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Sarcoplasmic Protein Bands of Chicken Meat Cuts with or without Salt during Cooking Temperatures

식염첨가 유무에 따른 계육의 부위별 가열온도에 따른 이화학적 성상과 근장 단백질 밴드의 변화

  • Kim, Soo-Hee (Dep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in, Koo-Bok (Dept. of Animal Science an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수희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진구복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및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pH, proximate composi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changes of protein bands, Hunter color values and endpoint cooking temperature of chicken leg and breast muscles during cooking from 64 to 74℃ with 2℃ increments. Chicken leg had higher pH, moisture and fat contents (%) and lower protein solubility(P<0.05) than chicken breast. Although the cooking losses(CLs, %) of chicken muscles increased with increased cooking temperature, the addition of 2% salt did not affect CL. The redness values of chicken leg without 2% salt were higher than chicken breast, however, the addition of 2% salt reduced the differences of the redness. Protein solubility decreased with increased cooking temperatures and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salt, and no further changes were observed higher than 68℃. Protein bands having the molecular weights of 66 and 54kDa were disappeared in the chicken leg at the cooking temperatures of 66~70℃, whereas 66, 54 and 34kDa in the chicken breast. These protein bands could be used potential indicators to determine the endpoint cooking temperature in chicken muscles.

본 연구는 계육의 가슴과 다리부위로 식염첨가의 유무에 따라 64부터 74℃까지 2℃ 간격으로 가열하는 동안 pH와 일반성분, 가열감량, 단백질 용해성, 색도 그리고 단백질 밴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괄적인 결과에서 pH는 2%의 식염을 첨가 한 것과 가열 온도별로는 차이가 없었지만 부위별로 차이를 보여 다리부위가 가슴부위 보다 높았다. 일반성분 중 수분과 지방 함량은 식염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수분과 지방 함량 모두 다리부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단백질 함량과 용해성은 가슴부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소금첨가에 따른 결과에서 근육부위별 다리와 가슴부위의 가열감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2 % 식염을 첨가한 처리구는 가열감량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적색도는 대조구의 경우 다리가 가슴보다 높았고 황색도와 함께 가열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단백질의 용해성은 식염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괄적인 결과와는 달리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에서 부위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H, 명도와 단백질의 용해성은 식염첨가에 따른 근육부위와 가열온도 상관관계의 유의차를 보임으로써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대조구의 경우 pH는 다리부위가 높았고, 명도는 가열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열시에 부위별 차이를 보였다. 반면 2%의 식염을 첨가한 처리구는 부위에 상관없이 용해성이 감소하였고 명도는 가슴육에서만 증가하여 부위별 차이를 보였다.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다리부위에서 가열하지 않은 원료육은 약 7개의 단백질 밴드를 보였는데 내부중심온도를 64℃로 가열했을 시 90, 53, 30.5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가 가열 온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가슴부위에서는 원료육의 경우 약 9개의 단백질 밴드가 보였지만 88, 64, 30.5, 3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가 가열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가열온도와 식염처리에 영향을 받은 단백질 밴드는 다리부위에서 66과 54 kDa 이었으며 가슴부위에서는 66과 54 및 33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밴드였다. 또한 54 와 33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는 68℃까지 희미하게 보이다 사라졌으며 그 중 33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밴드는 2%의 식염 첨가 시 저해작용을 받아 66℃ 까지만 보이다 사라졌다. 이러한 단백질 밴드는 계육의 최종가열 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ition. Association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ternational. Washington DC
  2. Huffman, D. L., Cross, H. R., Campbell, K. J. and Cordray, J. C. 1981. Effect of salt and tripolyphosphate on acceptability of flaked and formed hamburger patties. J. Food Sci. 46:34-36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1.tb14524.x
  3. Hwangbo, S. and Chung, K. Y. 1997. Purification and antibody production of chicken-specific muscle protein (50 kDa). Kor. J. Food Sci. Ani. Resour. 17(3):257-264
  4. Hwang C. S., Hong J. M. and Lee, K. H. 1975. Effects of cooking treatment on the composition of chicken meat( I ). Korean J. Anim. Sci. 17(2): 184-186
  5. Kang, S. M., Chin, K. B., Cho, S. H. and Lee, J. M.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tiliza- tion of sarcoplasmic proteins for the determination of end-point cooking temperatures of ground pork hams contain salt and fat. Kor. J. Anim. Sci. and Technol. 46(1):83-90 https://doi.org/10.5187/JAST.2004.46.1.083
  6. Kim, Y. J. and Park, C. I. 2001. Effects of additions of activated carbon on produ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broilers. Kor. J. Food Sci. Ani. Resour. 21(1):24-31
  7. Laemmli, U. 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680-685 https://doi.org/10.1038/227680a0
  8. Lee, J. E, Jung, I. C, Kim. M. S. and Moon, Y. H. 1994. Postmortem changes in pH, VBN, total plate counts and k-value of chicken meat. Kor. J. Food Sci. Resour. 14:240-244
  9. Lowry, O. H., Rosebrogh, J. M., Farr, A. L. and Randdall, R. 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265- 275
  10. Maltin, C. A., Warkup, C. C., Matthews, K. R., Porter, A. D. and Delday, M. I. 1997. Pig musle fibre characteristics as a source of variation in eating quality. Meat Sci. 47:237-248 https://doi.org/10.1016/S0309-1740(97)00055-7
  11. Park, C. I. 2002. Effect of dietary mugwort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meat. Kor. J. Food Sci. Ani. Resour. 22(3):212-217
  12. Ruusunen, M., Vainionpaa, J., Lyly, M., Lahteen- maki, L., Niemisto, M., Ahvenainen, R. and Puolanne, E. 2005. Reducing the sodium content in meat products; The effect of the formulation in low-sodium ground meat patties. Meat Sci. 69:53- 60 https://doi.org/10.1016/j.meatsci.2004.06.005
  13. Smith, D. M., Desrocher, A. M., Booren, C. H., Wang, C. H., Agouzied, M. M., Pestka, J. J. and Veeramuthu, G. J. 1996. Cooking temperature of turkey ham affects lactate dehydrogenase, serum albumin and immunoglobulin G as determined by ELISA. J. Food Sci. 61:209-212, 234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6.tb14761.x
  14. USDA-FSIS. 1994. Requirements for the production of cooked beef, roast beef and cooked corn beef.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9, Ch. 3, Part 318.17. Office of the Federal Register,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Washington, D
  15. Xiong, Y. L. and Brekke, C. J. 1989. Change in protein solubility and gelation properties of chicken myofibers during storage. J. Food Sci. 54(5): 1141-1146 https://doi.org/10.1111/j.1365-2621.1989.tb05941.x
  16. 농림부. 2006. 주요국별 1인당 주요 육류소비량. 농림부 주요 통계. pp.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