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opor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Chemoport 제거 중 발생한 카테터 색전증 (Catheter Embolism during Chemoport Removal)

  • 송기병;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영휘;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238-243
    • /
    • 2006
  • Chemoport is widely used in pediatric surgery field. But various complications can occur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on or removal of chemoport. Surgeons must be familiar with the treatment of these complications. We had one catheter cuts off during chemoport removal, become a catheter embolism. Interventional radiologic removal was successful. Verifying the length of removed catheter and careful observation of the catheter tip during removal procedure is important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catheter embolus. Radiologic intervention was accessible to remove the retained catheter.

  • PDF

Vertebral Venous Congestion That May Mimic Vertebral Metastasis on Contrast-Enhanced Chest Computed Tomography in Chemoport Inserted Patients

  • Jeong In Shin;Choong Guen Chee;Min A Yoon;Hye Won Chung;Min Hee Lee;Sang Hoo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1호
    • /
    • pp.62-73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vertebral venous congestion (VVC) in patients with chemoport insertion, evaluate the imaging characteristics of nodular VVC, and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VVC.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was based on follow-up contrast-enhanced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of 1412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chemoport insertion between January 2016 and December 2016. The prevalence of venous stenosis, reflux, and VVC were evaluated. The imaging features of nodular VVC, including specific locations within the vertebral body,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VVC, patients with VVC were compared with a subset of patients without VVC who had been followed up for > 3 years without developing VVC after chemoport insertion. Toward this, 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fter excluding 333 patients, 1079 were analyzed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62.3 ± 11.6 years; 540 females). The prevalence of VVC was 5.8% (63/1079), with all patients (63/63) demonstrating vertebral venous reflux and 67% (42/63) with innominate vein stenosis. The median interval between chemoport insertion and VVC was 515 days (interquartile range, 204-881 days). The prevalence of nodular VVC was 1.5% (16/1079), with a mean size of 5.9 ± 3.1 mm and attenuation of 784 ± 162 HU. Nodular VVC tended to be located subcortically. Forty-four patients with VVC underwent CT examinations with contrast injections in both arms; the VVC disappeared in 70% (31/44) when the contrast was injected in the arm contralateral to the chemoport site. Bevacizumab use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VVC (odds ratio, 3.45; P < 0.001).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VVC and nodular VVC was low in patients who underwent chemoport insertion. Nodular VVC was always accompanied by vertebral venous reflux and tended to be located subcortically. To avoid VVC, contrast injection in the arm contralateral to the chemoport site is preferred.

고주파 온열치료시 케모포트의 열적 변화 연구 (The study of thermal change by chemoport in radiofrequency hyperthermia)

  • 이승훈;이선영;김양수;;양명식;차석용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7-106
    • /
    • 2015
  • 목 적 : 고주파 온열치료 시 약물투여 및 혈액채취에 사용되는 케모포트로 인한 열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전극 크기 20 cm인 고주파 온열치료기(EHY-2000, Oncotherm Kft, Hungary)를 이용하여 현재 본원에서 사용 중인 케모포트 중 재질이 플라스틱인 소재, 티타늄을 둘러싼 에폭시 소재와 티타늄 소재 케모포트를 자체 제작한 직경 20 cm, 높이 20 cm 원통형 한천(Agar)팬텀에 삽입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온도측정기(TM-100, Oncotherm Kft, Hungary) 그리고 Sim4Life(Ver2.0, ZMT, Zurich, Switzerlan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 측정된 온도변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위치는 전극 중심축 및 중심축 측면 1.5 cm지점에 각각 0 cm(표면), 0.5 cm, 1.8 cm, 2.8 cm 깊이별로 하였다. 측정조건은 온도 $24.5{\sim}25.5^{\circ}C$, 습도 30 ~ 32%, 출력 전력 100 W로 5분 간격으로 총 60분을 측정 하였다. 결 과 : 케모포트 미사용, 플라스틱, 에폭시 그리고 티타늄 케모포트를 사용한 경우의 최고온도는 전극 중심축 2.8 cm 깊이에서 측정값 $39.51^{\circ}C$, $39.11^{\circ}C$, $38.81^{\circ}C$, $40.64^{\circ}C$와 모의실험값 $42.20^{\circ}C$, $41.50^{\circ}C$, $40.70^{\circ}C$, $42.50^{\circ}C$이며, 전극 중심축 1.5 cm 측면 2.8 cm 깊이에서 측정값 $39.51^{\circ}C$, $39.32^{\circ}C$, $39.20^{\circ}C$, $39.46^{\circ}C$와 모의실험값 $42.00^{\circ}C$, $41.80^{\circ}C$, $41.20^{\circ}C$, $42.30^{\circ}C$이다. 고안 및 결론 : 고주파 전자기장에 의한 케모포트 주위의 열적 변화량은 부도체 물질인 플라스틱과 에폭시 소재에서 미사용의 경우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도체 물질인 티타늄 케모포트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케모포트내 금속 함유량 및 기하학적 구조에 의한 것과 이용 장비의 낮은 고주파 대역를 사용함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본 연구에 사용된 케모포트는 열 변화가 미미하여 장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사료된다.

