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compression quali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소아 심폐소생술 중 가슴압박 방법의 효율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Chest Compression Method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윤성우;이효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88-390
    • /
    • 2022
  • 심정지(Cardiac arrest)는 원인과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심장질환에 의한 심정지는 매년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에 포함되며 예측이 불가하다. 심정지 발생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유일한방법 중 하나는 심폐소생술이며 이 술기를 통하여 순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소아 심폐소생술 중 새로운 가슴압박법을 활용에 따른 가슴압박의 질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가슴압박의 평균깊이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48.93±6.76, 53.86±4.56, <0.001), 압박대 이완 비율에도 차이를 보였다(0.87±0.13, 0.96±0.10, <0.002). 또한 자세를 의식하는 정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93±0.85, 8.14±1.38, <0.001).

  • PDF

단일주파수분석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흉부압박깊이 추정 (Estimation of Chest Compression Depth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using Single Frequency Analysis)

  • 유원상;강성민;최성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1-217
    • /
    • 2017
  • During the emergency situation such as cardiac arres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is the most important treatment to maintain patient's blood circulation. Since the quality of CPR can not be easily measured or evaluated by the eye, an assistive device with an accelerometer can help to assess the pressure depth of CPR. In this study, we propose a single frequency analysis method to reduce the error of the accelerometer by extracting only one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Fourier transform proce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ingle frequency analysis, acceleration data at CPR conditions were measured at a sampling rate of 50 / sec using a wristband equipped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en, We compared the existing distance estimation method and the single frequency analysis method using the measured data. The amplitude value proportional to the compression depth was obtained by applying the single frequency analysis method.

패드부착장갑을 이용한 심폐소생술 질 향상 연구 (A Study on Quality Improvemen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Pad Attachment Glove)

  • 김예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289-295
    • /
    • 2019
  • 본 연구는 패드가 부착된 장갑의 유용성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G광역시에 위치해 있는 G대학교의 심폐소생술 강의를 이수한 응급구조과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시행하였으며,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패드부착장갑 착용 전보다 착용 후가 가슴압박총점수, 가슴압박수, 가슴이완율, 손위치정확도, 압박속도 영역에서 심폐소생술 질이 더 높게 나타남에 따라 패드부착장갑의 착용이 기존의 맨 손 심폐소생술보다 가슴압박질을 더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 및 실무 중심 프로그램을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4종류의 구급장비 및 마루(Floor) 위에서 시행한 가슴압박 에너지(kg)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Chest Compression Energy(kg) Measurement of 4 Types of Rescue Device on the Floor)

  • 신동민;한용택;김승용;박시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5-13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quality CPR using the 4 types of rescue device equipment and chest compressions energy measurement in pre-hospital settings. So, we used the mode to insert load cell in ALS Skill master Manikin to develop CFMM(Compression Force Measurement Manikin) on main stretcher, CPR board, long spine board, scoop stretcher and floor. And, our research team could know that the main stretcher needed average force of 32.55 (${\pm}1.01$) kg, CPR board of 27.23 (${\pm}1.08$) kg, long spine board of 27.13 (${\pm}1.18$) kg, Scoop Stretcher of 27.38 (${\pm}1.05$) kg and Floor of 27.24 (${\pm}0.93$) kg. CPR board must be necessary in the case of CPR on main stretcher in a moving ambulance. But if the condition of patient's back surface is the removable stretcher and the long spine plate, the patient doesn't have to be spent time to use a CPR board.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to consider that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education to students for the equipment to check in real time the energy(kg) requirement of chest compressions.

구급차 내에서의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ethods in Ambulance)

  • 신소연;김지희;김경용;강신우;방성환;윤종근;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04-111
    • /
    • 2014
  • 이 연구는 소방에 근무하는 응급구조사에 의해 시행되는 구급차 내 심폐소생술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관할 780명으로 2012년 보수교육 종료 후 설문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 가슴압박 방법(한 손 가슴압박 VS 두 손 가슴압박), 심폐소생술 방법(표준심폐소생술 VS 가슴압박소생술) 등에 대하여 Chi-square tes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한 손을 이용한 가슴압박 14.0%, 두 손을 이용한 가슴압박 86.0%를 보였고, 표준심폐소생술(가슴압박 VS 인공호흡)은 28.3%, 가슴압박소생술 71.7%를 보였다. 고품질의 심폐소생술을 위해서는 심정지 환자의 구급 출동만이라도 운전자 포함 3명 이상의 응급구조사가 출동할 수 있도록 탄력적인 인력 운영 방안이 필요하며, 역량 강화를 위한 심폐소생술의 정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Effects of 60 Minut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Heart Rat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in Rescuers

