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ng-Ho reg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의 행정정보공개와 상대적 효율성 분석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and Relative Efficiency Analysis for Universities or Colleges)

  • 최호택;강호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71-379
    • /
    • 2010
  •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가장 최근의 객관적 자료인 대학행정정보 공시자료를 입수하여 충청지역 대학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CR 효율성이 1인 사립대학교는 15개 대학교 가운데 5개 대학교인데, 충남지역에 3개 대학교, 충북지역의 2개 대학교로 나타났으며,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이 충남과 대전지역 사립대학교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청지역 2년제 사립대학의 경우 CCR 효율성이 1인 사립대학은 13개 대학 가운데 3개 대학교인데, 대전지역에 2개 대학, 충북지역의 1개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대전지역에 위치한 대학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이 충남과 충북지역 사립대학들의 CCR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BCC 효율성이 1인 사립대학교는 15개 대학교 가운데 9개 대학교인데, 충남지역에 6개 대학교, 충북지역의 3개 대학교로 나타났으며,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교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이 충남과 대전지역 사립대학교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BCC 효율성이 1인 사립 대학은 13개 대학 가운데 7개 대학인데, 대전지역에 3개 대학, 충남지역의 2개 대학, 충북의 경우 효율성이 1인 대학은 2개 대학으로 나타났으며, 충북지역에 위치한 대학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이 대전과 충남지역 사립대학들의 BCC 효율성 값 평균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Detection of Variable Stars in the Open Cluster M11 Using Difference Image Analysis Pipeline

  • Lee, Chung-Uk;Koo, Jae-Rim;Kim, Seung-Lee;Lee, Jae-Woo;Park, Byeong-Gon;Han, Cheong-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289-307
    • /
    • 2010
  • We developed a photometric pipeline to be used for a wide field survey. This pipeline employs the difference image analysis (DIA) method appropriate for the photometry of star dense field such as the Galactic bulg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pipeline, the observed dataset of the open cluster M11 was re-processed. One hundred seventy eight variable stars were newly discovered by analyzing the light curves of which photometric accuracy was improved through the DIA. The total number of variable stars in the M11 observation region is 335, including 157 variable stars discovered by previous studies. We present the catalogue and light curves for the 178 variable stars. This study shows that the photometric pipeline using the DIA is very useful in the detection of variable stars in a cluster.

하악 구치부 설측면에 발생한 혈관평활근종의 치험 1례 (ANGIOMYOMA OF THE LINGUAL ASPECT OF THE MANDIBULAR SECOND MOLAR: A CASE REPORT)

  • 최문경;윤규호;박관수;정정권;신재명;백지선;박지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0-504
    • /
    • 2008
  • Angiomyoma is the vascular type of leiomyoma that the tumor cells are originated from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It's frequently found in the subcutaneous tissues of the lower extremities. Such case of an angiomyoma within the oral cavity is rarely found. From a series of 7748 smooth muscle tumors of all types, only 0.06% were found in the oral cavity. This is a rare case of a young woman appeared with oral angiomyoma located in the left mandibular posterior region with plain radiograph, CT and histologic review.

모양 정보를 이용한 클립아트 이미지 검색 시스템 (Clipart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Shape Information)

  • 정성일;김승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8권1호
    • /
    • pp.116-125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클립아트 이미지에서 모양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클립아트 이미지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클립아트 이미지는 자연영상에 비해 외곽선을 명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미지에서 모양 정보를 추출하는 이전의 방법은 모양의 외곽선을 이용하는 것과 영역을 이용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모양의 외곽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외곽선의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을 직사각형의 비율로 표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서 기존의 외곽선 기반 특징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모양 정보를 더욱 잘 표현할 수 있었다.

한국산 환태평양 볼락속(Genus Sebastes), Sebastes glaucus의 최초 보고(쏨뱅이목: 양볼락과) (First Record of the Trans-Pacific Sebastes, S. glaucus(Scorpaeniformes: Scorpaenidae) in the Korean Waters)

  • 정문경;지환성;김진구;이수진;황선재;황강석;박정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3-286
    • /
    • 2016
  • 쏨뱅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Sebastes glaucus 1개체(표준체장 276.9 mm)가 독도 북서쪽에서 자망으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황갈색 체색, 높은 체고, 전두부와 목덜미 부분은 볼록하고 후두부는 넓다. 또한 14개의 등 지느러미 극조 및 주상악골에 비늘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환태평양 볼락속인 이 어 류의 국명으로 NFRDI(1999)에 따라 "청회볼락"을 제안한다.

