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cooking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3초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의 소독 실태 분석 (Analysis of Disinfection Practices in Foodservic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 박민서;이혜연;배현주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3-110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 difference in washing and disinfection when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protocol was applied to foodservice opera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Among the 116 foodservice operations surveyed, 67.2% were HACCP-compliant and 32.8% were not HACCP-compliant. Also, 62.9% served meals once daily, and 79.3% conducted food safety education once a month. Compared to HACCP non-compliant foodservice operations,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HACCP-compliant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better concerning worktables (p<0.001), food inspection tables (p<0.001), preparation tables for distribution (p<0.01), serving tables (p<0.01), overflow and trenches(p<0.05), sinks (p<0.05), and insect attracting lamps (p<0.01). Similarly, the disinfection performance of HACCP-compliant foodservice operations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18 cooking utensils and personal tools such as food slicers (p<0.001), multiple cooking machines (p<0.05), tray carts (p<0.001), stainless steel tools (p<0.001), rubber gloves (p<0.05). Worktables (45.1%), serving tables (29.6%), sinks (37.0%), and scales (21.6%) were most often disinfected 'at the end of each task', while food inspection tables (36.5%), food preparation tables for distribution (31.2%), dish machines (34.2%), overflow and trenches (25.7%), and floors (25.8%) were most often disinfected 'once a day'. All cooking utensils were most often disinfected 'at the end of each task'. 'Chemical disinfection' was most frequently used in all foodservice facilities. To improve the food safety management of foodservice operations,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HACCP protocol and comply with the washing and disinfection manual.

검정콩의 발아물을 이용한 죽 제조의 최적화 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mum Conditions in Preparing Gruel with Black Bean Germ Sprout Source)

  • 이혜정;박희옥;이숙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87-294
    • /
    • 2005
  • 콩의 발아는 이소플라본의 증가, 피트산과 섬유소의 감소 등의 변화를 가져오며, 이런 효과는 죽 자체의 소화 홉수를 촉진한다는 것 외에도 생리활성의 변화로 건강에 유익할 것으로 생각되어 발아 콩을 이용한 죽 제조의 최적 조건들을 찾고자 관능검사, 이화학검사와 물성검사를 하였다. 관능검사 결과에 따라 쌀을 주곡으로 하여 발아 콩을 $70\%$$30\%$첨가하여 볶아 즙을내는 방법의 호정화를 이용하였고, 최적 가열 시간과 가수량은 40분과 10배수의 죽제품이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화학 검사에서는 쌀 $100\%$인 죽과, 발아 콩 $30\%$ 첨가군과 비교한 결과 pH는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발아 콩 $70\%$ 첨가군이 총당과 아밀로오스 함량은 높았고, 고형분과 퍼짐성은 낮았으며, Hunter's value도 L 값은 낮고, b 값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검정 발아 콩을 이용한 죽의 제조 최적 조건을 $30\%$쌀, $70\%$ 발아 콩, 최적 가수량 9배, 최적 가열시간 40분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폐식용유 원료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Waste Cooking Oil-based Biodiesel Production Process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 홍세흠;이원재;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8권5호
    • /
    • pp.559-56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제조공정에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공정변수로는 폐식용유의 산가, 반응시간, 반응온도, 메탄올/유지 몰비, 촉매량 등을 선택하였고, 반응치로는 FAME 함량(96.5% 이상) 및 동점도(1.9~5.5 cSt)를 설정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계량인자범위를 반응시간 (45~60 min), 반응온도($50{\sim}60^{\circ}C$), 메탄올/유지 몰비(8~12)로 정하고,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결과 바이오디젤의 제조공정의 최적조건은 반응시간 55.2 min, 반응온도 $57.5^{\circ}C$, 메탄올/유지 몰비 10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 바이오디젤의 예측 FAME 함량은 97.5%, 동점도는 2.40 cSt이었으며, 실제 실험을 통해 확인한 결과 FAME 함량(97.7%), 동점도(2.41 cSt)로 측정되어 오차율은 각각 0.23, 0.29%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식용유 원료 바이오디젤 제조공정 최적화 과정에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적용할 경우 매우 낮은 오차율을 얻을 수 있었다.