  • Han, Seung-Eun;Ahn, Hee-Jeong;Shim, Gyu-Sik;Bang, Sung-Hwan;Song, Hyo-S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8호
    • /
    • pp.195-20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장시간 심폐소생술 지속 시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운동자각도를 측정함으로써 구조자의 피로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도 7월 5일부터 7월 9일까지 D 대학교 특전의무부사관과 학생 12명, 응급구조학과 학생 12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60분 동안 2인 교대 가슴 압박 소생술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폐소생술 지속시간에 따른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주관적 피로도인 운동 자각도, 가슴 압박 속도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01, p<.001, p<.001, p<.001). 매 측정 주기(30분, 40분, 50분, 60분) 시 혈중 젖산 농도는 심박동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696, p<.001, r=.672, p<.001, r=.709, p<.001, r=.782, p<.001), 운동자각도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76, p<.05, r=.426, p<.05, r=.470, p<.05, r=.470, p<.05). 따라서 장시간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심박동수와 운동자각도를 활용한 구조자의 피로도 모니터링은 고품질의 가슴 압박을 유지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거울의 시각적 피드백을 활용한 심폐소생술의 차이 (Differe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Visual Feedback of Mirror)

  • 윤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8-440
    • /
    • 2018
  • 심정지(Cardiac arrest)는 원인과 관계없이 심장의 박동이 정지되어 발생하는 일련의 상태를 말한다. 심장질환에 의한 심정지는 매년 우리나라 3대 사망원인에 포함되며 예측이 불가하다. 심정지 발생시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유일한방법 중 하나는 심폐소생술이며 이 술기를 통하여 순환을 유지시킬 수 있다. 시각으로 받아들여진 정보는 시신경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며, 그중 거울은 자신의 움직임과 자신의 형태를 볼 수 있게 하고, 교정과 분석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활용 할 수 있다. 이에 거울을 활용한 시각적 정보에 따른 가슴압박의 질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거울 사용에 따라 가슴압박의 평균 깊이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48.93{\pm}6.76$, $53.86{\pm}4.56$, <0.001), 압박 대 이완 비율에도 차이를 보였다($0.87{\pm}0.13$, $0.96{\pm}0.10$, <0.002). 또한 자세를 의식하는 정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93{\pm}0.85$, $8.14{\pm}1.38$, <0.001).

  • PDF

심페소생술 시행 시에 휴대용 압박 센서 활용이 흉부압박의 질에 미치는 영향: 마네킹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The effect of portal compression sensor on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 mannequin based simulation study)

  • 양현모;백경민;김광석;윤병길;김진우;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44-750
    • /
    • 2013
  • 본 연구는 평균 이송시간에 따른 흉부압박을 심정지 환자에게 수기로만 이루어진 압박과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한 압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영향을 규명하여 심정지 환자의 심폐소생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1년 9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청주시 소재 소방서에 근무하고 있는 1급 및 2급 응급구조사 20명과 BLS provider를 이수한 응급구조과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기로만 이루어진 흉부압박과 깊이 보조장치를 사용한 흉부압박의 결과 기록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기로만 이루어진 흉부압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박깊이는 떨어지고 횟수는 증가했으며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한 흉부압박은 압박깊이를 유지하고 횟수는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나타내었고 두 그룹 모두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압박 정확도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 심폐소생술 시행 시에 깊이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심정지 환자에게 유용한 영역이라 사료된다.

Comparing the Effectiveness Between Typical Infant CPR method and Over-head CPR method : A Study of the Single-Person Rescuer Simulation Using a Manikin

  • Choi, Sung-Soo;Han, Seung-Tae;Yun, Seong-W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151-157
    • /
    • 2020
  • 본 연구는 1인 구조자 영아 심폐소생술 방법에 따른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일반인 5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두 손가락을 이용한 방법과 새로운 방법인 머리 위 양손 감싼 두 엄지 가슴압박 방법으로 심폐소생술을 비교하였다. 두 심폐소생술 방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SPSS 2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머리 위 양손 감싼 두 엄지 가슴압박법이 평균 가슴압박의 깊이(39.38±1.07 mm)가 유의하게 깊게 나타났고(p<0.001), 인공호흡의 용이성(p<0.001), 방법의 편리성( p<0.001), 손가락 통증 정도(p<0.001)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심폐소생술 방법의 선호도는 80.4%(41명)가 머리 위 양손 감싼 두 엄지 가슴압박 방법을 이용한 심폐소생술을 선호하였다. 이 연구는 마네킨을 이용한 가상연구이기 때문에 향후 질 높은 심폐소생술 방법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 Systematic Review of the Mechanical CPR and Manual CPR o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ccurring in High-rise Building

  • ChanHo, Lee;ByounGgil, Yoon;HongBeom, Ahn;YongSeok,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434-443
    • /
    • 2022
  • CPR in High-rise building is one of the challenging tasks to 119 paramedics, evacuating patient from the narrow and vertical area. This study was built to compare the method of mechanical CPR and manual CPR is to maximizing on-scene treatment time, and minimizing the hand-off time in cardiac arrest, transporting patient as fast as possible. The electronic data research (Science, Pubmed, Medline, Medline and 55 academic DB interworking) was conducted, and five articles were included by reviewing and excluding through the Covidence program and Review Manager version 5.4(Cochrane Collaboration). OHCA occurring on the higher floor indicates lower in survival. A total studies uniformly reported mechanical CPR is more effective during the high-rise building evacuation, than manual CPR in rate, depth, and hands-on time of chest compression. Use of mechanical CPR device is more suitable in case of High-rise building OHCA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which is affected by high-quality C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