랫드에서 hyaluronic acid에 의한 유착 방지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hyaluronic acid on prevention of adhesion in rats)

  • 이종훈;이주명;윤영민;강태영;우호춘;강윤호;김남중;김희석;이경갑;정종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63-66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aluronic acid (HA) on prevention of abdominal adhesions depending on various concentrations thereof by inducing an abrasion experimentally in the cecum of rats. Each group was consisted of 10 rats, and 40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comprising the saline treatment group, HA 0.4% treated group, 0.6% treated group, and 0.8% treated group. And abrasion was caused in the cecum by using dry gauze and thereby, adhesion was induced. On 7 days after the operation, adhesions of each region were evaluated into the range of 0-4.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dhesion scor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ach experimental group (P<0.05). Also, HA 0.4% treatment group showed the lowest adhesion score (P<0.05). In the light of the above results, HA 0.4% solution was more effective on prevention of adhesion than HA 0.6% and 0.8% solution.

호남지역 수확시기에 따른 밀 곡실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Wheat Grain Silage with Respect to Days after Heading in Honam Region of Korea)

  •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손재한;이석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2-119
    • /
    • 2018
  •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라 수량 및 사료가치를 고려해 보면 밀 수량은 출수 후 30일부터 42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최대 수량은 42일차에 5.57T/ha이었는데, 39일, 42일차와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가치의 경우 조단백, 조섬유, 조회분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나, 조지방, TDN의 경우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발효에 영향을 주는 pH는 30일부터 39일까지는 pH 3.8-4.2까지 안정을 유지하다가 42일차부터는 pH4.5로 증가하여 일부 품종의 경우 발효에 적합하지 않았다(p<0.05). 따라서 밀의 곡실 발효사료 제조를 위한 최적 수확시기는 출수 후 39일차였다.

착상 전 생쥐배아에서 Id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Ids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 홍석호;나희영;이영진;이지원;손영수;채희동;김성훈;강병문;김정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01-207
    • /
    • 2004
  • Objective: The Id family of helix-loop-helix proteins are thought to affect the balance between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by negatively regulating the function of basic-helix-loop-helix (bHLH) transcriptional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Ids (Id-1, -2, -3, and -4)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at mRNA and protein levels. Methods: Oocytes and preimplantation embryos were collected from reproductive organs of female ICR mice following superovulation. RT-PCR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RNA expression patterns of Id genes and their protein were localized by immunofluorescence analysis. Results: Id-1 and Id-3 mRNAs were strongly expressed at the germinal vesicle (GV) oocyte and the blastocyst stages. Id-2 mRNA was expressed throughout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but Id-4 was not expressed. Immunofluorescence showed that Id-1 and Id-2 were predominantly localized in cytoplasmic region, but the immunofluorescence signal of Id-3 was weak throughout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Conclusion: These data show for the first time that Ids are expressed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and suggest that Id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early preimplantation embryo development and uterine physiological changes.

흐름장에서 인공용승구조물의 블록투하 및 용승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Falling Test and Upwelling Effect of the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in Flow Field)

  • 전용호;이경선;강윤구;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27
    • /
    • 2007
  • The multiplication equipment of marine products with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could be useful in the fishing grounds near coastal areas.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could move the inorganic nutrients from the bottom to the surface.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fishing grounds. Until now, research on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has been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the upwelling region, upwelling structures, and the marine environment. However, little work on the optimum design of the rubber-mound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has been don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rawing up the inorganic nutr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um cross-section of rubber-mound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s by means of hydraulic experiments. The hydraulic experiments include the falling test of rubb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alling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rubber mound and water veloc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rubber and the stratification parameter were establish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void ratio of various artificial structures on the stratification parameter was studied. From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upwelling could be enhanced when the ratio of structure height to water depth was 0.3 and stratification parameter was 3.0. The upwelling was not improved when the void ratio exceeded 0.43. The optimum size of rubber mounds was determined when the incident velocity was influenced by the mean horizontal length rather than size of block.

OLAP에서 MAX-of-SUM 질의의 효율적인 처리 기법 (Efficient Processing of MAX-of-SUM Queries in OLAP)

  • 정희정;김동욱;김종수;이윤준;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7권2호
    • /
    • pp.165-174
    • /
    • 2000
  • OLAP 분야에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영역 질의는 주어진 영역에 대한 집단 연산의 결과를 구하는 단순한 형태이다. 그러나 실제 데이타 분석 과정에서는 이러한 단순한 형태의 영역 질의뿐만 아니라, 집단 연산이 포함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타 큐브 내의 영역을 찾는 형태의 확장된 영역 질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확장된 영역 질의 유형의 일반적인 형태를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인 'MAX-of-SUM 질의'의 효율적인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MAX-of-SUM 질의는 데이타 큐브 상에서 영역합(SUM)이 최대(MAX)가 되는 영역을 찾는 질의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MAX-of-SUM 질의 처리 시 검색의 대상이 되는 영역들에 대한 SUM 연산의 결과값이 취할 수 있는 범위를 미리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즉, 영역에 대한 SUM 값의 범위를 예측함으로써, 이들 중에서 최대값을 찾기 위해 실제로 계산하여야 하는 영역의 개수를 줄여 빠른 질의 처리를 보장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