  • PDF

중심정맥포트 삽입 후 의인성 속목정맥 천공에 의한 화학적 늑막염과 혈흉의 중재적 치료: 증례 보고 (Interventional Treatment of Chemical Pleuritis and Hemothorax Caused by Iatrogenic Internal Jugular Vein Perforation after Central Venous Port System Implantation: A Case Report)

  • 김도우;김영환;강웅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459-1465
    • /
    • 2020
  • 항암치료를 위해 흉강 내 속목정맥의 천자를 통한 피하매몰 중심정맥 케모포트(implantable central venous chemoport) 도관의 설치 중 발생할 수 있는 의인성 속목정맥 천공은 매운 드문 합병증 중의 하나로 혈흉이나 출혈성 쇼크를 일으킬 수 있으며, 부적절한 항암제 주입으로 인한 늑막삼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항암제 주입 전 조기에 진단하여 응급 개흉술을 통해 천공된 속목정맥을 봉합하는 것이 치료 원칙이다. 저자들은 우측 속목정맥을 통한 피하매몰 중심정맥 케모포트의 설치 후 발생한 속목정맥 천공 환자에서 부적절한 항암제 주입으로 인해 발생한 늑막삼출과 혈흉을 개흉술을 시행하지 않고 경피적 배액술 후 코일과 N-butyl cyanoacrylate를 이용한 색전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Valve포트와 Non-Valved포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의 비교 분석 (Compared the Causes of Problematic Chemo-Ports According to the Types of Chemo-Ports(Valved, vs. Non-Valved))

  • 유인규;임청환;한범희;정홍량;주영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1호
    • /
    • pp.35-41
    • /
    • 2011
  •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장기간의 안정적인 정맥확보를 위해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장기간의 항암제 투여, 종합 비경구적 영양법, 반복적 혈액채취와 항생제 투여, 혈액 투석을 위해 시행되고 있다. 그중 주입구를 완전히 피하에 심는 피하매몰형 중심정맥포트(chemo-port)의 설치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중 중재적 방사선과에서 전형적인 카테터 끝이 열려 있는(non-valved) 포트와 새로운 형태의 카테터 끝이 닫혀 있는(valved) 포트를 삽입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합병증이나 문제점에 관한 후향적 조사를 바탕으로 올바른 피하매몰 중심정맥 포트의 선택 및 관리,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2006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를 삽입한 4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valved 포트를 삽입한 경우는 109명이었고 non-valved 포트를 삽입한 경우는 329명이었다. 포트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의뢰한 56명 중 실제로 발생된 30명의 합병증이나 문제점을 valved. non-valved 포트로 나누어 비교 평가하였다. 포트 시술 후 valved 포트에서 문제점과 합병증이 11.93%, non-valved 포트에서 문제점과 합병증이 5.17%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valved 포트에서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Valve사용 유무에 따른 포트 사용 시 두께가 얇은 포트의 사용을 권장하고 시술시 환자 감염이 유발하지 않게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야 하며 시술이후에도 포트를 사용 시 전용바늘을 사용하고 사용 후 생리식염수의 의한 관 세척 등 포트관리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 시 원인을 찾아내어 해결책을 제시하고 향후 반복적인 합병증이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포트 삽입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을 증대해야 한다.

