어치료, 인지치료, 치료교육등을 통하여 뒤진 발달을 촉진시켜 주어야 한다. 이 치료방법은 미국이나 영국을 포함한 서구에서의 다른 치료 방법보다 우리나라 환자들에게 좀더 쉽게 좀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소아기 불안장애의 인지행동치료 효과 : 예비 연구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 Preliminary Study)

  • 송동호;하은혜;오욱진;고광범;류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3호
    • /
    • pp.182-189
    • /
    • 200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reliminarily the clinical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s. Methods: Subjects were 11 children between 2nd and 6th grade with anxiety disorder. All subjects were diagnosed through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 and Schizophrenia 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interview. The CBT program consisted of sessions once a week (60min/session) for 14 weeks with parent education. Results: Children and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improved social skills, social competence and decreased anxiet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hildren's negative thoughts and subjective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i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s such a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hobia, separation anxiety disorder,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PDF

Beyo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xploring Psychiatric Comorbidities and Their Neuropsychological Consequences in Adults

  • Hyun Jae Roh;Geon Ho Bahn;Seung Yup Lee;Yoo-Sook Joung;Bongseog Kim;Eui-Jung Kim;Soyoung Irene Lee;Minha Hong;Doug Hyun Han;Young Sik Lee;Hanik K Yoo;Soo-Young Bha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75-28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sychiatric comorbidity status of adult patients diagnosed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determine the impact of comorbidities on neuropsychological outcomes in ADHD.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4 adult patients with ADHD. Clinical psychiatric assessments were performed by two board-certified psychiatrists in accordance with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using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Plus version 5.0.0 to evaluate comorbidities. After screening, neuropsycholog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the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Fourth Edition (K-WAIS-IV). Results: Mood disorders (38.7%) were the most common comorbidity of ADHD, followed by anxiety (18.5%) and substance use disorders (13.7%). The ADHD with comorbidities group showed worse results on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 and Working Memory Index sections of the K-WAIS than the ADHD-alone group (p=0.015 and p=0.024,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esence of comorbidities was associated with worse performance on simple visual commission errors in the CAT tests (p=0.024).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sychiatric comorbidities are associated with poor neuropsychological outcomes in adult patients with ADHD, highlighting the need to identify comorbidities in these patients.

심각한 소아 ${\cdot}$ 청소년 강박장애로 입원한 환아들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WITH SEVERE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황준원;유소영;장준환;신민섭;조수철;홍강의;김붕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43-151
    • /
    • 2004
  • 연구목적: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장애는 낮은 약물반응, 높은 공존장애율, 강한 유전적 경향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 소아·청소년기 발병 강박장애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강박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유전부하, 약물 반응양상, 퇴원후의 경과등을 조사하여,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소아·청소년 강박장애 군의 특성을 파악하려 하였다. 방 법:최근 9년사이에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과에 입원한 환아 20명(남 16, 여 4)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진단 및 임상 상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의무기록지, 심리학적 보고서, 가족 면담 자료, 간호 보고서를 모두 고려하였고, 퇴원시 확정된 진단을 일차진단으로 하였다. 결 과:1) 환아의 성비는 남성이 4:1로 우위였다. 2) 강박사고에 있어서 가장 흔한 형태는 병적의심이었고, 이어서 더러움에 대한 공포, 공격적 사고, 대칭에의 요구, 성적 강박 사고였다. 강박행동에서 가장 흔한 내용은 확인, 씻기, 숨쉬기, 움직임, 대칭, 반복적 질문, 물건수집, 정신적 강박행동 등이었다. 3) 가장 흔한 공존 장애는 우울증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다른 불안장애, 틱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였다. 드물게 강박사고에 대한 현실검증력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되는 아동도 발견되었다. 4)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가족력을 살펴본 결과, 17 가족(85%)에서 2차 친척 중 정신과 장애를 앓는 사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강박 스펙트럼 장애로 의심되는 친척을 둔 아동이 전체의 45%(9명)이었다. 5) 약물치료로서 사분의 삼 정도의 환아들(75%)이, SSRI와 항정신병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었고, 치료 반응상 CGI에서 중등도 호전(moderate improved)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75%로 파악되었다. 6) 퇴원 후의 외래 추적 결과, 지속적인 증상의 관해를 보인 경우는 5명(25%)이었고, 부분적인 증상을 가진 채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10명(50%)이었다. 결 론:심각한 소아·청소년 강박장애약물 환아들의 임상상을 국내에서는 최초로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높은 공존장애율, 높은 정신과장애의 가족력, 높은 항정신병약물 복용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증상면에서도 공격적-성적 강박사고의 비율이 높았으며, 숨쉬기, 움직이기 등의 특이한 강박행동이 발견되었다. 치료로서 사분의삼 정도의 환아들(75%)이, SSRI와 항정신병약물을 함께 복용하고 있었고, 치료 반응상 CGI에서 중등도 호전(moderate improved)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75%로 파악되었다.

  • PDF

틱 장애 아동의 인지행동치료 증례: 5회기 습관뒤집기 훈련과 호흡훈련을 중심으로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Childhood Tic Disorder : A Case of Report)

  • 송정림;홍종우;도진아;김현우;임명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2011
  • Chronic tic disorder or Tourette syndrome is known to be a chronic neuro-behavioral disease for whic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strategie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Here, we report the effectiveness of CBT in a case of childhood chronic tic disorder, which is very common in clinical settings. The DSM-IV clinical diagnosis was applied by a child psychiatrist. The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s, and the Dupaul ADHD Rating Scales were used. This case involved a pharmacological treatment-refractory patient over the previous year. Thus, psychiatric consultation was undertaken. Subsequently, we administered five sessions of CBT for four weeks, consisting of symptom evaluation and planning, habit reversal training, and ventilation training. Following four weeks of CBT administration, there were improvements in the scores of the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and the Clinical Global Improvement scale. Our observations indicate that CBT may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tic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