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ggukjang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52초

『주식시의(酒食是儀)』에 기록된 조선후기 음식 (Food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Jusiksiui (酒食是儀)』)

  • 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53-587
    • /
    • 2012
  • In this study, the Korean cookbook, Jusiksiui,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te 1800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Jusiksiui contained more than 100 foods. Specifically, 12 staple foods were foods recorded including five types of porridge, three types of noodles, and four kinds of dumplings. Moreover, 49 side dishes were present, among which Jjim (steamed food) was most common, being recorded ten times. Additionally, seven types of Jeon (pancake) & Gui (roasted food) and Kimchi & Jangajji (pickled vegetables), four kinds of soup and Jeongol (stew), stir-fry, Sukyuk (boiled beef), and three types of Sukchae and Sashimi were found. Moreover, 14 recipes for rice cakes, two recipes for Korean cookies and three recipes for drinks were found. Seven recipes for wine, including plain rice wine, medicated wine and flavored wine, were also found. Finally, four different soy sauces Jibjang (a kind of soy sauce paste), hot pepper paste, Cheonggukjang (fast-fermented been paste), and Jeupjihi and roasting hot pepper paste were observed.

작두콩 청국장 첨가 고추장의 항산화, tyrosinase 저해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nt, Tyrosinase Inhibitory,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Gochujang Added with Cheonggukjang Powder Made from Sword Bean)

  • 장문익;김재영;김운성;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21-226
    • /
    • 2013
  • 본 연구는 고추장을 제조할 때 품질 향상 및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생리 활성 기능이 높다고 알려진 작두콩으로 제조한 청국장 분말을 메주 대신 사용하여 그 첨가량을 0, 2, 5, 8 및 10%로 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90일 숙성된 고추장에 대해 생리 활성 그리고 in vitro에서 A549, G361, HT-29 및 MDA-MB-231 등 4종의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50배 희석 수준의 경우, SBC 10 고추장이 85.5%로 SBC 0 고추장(68.4%)보다 약 1.2배 증가되었으며, SBC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다. Tyrosinase 저해 효과는 100배 희석 수준에서 SBC 10 고추장이 40.3%로 SBC 0 고추장(34.0%)보다 약 1.1배 증가되었다. 암세포주인 A549, G361, HT-29 및 MDA-MB-231에 대한 SBC 0, 2, 5, 8 및 10 고추장의 증식 억제 효과는 농도가 높을수록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A549 폐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5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0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2.8배 높았다. G361 피부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2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0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1.1배 높았다. HT-29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100배 희석 용액 기준에서 SBC 0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8.9배 높았다. MDA-MB-231 유선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20배 희석 용액기준에서 SBC 5보다 SBC 10의 억제율이 3.7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추장 제조 과정 중 작두콩 청국장의 첨가 효과는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효과의 생리 활성 증진과 인간 암세포주의 증식 억제 등 다양한 기능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Bacillus subtilis HJ18-3과 KACC 15935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품질특성과 isoflavone 함량의 변화 (Changes in isoflavone cont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3 and KACC 15935)

  • 이경하;최혜선;최윤희;박신영;송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128
    • /
    • 2014
  • 청국장 제조 시 사용되는 균주인 Bacillus sp. HJ18-3과 B. subtilis KACC 15935균주를 청국장 제조 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켜 품질특성과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측정하였다. a-amylase와 cellulase활성은 control과 B. subtilis HJ18-3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이 B. subtilis KACC 15935 균주를 접종한 청국장보다 각각 2.56, 2.59배 그리고 1.13, 1.23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protease활성은 B. subtilis KACC 15935과 B. subtilis HJ18-3의 활성이 높은 효소활성을 보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Control, B. subtilis KACC 15935, B. subtilis HJ18-3의 함량이 각각 $88.20{\pm}13.86$, $129.62{\pm}1.15$, $118.40{\pm}48.65mg%$로 나타났으며 이는 protease 효소활성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control, KACC 15935, HJ18-3의 함량이 각각 $1.95{\pm}0.72$, $2.62{\pm}1.17$, $2.59{\pm}0.76%$로 전반적으로 control에 비해 처리구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호기적 총균수와 미비한 차이로 B. subtilis HJ18-3의 균수가 적은 경향을 나타낸 것은B. cereus와Candida albicans에 대해 항균력이 우수하다고 보고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control과B. subtilis KACC15935, B. subtilis HJ18-3의 isoflavone 비배당체 형태인 daidzein과 genistein, glycitein을 합한 함량은 각각 $158.20{\pm}6.55$, $131.60{\pm}4.00$, $200.79{\pm}7.54ug/g$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raw soybean의 aglycone함량이 3.96 ug/g인 것에 비하여 39~50배 전 환율을 보인다. 또한 ${\beta}$-glucosidase활성이 있는 B. subtilis HJ18-3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control과 Kacc15935균을 접종하여 제조한 청국장보다 1.27, 1.53배 더 높은 aglycone 전 환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메밀 속성 장으로부터 분리된 B. subtilis HJ18-3 균주는 amylase, protease, cellulase와 같은 세포의 효소분비능이 우수하며, 아미노태질소와 환원당 함량이 높고,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함유한 균주로 확인되었으며, 앞으로도 우리나라 전통 청국장의 세계화를 위해 유용 starter로 찾는 노력이 더 필요할 것이다.