폐암환자에서 발생한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 골절 및 색전증 2예 (Two Cases of Fractured and Embolized Implanted Central Venous Chemoports in Lung Cancer)

  • 주진영;조재영;임정환;조계중;채동렬;오인재;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송상윤;나국주;김윤현;김재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5호
    • /
    • pp.449-453
    • /
    • 2007
  • 항암제 치료 등을 위해서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를 유치한 환자에서 도관 골절 및 원위부의 색전증은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일반적인 경우는 경피적으로 도관의 제거가 가능하나, 임상의사들이 미리 이러한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인지하고 조기에 발견하여 올바른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등에 대해서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5-2008년 단일 기관의 소아 혈액 종양 환자에서의 균혈증 양상: 소아 혈액 종양 환자에서의 균혈증 (Bloodstream Infections in Children with Cancer between 2005 and 2008 in a Single Center)

  • 김지혜;김형진;임연정;이영호;오성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1호
    • /
    • pp.36-48
    • /
    • 2010
  • 목 적 : 항암 화학 요법을 받는 소아 혈액 종양 환아들에서의 균혈증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이에 대한 신속한 경험적인 항생제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경험적 치료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소아 혈액 종양 환아들의 균혈증의 임상 양상, 검사 소견, 위험 인자, 원인균의 분포 및 임상경과에 대한 최근 경향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혈액 종양 분과에서 치료받은 환아들에게서 발생한 총 212 발열례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을 균혈증이 발생한 군과 균혈증이 발생하지 않은 군으로 나눠서 호중구 감소증 여부 및 정도, 이식 여부 및 종류, 중심 정맥관 유무 및 종류 등을 비교하였고, 원인균의 종류, 항생제 감수성 및 임상경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3년 동안 총 63명의 소아 혈액 종양 분과 환아에서 212 발열례가 발생하였으며, 40례(18.9%)에서 균혈증이 발생하였다. 발열례 중 호중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는 157례였고 37례(23.6%)의 균혈증이 발생하였다. 동정된 총 균주는 45균주로 그람 양성균 23균주(51.1%), 그람 음성균 20균주(44.4%), 진균 2균주(4.4%)였다. 그람 양성균 중 가장 흔하게 분리된 균주는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46.7%)였으며, 그람 음성균 중에는Acinetobacter species (15.6%)가 가장 분리율이 높았다.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환자들에 게서 호중구 감소증이 없는 환자들보다 균혈증이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P =0.002). 13례의 균혈증은 이식을 시행받은 환자들에게 발생하였으며, 호중구 감소증을 보인 환자 중에서 이식환자가 이식을 받지 않은 환자보다 균혈증이 많이 발생하였다(P =0.008). 제대혈이식을 시행받은 군에서 기타 다른 형태의 이식을 받은 군에 비해 균혈증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많았다(P =0.001). 균혈증 환자들의 사망률은 균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다제내성균의 경우에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이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 =0.335). 중심 정맥관을 지닌 환자에서 발열이 발생한 경우 Chemoport를 지닌 환자에서 Hickman 도관을 지닌 환자에서보다 균혈증의 발생이 많았으며(P =0.029), Chemoport를지닌군에서 그람 양성균이, Hickman 도관을 지닌 군에서는 그람 음성군이 유의하게 많은 비율로 배양되었다(P =0.001).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 그람양성균은 모두 penicillin과 oxacillin에 내성을 보였고, vancomycin과 teicoplanin에는 모두 감수성을나타내었다. 그람 음성균에서는 amikacin, gentamicin, imipenem, piperacillin/tazobactam에 대한 내성률이 각각 45.0%, 30.0%, 20.0% 및 20.0%였다. 결 론 : 본 연구는 소아 혈액 종양 환자들에서 발열례의 균혈증의 빈도 및 감염원의 분포와 호중구 감소, 이식, 및 중심 정맥관의 종류가 균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동정된 원인균의 항생제 내성률을 밝혔으며 이러한 자료는 향후 발열을 동반한 호중구 감소증을 가지는 환자에서 적절한 경험적 항생제 선택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Pinch off 증후군에 의한 피하매몰형 중심정맥도관의 절단 (Fracture of an Implantable Central Catheter Due to Pinch Off Syndrome)