개똥쑥 약초차 제조에서 아르테미시닌의 전기화학적 측정과 차를 만드는 최적화로의 접근법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Artemisinin in Artemisia annua L Herbal Tea Preparation and Optimization of Tea Making Approach)

  • Debnath, Chhanda;Dobernig, Andrea;Saha, Pijus;Ortner, Astrid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7-62
    • /
    • 2011
  • 가끔 먼 지역 거주자들은 현대 의약품이나 의학 서비스에 있어서 불충분하거나 접근할 수 없다. 그들은 개똥쑥의 선택된 품종을 경작하고 차 제조의 적절한 방법에 따라 식물로부터 차나 달인즙을 만드는 것에 의해 말라리아에 대항한 치료의 관점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아르테미시닌에 대한 최대 추출 효율을 위해, 개똥쑥의 차제조의 다른 방법들은 발달된 DPP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되었고 이 논문에 서술되었다. 차는 시간을 다르게 하여 3가지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다(굽기, 섞거나 섞지 않으면서 굽지 않기 그리고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 결과로부터, 아르테미시닌의 더 높은 농도(84.7%)는 15분 동안 섞으면서 굽지 않는 차 제조법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R.S.D. 2.34%). 아르테미시닌의 농도는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에서 1.5분 이상 구울 때 감소한다. 최대한도의 추출(88.9%)은 증류수에서 5%에탄올과 함께 섞는 추출방법에서 가능했다(R.S.D. 2.28%).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for the Soda Pulping of Carpolobia Lutea (Polygalaceae) G. Don

  • Ogunsile, B.O.;Uba, F.I.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57-263
    • /
    • 2012
  • The selection of suitable delignification conditions and optimization of process variables is crucial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hemical pulping processes. Soda pulping of Carpolobia lutea was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production. The process was optim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ree operational variables, namely, temperature, time and concentration of cooking liquor. Equations derived using a second - order polynomial design predicted the pulp yield and lignin dissolution with errors less than 8% and 11% respectively. The maximum variations in the pulp yield using a second order factorial design was caused by changes in both time and alkali concentration. Optimum pulp yield of 43.87% was obtained at low values of the process variables. The selectivity of lignin dissolution was independ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allowing quantitative estimations to be established between the pulp yield and residual lignin content within the range studied.

무증자(無蒸煮)전분법에 의한 알코올생산(生産): 화학적(化學的) 호화법(糊化法) (Production of Alcohol from Starch without cooking: A chemical gelatinization method)

  • 박관화;오병하;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52-54
    • /
    • 1984
  • Ethanol fermentation from the chemically gelatinized starchy material was examined. The critical concentration of sodium hydroxide solution for gelatinization was dependent on the species of starch; 0.4M for potato and 0.6M for tapioca at room temperature. For alcohol fermention the starchy material was gelatinized by addition of sodium hydroxide solution, neutralized by sulfuric acid, and then yeast was added. The amount of $CO_2$ evolved during ethanol fermentation indicates that non-fermentable material was not produced from the starch by chemical gelatinization. In ethanol fermentation of potato and tapioca starc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hermal and the chemical gelatinization.

  • PDF

Indoor exposure to hazardous air pollutant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low-income houses in Lagos, Nigeria

  • Luqmon, Azeez;Musa, Olaogun;Mariam, Adeoye;Abdulazeez, Lawal;Babatunde, Agbaogun;Ibrahim, Abdulsalami;Adija, Majolagbe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권4호
    • /
    • pp.277-288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exposure to air pollutants in rooms in low-income houses at Shomolu (R1), Mafoluku (R2) and Mushin (R3) in Lagos state. The concentrations of most measured exceeded limits of Illinoi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IDPH) for indoor air quality. Air quality index (AQI) in rooms studied was unhealthy for sensitive people in terms of CO, unhealthy in terms of $SO_2$ and very unhealthy in terms of $NO_2$ while moderate air quality was obtained in terms of $PM_{10}$ in most rooms.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tetrachloride, formaldehyde and xylene measured could have been responsible for some of the health complaints of the occupants. Factor analysis shows that cooking with kerosene, use of gasoline generator and insecticide were the major contributors to indoor air pollution in these rooms. Therefore, there is need to urgently tackle poverty as all affected by these pollutants were poor who live in substandard houses without kitchens.

조리실내의 유해오염물질 제거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mful Pollutants in the Cooking Chamber)

