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Square

검색결과 3,609건 처리시간 0.03초

변형된 $\chi^2$- 테스트와 자동 임계치-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장면전환 검출 기법 (A Scene Change Detection Technique using the Weighted $\chi^2$-test and the Automated Threshold-Decision Algorithm)

  • 고경철;이양원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2권4호
    • /
    • pp.51-5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시퀀스의 자동분류를 지원하기 위한 기반기술로서, 변형된 $\chi^2$-테스트와 자동 임계치-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한 장면전환 검출 기법을 제안하였다. 변형된 $\chi^2$-테스트는 기존의 컬러 히스토그램에서 컬러의 각 채널공간(RGB)에 NTSC표준에 따른 명암도 등급을 따로 계산하여 채널의 차이 값을 보다 세분화 할 수 있으며, 인접한 두 프레임사이의 상대적인 컬러 값의 차이를 강조하는$\chi^2$- 테스트를 결합하여 보다 강건한 장면전환 곁출을 시도하고 있다. 자동 임계치-결정 알고리즘은 변형된 $\chi^2$-테스트를 통하여 획득된 인접한 프레임들 사이의 차이 값들을 이용한다. 먼저, 차이 값들에 대한 전체 평균값을 계산한 후, 이 평균값을 만족하는 차이 값들만을 이용하여 다시 평균값을 계산하며, 이러한 평균값의 연속적인 계산 및 누적을 통하여 분산된 차이 값들로부터 가장 최적의 중간 평균값을 취하여 임계치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실험결과 제안된 장면전환 검출 방법과 자동 임계치-결정 알고리즘은 기존의 접근방법보다 효과적이며, 그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Empirical Comparisons of Disparity Measures for Three Dimensional Log-Linear Models

  • Park, Y.S.;Hong, C.S.;Jeong, D.B.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2호
    • /
    • pp.543-557
    • /
    • 2006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pplicability of the chi-square approximation to the six disparity statistics: the Pearson chi-square, the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the power divergence, the blended weight chi-square, the blended weight Hellinger distance, and the negative exponential disparity statistic. Three dimensional contingency tables of small and moderate sample sizes are generated to be fitted to all possible hierarchical log-linear models: the completely independent model, the conditionally independent model, the partial association models, and the model with one variable independent of the other two. For models with direct solutions of expected cell counts, point estimates and confidence intervals of the 90 and 95 percentage points of six statistics are explored. For model without direct solutions, the empirical significant levels and the empirical powers of six statistic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three factor interaction are computed and compared.

  • PDF

An Empirical Study of Qualities of Association Rules from a Statistical View Point

  • Dorn, Maryann;Hou, Wen-Chi;Che, Dunren;Jiang, Zhewe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4권1호
    • /
    • pp.27-32
    • /
    • 2008
  • Minimum support and confidence have been used as criteria for generating association rules in all association rule mining algorithms. These criteria have their natural appeals, such as simplicity; few researchers have suspected the quality of generated rule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ules from a more rigorous point of view by conducting statistical tests. Specifically, we use contingency tables and chi-square test to analyze the dat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ne third of the association rules derived based on the support and confidence criteria are not significant, that is, the antecedent and consequent of the rules are not correlated. It indicates that minimum support and minimum confidence do not provide adequate discovery of meaningful associations. The chi-square test can be considered as an enhancement or an alternative solution.

Analysis on the Amino Acid Distributions with Position in Transmembrane Proteins

  • Chi, Sang-Mu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6권4호
    • /
    • pp.745-758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position-specific distributions of amino acid residues in transmembrane proteins. A hidden Markov model segments membrane proteins to produce segmented regions of homogeneous statistical property from variable-length amino acids sequences. These segmented residues a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statistic and relative-entropy in order to find position-specific amino acids. This analysis showed that isoleucine and valine concentrated on the center of membrane-spanning regions, tryptophan, tyrosine and positive residues were found frequently near both ends of membrane.

  • PDF

Clinical Analysis of Symptoms and Oriental Medical Prescriptions According to Elapsed Time of Stroke in Oriental Medical Hospital Inpatients

  • Yun, Hen-Ja;Sung, Kang-Keyng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3-147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symptoms,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laboratory test results according to elapsed time of stroke. Methods : Through the medical records of 205 stroke inpatients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the year 2010, we investigated manifested symptoms, administered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clinical 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Collected items were classified to depend on stroke types, cerebral infarction and hemorrhage. We analyzed association between manifested symptoms, the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nd laboratory test results of stroke patients and elapsed time. 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level of association. Results : All symptoms, prescriptions and laboratory test results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elapsed time. Especially, symptoms, prescriptions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showed very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elapsed time (a symptom; chi-square(df)=164.3(22), p<0.001, prescription; chi-square(df)=93.5(22), p<0.001,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results; chi-square(df)=164.3(22), p<0.0004). But in the case of cerebral hemorrhage,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 The elapsed time of stroke may be an essential requisite in catching symptoms and prescribing for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임의로 관측중단된 두 표본 자료에 대한 카이제곱 검정방법 (Two-sample chi-square test for randomly censored data)