  • 윤주식;오상기;송상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04-507
    • /
    • 2008
  • 피하매몰형 중심정맥도관은 근래에 항암 치료, 장기간의 정맥주사, 영양 공급 등을 위해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중심정맥도관을 거치했을 때 감염, 혈전, 폐색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비교적 낮은 빈도에서 도관의 절단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Pinch off 증후군에 의한 도관 절단을 3예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 고찰하고자 한다.

항암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에서의 중심정맥삽관술 (Central Venous Access for Chemoterapy in Patients with Malignant Disease)

  • 김욱성;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6호
    • /
    • pp.483-487
    • /
    • 1993
  • From July 1990 to August 1992,78 Hickman catheters and 22 chemoports were inserted in 98 patients for chemotherapy.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these pat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Mean age of patients was 42.8$\pm$1.6[SE] years 2]Male to female ratio was 1.09:1 3]The diseases of the cases were leukemia[66] ,lymphoma[8], stomach cancer[8],uterine cervix cancer[5],ovarian cancer[4],lung cancer[3],aplastic anemia[2],maxillary gland cancer[1],pancreas cancer[1],malignant mesothelioma[1] and multiple myeloma[1] 4]Mean values of preoperative WBC counts,platelet counts,PT and APTT were 31,500$\pm$ 8,132[SE]/mm,104,000$\pm$ 12,200 [SE]/mm,82$\pm$ 1.9[SE]% and 32$\pm$ 0.8[SE] sec,respectively. 5]The average duration of catheter uses was 121.7$\pm$ 17.3[SE]days. 6]The complications were subcutaneous tunnel bleeding or hematoma[2],exit site or subcutaneous tunnel infection[2] and catheter related septicemia[1]. 7]The causes of catheter removal were patient`s death or hopeless discharge[22],completion of treatment[6],subcutaneus hematoma or bleeding[2],exit site or subcutaneous tunnel infection[2] and catheter related septicemia[1].So,we concluded that Hickman catheter and chemoport were useful vascular access for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alignant diseases, with low rate of complication and longterm duration.

  • PDF

소아 환자의 당일 수술 경험 (The Experience of One Day Surgery in Pediatric Patients)

  • 남소현;김대연;김성철;곽미정;이동명;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47-154
    • /
    • 2006
  • One day surgery in children has been practiced for last 10 years in this institu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its safety and effectiveness for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old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Surgery, Asan Medical Center, from September. 1996 to December, 2005. A total of 3,709 patients, 37 % of the total pediatric operations, a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most prevalent ages were between 1 and 3 years olds (1,199 patients). Twenty patients were younger than 6 months, and they all had one day surgery safely. Operations were herniorrhaphy in 3,126 patients,followed by excisional biopsy, chemoport removal, and OK 432 injection. There were 12 cases (0.32 %) of unplanned admissions, 7 occurred within 6 months of one day surgery. Perioperative fever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admission in 4 cases. The related conditions of unplanned admission were bleeding in 2 cases and radical surgery in 2. One day surgery in this institution was easily accessible and safe. This is to the result of appropriate selection of patients, cooperation with anesthesiologists, adequate control of postoperative pain, and home care progra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