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ed the Causes of Problematic Chemo-Ports According to the Types of Chemo-Ports(Valved, vs. Non-Valved)

Valve포트와 Non-Valved포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의 비교 분석

  • 유인규 (한림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 임청환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한범희 (서남대학교 방사선학과) ;
  • 정홍량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 주영철 (한서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1.01.30
  • Accepted : 2011.03.09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otal implanted central venous port (TIAP, Chemoport) is widely used in oncology patient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external dressing and restricts patient activity. Chemoport only requires monthly flushes of heparinized saline to keep the patency of the catheter and probably less prone to infectious complications than tunneled catheter. Despite the extensive use of permanent central venous access in oncology patients, there are only few reports about clinical experience of the Groshong cathe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mplication rate between the traditional open-ended (non-valved) chemoports and valved chemoports (Groshong catheter connected to TIAP). During 5 years (Jan 2006 to May 2010), 438 patients received chemoport insertion procedure in our interventional radiology department. Among them 30 patients was referred to our department for problematic chemoports. We compared the cause of problematic chemoports between two types of chemoports (valved, vs. non-valved). Valved chemoports had higher referral rates than non-valved chemoports. When there is a need to insert valved port, different method of insertion and maintenance procedure seems to be necessary. More than 20 ml of flusing with heparinized saline after blood sampling could be a good suggestion. Adequate care of chemoport is essential for long patency. Also following the guideline from the manufacturing company is necessary.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장기간의 안정적인 정맥확보를 위해 중심정맥 카테터 삽입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장기간의 항암제 투여, 종합 비경구적 영양법, 반복적 혈액채취와 항생제 투여, 혈액 투석을 위해 시행되고 있다. 그중 주입구를 완전히 피하에 심는 피하매몰형 중심정맥포트(chemo-port)의 설치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치료를 받은 환자 중 중재적 방사선과에서 전형적인 카테터 끝이 열려 있는(non-valved) 포트와 새로운 형태의 카테터 끝이 닫혀 있는(valved) 포트를 삽입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합병증이나 문제점에 관한 후향적 조사를 바탕으로 올바른 피하매몰 중심정맥 포트의 선택 및 관리,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2006년 1월부터 2010년 5월까지 피하매몰 중심정맥포트를 삽입한 4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valved 포트를 삽입한 경우는 109명이었고 non-valved 포트를 삽입한 경우는 329명이었다. 포트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의뢰한 56명 중 실제로 발생된 30명의 합병증이나 문제점을 valved. non-valved 포트로 나누어 비교 평가하였다. 포트 시술 후 valved 포트에서 문제점과 합병증이 11.93%, non-valved 포트에서 문제점과 합병증이 5.17%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valved 포트에서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Valve사용 유무에 따른 포트 사용 시 두께가 얇은 포트의 사용을 권장하고 시술시 환자 감염이 유발하지 않게 가이드라인을 설정해야 하며 시술이후에도 포트를 사용 시 전용바늘을 사용하고 사용 후 생리식염수의 의한 관 세척 등 포트관리에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 시 원인을 찾아내어 해결책을 제시하고 향후 반복적인 합병증이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포트 삽입술의 유용성과 안전성을 증대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rotheres TE, von Moll LK, Niederhuber JE, Robert JA, Walker-Andrew S, Ensminger WD. Experience with subcutaneous infusion port in three hundred patient. Surg Gynecol Obstet 6:295-301, 1988
  2. 배창황, 김우건, 박완. 중심정맥 도관 삽입술의 성공률과 합병증 발생빈도의 관한 전향적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55(2), 195-201, 1998
  3. 신상욱, 도영수, 김재형. 우측 내경정맥 경로를 이용한 피하 터널식 중심정맥도관 삽입술.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8:217-223, 2002
  4. Vesely TM. Air Embolism during Insertion of Central Venous Catheters. J Vasc Interv Radiol 12:1291-1295, 2001 https://doi.org/10.1016/S1051-0443(07)61554-1
  5. Schilinger F, Schlinger D, Central Venouse Stenosisin hemodialysis; Comparative Angiographic study of Subclavian and Internal Jugular vein access. Nephrology 15:129-131, 1994
  6. Macdonald S, Watt AJ, McNally D, Edwards RD, Moss JG. Comparison of technical success and outcome of tunneled catheters inserted via the jugular and subclavian approaches. J Vasc Interv Radiol 11:225-231, 2000 https://doi.org/10.1016/S1051-0443(07)61470-5
  7. Alain L, Olivier C, Philippe H, Damien G, Frederic P, Vincent B, et al. Catheter-related Upper Extremity Deep Venous thrombosis in Cancer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Based on Doppler US. Radiology 220:655-660, 2001 https://doi.org/10.1148/radiol.2203001181
  8. Groeger JS, Lucas AB, Thaler HT, Friedlander-Klar H, Brown AE, Kiehn TE, et al. Infectious morbidity associated with long-term use of venous access devices in patients with cancer. Ann Intern Med 119:1168-1174, 1993 https://doi.org/10.7326/0003-4819-119-12-199312150-00003
  9. 송원규, 징공용, 한영민, 유희철. 중심정맥도관 설치술: 중재적 방사선학적 시술과 맹경피적 외과적 시술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지 47:467-472,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