전통 장류에 대한 서울 및 경기일부 소비자의 인식도 조사 (A study on th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Seoul and Gyeonggi-do)

  • 김주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6호
    • /
    • pp.577-58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pattern and perception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s' indu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 to October 15, 2011 among 294 male and female adults aged 19 years and ov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gender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was 33.3% males and 66.7% females. For a perception on traditional dietary life, the degree for enjoying meals with cooked rice as the staple food revealed that 32.3% of the subjects responded 'strongly agree'. The intake frequency of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the case of doenjang, 49.7% of the participants consumed it twice a week and 21.4% consumed it once a week. For gochujang, 59.9% consumed it twice a week and 19.0% consumed it once a week. The perception on the preparation method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showed a low level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The reason for purchasing traditional foods showed that 77.6% of the subjects made purchases for convenience and 8.2% purchased it for its small package. For the subjects, the priority for purchasing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was as follows: in the first rank, ingredients & origin made up 33.7% and price comprised of 26.2% of the priority. Regarding satisfaction for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marke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high for gochujang. With regard to gender difference, femal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for cheonggukjang and kuk-ganjang, an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for chin-ganjang, compared to the mal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depicted that consumer's requirement was high for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the market, particularly for the safety of the products in the market. Consumer satisfaction was relatively positive yet, some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and kuk-ganja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이 생산하는 혈전분해 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

  • 신소희;홍성욱;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3-43
    • /
    • 2013
  • 식품으로서 안전하게 섭취하여 혈전증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개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한 청국장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혈전분해 효소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 동정한 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 HC188이라 명명하였다. 선발미생물이 생산하는 혈전분해효소를 분리 및 정제한 결과, 50.7배의 정제도와 5.5%의 수율을 나타내었고, 혈전분해 효소단백질의 분자량은 22.3 kDa이었으며, N-terminal 아미노산 서열은 Ala-Gln-Ser-Val-Pro-Tyr-Gly-Val-Ser-Gln-Ile-Lys-Ala-Pro-Ala로 분석되었다. 효소의 최적반응 pH와 온도는 pH 8.0과 $40^{\circ}C$로 나타났으며, pH 6.0-8.0과 $20-40^{\circ}C$ 사이에서 효소가 비교적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은 2 mM과 5 mM 농도의 $CoCl_2$$CaCl_2$의 금속이온이 존재할 때 효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inhibitor로서 EDTA와 PMSF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므로 청국장에서 분리한 B. amyloliquefaciens HC188가 생성한 혈전분해 효소는 metallo-serine protease로 사료되었다.

양파(Allium cepa L.) 첨가 청국장의 제조 및 항산화능 평가 (Preparation of Cheonggukjang added onion (Allium cepa L.)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y)

  • 이민지;이유건;조정일;나광출;황엄지;김미승;문제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6-54
    • /
    • 2014
  • 양파를 첨가한 청국장 제조 가능성을 평가하고, 제조된 시료들을 대상으로 항산화능을 비교하였다. 먼저 양파의 적정 첨가량을 판단하기 위해 노랑콩과 검정콩 각각의 중량을 기준으로 0, 5, 10, 20, 30%가 되도록 양파를 첨가하여 청국장을 제조한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랑콩과 검정콩 청국장 모두 20% 양파 첨가 청국장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그래서 20%의 양파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을 대상으로 특정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양파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총 페놀성 및 flavonoid 함량을 나타냈다. 그리고 DPPH radical-scavenging 활성평가에 있어서도 양파를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이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청국장보다 더 높은 radical-scavenging 활성을 나타냈다. 또 쥐 혈장 산화에 따른 CE-OOH 생성 억제능 평가에 있어서도 양파 첨가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한 쥐혈장이 양파를 첨가하지 않은 청국장 추출물을 투여한 쥐 혈장에 비해 더 높은 산화 억제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은 양파에 다량 함유된 quercetin을 포함한 flavonoid들과 발효과정 중 생성되는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들에 의한 효과라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가 국산 양파의 가공시장확대 및 청국장 소비의 저변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Bacillus subtilis JNS 균주의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of Bacillus subtilis JNS in ICR Mice)

  • 김경훈;정창화;주성제;박종훈;문지영;조은지;이현태;권현주;김병우;엄성환;이은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4-28
    • /
    • 2015
  • 청국장에서 분리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Bacillus subtilis JNS의 probiotics로서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기투여에 의한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경구투여용 존데를 이용하여 임상적용 경로인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최고투여용량은 2,000 mg/kg으로 설정하였다. ICR계 암수 마우스에서 14일간 관찰한 결과 일반증상, 사망률, 체중, 임상증상 및 육안적 소견 등에서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해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검 후의 주요 장기에 대한 육안적 검사에서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상소견이나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물질인 B. subtilis JNS는 경구투여 시 ICR계 암수 마우스에서 독성학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경구투여가 2,000 mg/kg 이상인 저독성의 안전한 물질로 사료된다.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한 유산균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biogenic amine-producing Bacillus sp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98-40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된장으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과 박테리오신 생산유산균은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고, 이들 균주들의 혼합 배양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10종의 시료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는 바실러스균은 Bacillus licheniformis DB102, B. subtilis DB203, B. stearothermophilus DB206, B. pumilus DB209, B. subtilis DB310, B. coagulans DB311, B. cereus DB313, B. amyloliquefaciens DB714, B. amyloliquefaciens DB915, B. licheniformis DB917, B. cereus DB1019, B. subtilis DB1020, B. megaterium DB1022로 동정되었다.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낸 박테리오신 생산균은 Lactobacillus plantarum DLA 205, L. brevis DLA501, L. fermentum DLA509, L. acidophilus DLA703 및 Enterococcus faecalis DLA804로 확인되었다. 유산균의 박테리오신은 농도의존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의 생균수 및 아민 생성능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유해 아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유산균의 증식에 따라 유산균과 바실러스균을 혼합 배양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pH,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