  • 권우택;이우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49-1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과정에서 발생한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질, 미세먼지, 악취, 총부유세균 등의 오염물질들이 조리실내로 분산되어 실내공간이나 조리업 종사자에게는 나쁜 냄새나 작업환경 및 건강피해를 감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공기청정기의 단점을 보완하고, 반영구적이며, 각종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활성탄과 황토를 결합한 바이오세라믹 필터를 bar type으로 제작한 실내용 소형 공기청정기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측정항목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미세먼지, 복합악취, 총부유세균 등 모두 4가지 항목으로 개발된 공기청정기 가동 전과 일정시간 가동 후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총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는 평균 $2,500{\mu}g/m^3$에서 $223{\mu}g/m^3$으로 약 91.02%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미세먼지의 제거율은 평균 농도가 $26.68{\mu}g/m^3$로서 97.51%의 우수한 제거효과가 나타났으며, 복합악취의 희석배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 144로 평균 95.20% 감소하였다. 또 총부유세균은 초기 농도가 $787{\sim}814CFU/m^3$에서 $47{\sim}40CFU/m^3$로 약 94% 이상 제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개발되어진 공기청정기의 바이오세라믹 필터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우수한 제거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를 조리실내에서 환기장치와 렌지후드를 병행하여 사용하면 기존의 열악한 조리실 내의 환경이 크게 개선되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식염 및 지방을 함유한 분쇄돈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최종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근장단백질의 이용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Sarcoplasmic Proteins for the Determination of End-point Cooking Temperatures of Ground Pork Hams Containing Salt and Fat)

  • 강상미;진구복;조수현;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83-90
    • /
    • 2004
  • 본 연구는 식염과 지방 그리고 여러 가열조건에 의한 pH 및 일반성분, 가열감량 및 단백질 용해성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 분획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처리구에 따른 가열감량 (CL, %)은 지방의 첨가에 상관없이 식염을 2%첨가한 경우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약 1/2배 정도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다. 한편, 식염 무첨가구의 경우 지방을 첨가한 경우 가열감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식염 2%첨가구는 지방 첨가에 따른 가열감량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가열온도에 따른 가열감량은 $66^{\circ}C$까지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68^{\circ}C$ 보다 높은 가열온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염 무첨가구와 식염 2% 첨가구 사이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이 첨가된 경우 상대적인 단백질 함량의 감소로 단백질 용해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해성의 감소가 현저히 나타났으나 $68^{\circ}C$ 이상의 가열온도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이 유의적 차이 없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추출한 근장 단백질이 각 처리구별 가열온도에 따른 단백질 분획을 분석하기 위해 전기영동을 실시한 결과 식염, 지방 그리고 가열에 따라 특이적으로 반응한 것은 36 과 66 kDa의 분자량을 가진 근장 단백질 분획이었다. 이러한 단백질 분획은 최종가열온도가 66 ${\sim} 70^{\circ}C$에서 급격히 thtlfehladmfhTJ 돈육의 최종 가열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염첨가 유무에 따른 계육의 부위별 가열온도에 따른 이화학적 성상과 근장 단백질 밴드의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Sarcoplasmic Protein Bands of Chicken Meat Cuts with or without Salt during Cooking Temperatures)

  • 김수희;진구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69-278
    • /
    • 2007
  • 본 연구는 계육의 가슴과 다리부위로 식염첨가의 유무에 따라 64부터 74℃까지 2℃ 간격으로 가열하는 동안 pH와 일반성분, 가열감량, 단백질 용해성, 색도 그리고 단백질 밴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괄적인 결과에서 pH는 2%의 식염을 첨가 한 것과 가열 온도별로는 차이가 없었지만 부위별로 차이를 보여 다리부위가 가슴부위 보다 높았다. 일반성분 중 수분과 지방 함량은 식염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수분과 지방 함량 모두 다리부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단백질 함량과 용해성은 가슴부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소금첨가에 따른 결과에서 근육부위별 다리와 가슴부위의 가열감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2 % 식염을 첨가한 처리구는 가열감량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적색도는 대조구의 경우 다리가 가슴보다 높았고 황색도와 함께 가열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단백질의 용해성은 식염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괄적인 결과와는 달리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에서 부위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H, 명도와 단백질의 용해성은 식염첨가에 따른 근육부위와 가열온도 상관관계의 유의차를 보임으로써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대조구의 경우 pH는 다리부위가 높았고, 명도는 가열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열시에 부위별 차이를 보였다. 반면 2%의 식염을 첨가한 처리구는 부위에 상관없이 용해성이 감소하였고 명도는 가슴육에서만 증가하여 부위별 차이를 보였다.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다리부위에서 가열하지 않은 원료육은 약 7개의 단백질 밴드를 보였는데 내부중심온도를 64℃로 가열했을 시 90, 53, 30.5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가 가열 온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가슴부위에서는 원료육의 경우 약 9개의 단백질 밴드가 보였지만 88, 64, 30.5, 3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가 가열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가열온도와 식염처리에 영향을 받은 단백질 밴드는 다리부위에서 66과 54 kDa 이었으며 가슴부위에서는 66과 54 및 33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밴드였다. 또한 54 와 33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는 68℃까지 희미하게 보이다 사라졌으며 그 중 33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밴드는 2%의 식염 첨가 시 저해작용을 받아 66℃ 까지만 보이다 사라졌다. 이러한 단백질 밴드는 계육의 최종가열 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