  • 김주한;김정란
    • 응용통계연구
    • /
    • 제8권2호
    • /
    • pp.109-119
    • /
    • 1995
  • 두 모집단에서 임의로 관측중단도니 두 표본을 얻었을 때, 두 모집단의 분포가 같다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한 카이제곱 검정방법이 제안되었다. 여기서 제안된 통계량은 대립가설이 두 모집단의 분포가 같지 않다는 양측가설일 때 쓰일 수 있다. 귀무가설이 사실일 때 제안된 통계량의 극한분포는 카이제곱 분포가 된다. 두 가지 형태의 카이제곱 검정통계량이 제안되었는데, 하나는 product-limit 추정치로부터 얻은 관측된 칸(cell) 확률의 차이들의 벡터의 이차형식으로 표현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간단한 합의 모양으로 표현된 것이다. 두 형태의 검정통계량을 사용하여 암치료를 위한 화학요법 실험으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보았다.

  • PDF

The Role of Negative Binomial Sampling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Minimum Chi-Square

  • Hamdy H.I.;Bentil Daniel E.;Son M.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3권1호
    • /
    • pp.1-8
    • /
    • 2007
  • The distributions of the minimum correlated F-variable arises in many applied statistical problems including simultaneous analysis of variance (SANOVA), equality of variance, selection and ranking population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this paper, negative binomial sampling technique is employed to derive the distributions of the minimum of chi-square variables and hence the distributions of the minimum correlated F-variables. The work presented in this paper is divided in two parts. The first part is devoted to develop some combinatorial identities arised from the negative binomial sampling. These identities are constructed and justified to serve important purpose, when we deal with these distributions or their characteristics. Other important results including cumulants and moments of these distributions are also given in somewhat simple forms. Second, the distributions of minimum, chisquare variable and hence the distribution of the minimum correlated F-variables are then derived within the negative binomial sampling framework. Although, multinomial theory applied to order statistics and standard transformation techniques can be used to derive these distributions, the negative binomial sampling approach provides m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pling vehicle and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these functions of chi-square variables. We also provide an algorithm to compute the percentage points of the distributions. The computation methods we adopted are exact and no interpolations are involved.

보완된 카이-제곱 기법을 이용한 단백질 기능 예측 기법 (Fucntional Prediction Method for Proteins by using Modified Chi-square Measure)

  • 강태호;유재수;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332-336
    • /
    • 2009
  • 유전체 분석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기능이 알려지지 않은 미지 단백질에 대한 기능 예측이다.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분석하는 것은 미지 단백질에 대한 기능을 보다 쉽게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로부터 미지 단백질의 기능을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카이-제곱(Chi-square) 방식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통해 기능을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 중 대표적인 방식이다. 하지만 카이-제곱 방식은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반영하지 않아 네트워크 크기에 따라 예측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이-제곱 방식을 보완하여 정확성을 높인 새로운 기능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MIPS, DIP 그리고 SGD와 같은 공개된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방식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각 데이터베이스들에 대해 카이-제곱방식과 제안하는 보완된 카이-제곱(Modified Chi-square)방식으로 예측해보고 이들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잠재적 위험요인의 탐색에 관한 단일표본분석과 복합표본분석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Unweighted Sample Design and Complex Sample Design Related to the Exploration of Potential Risk Factors of Dysphonia)

  • 변해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251-2258
    • /
    • 2012
  • 본 연구는 잠재적 위험요인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단순임의추출분석(unweighted sample design), 빈도 가중치를 적용한 단일표본분석(frequency weighted sample design), 가중치를 층화하여 적용한 복합표본분석(complex sample design)을 비교하고, 도출된 결과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원은 2009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이비인후과 검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피어슨의 교차검정(Pearson chi-square test)과 라오-스콧교차검정(Rao-scott 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빈도 가중치만을 적용한 단일표본분석의 경우에는 모든 변수가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과대 예측 되었고,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단순임의추출 분석과 복합표본분석은 유의수준 및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할 때, 연구의 결과가 전체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층화변수와 집락변수를 사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복합표본분석이 필요하다. 나아가, 빈도 가중치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연구 결과에 대한 과잉해석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불균형 텍스트 데이터의 변수 선택에 있어서의 카이제곱통계량과 정보이득의 특징 (Properties of chi-square statistic and information gain for feature selection of imbalanced text data)

  • 문혜인;손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4호
    • /
    • pp.469-484
    • /
    • 2022
  • 텍스트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많은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변수의 수가 매우 많은 고차원 데이터에 해당된다. 이러한 고차원 데이터에서는 계산 효율성과 통계분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변수 중 중요한 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절차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텍스트 데이터에서도 많은 단어 중 중요한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단어 선택을 위한 대표적인 필터링 방법인 카이제곱통계량과 정보이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실제 텍스트 데이터에서 이 단어선택 방법들의 성질을 확인해보았다. 카이제곱통계량과 정보이득은 비음성, 볼록성 등의 성질을 공유하지만 불균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카이제곱통계량이 양변수 위주로 단어를 선택하는 반면, 정보이득은 음변수도 상대적으로 많이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