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ju island

검색결과 852건 처리시간 0.032초

제주도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Phytophthora palmivora에 의한 심비디움 역병 (First Report of Phytophthora palmivora in Cheju Island as the Causal Pathogen of Phytophthora Crown Rot of Cymbidium)

  • 홍순영;지형진;현승원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25-728
    • /
    • 1998
  • Phytophthora crown rot of cymbidium was observed in Cheju island since June of 1996. The disease initiated at the basal portion of infected plant progressed upward to lower leaves. Soon after distinct water-soaking lesions appeared on lower leaves, the plant was wilted, blighted and died. Four orchid farms at Sogwipo out of 16 surveyed in the island were infected by the disease estimating 5~20% infection rates. The causal fungus was identified as P. palmivora based on following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All isolates were heterothallic as A1 types and readily produced chlamydospores with cultural age. Sporangia were conspicuous papillate, ellipsoidal to ovoid, highly deciduous with short pedicels ca. 3~4 ${\mu}{\textrm}{m}$. Koch's rules were satisfied by a pathogenicity test and re-isolation of the fungus from inoculated plants. The pathogen has never been reported in Cheju island previously and its firstly recorded as the cause of Phytophthora crown rot of cymbidium in Korea.

  • PDF

한국 남$\cdot$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A Study on the Temperature fronts observed in the South-West Sea of Korea and the Northern Area of the East China Sea)

  • 양영진;김상현;노홍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95-706
    • /
    • 1998
  • 한국 남$\cdot$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 나타나는 표층수온 전선의 위치, 형태, 시기별 변동상황, 전선형성기구 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1996년까지 국립수산진흥원에서 NOAA 화상자료로부터 구한 표면수온분포도와 제주도청 어업지도선 등을 이용하여 월별로 관측한 제주해협 해양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 남$\cdot$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 형성되는 연안형 및 외해형 전선대 양상은 여러 가지 Pattern으로 구분되어 진다. 즉, 1월부터 4월까지 한국 남$\cdot$서 연안역에 나타나는 "L" 자형의 연안형 전선대와 제주도 남서쪽 해역에 북서에서 남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빗금형 ($\setminus$)의 외해형 전선대가 제주도 서쪽 해역에서 서로 마주치지 않아 "L" 자의 "-"를 비스듬히 세운 형상의 동계형 (ㄴ) 전선대가 형성된다. 그리고 6월부터 8월까지 한국 남$\cdot$서해 연안역에만 전선이 나타나는 "L" 자형의 하계형전선대, 5월과 9월, 10원에 나타나는 한국 남$\cdot$서해의 "L" 자형 연안역 전선대와 제주도 남서해역의 외해형전선대가 제주도 주변에서 서로 마주쳐 "Y" 자가 왼편으로 누운 것과 같은 삼거리 모양의 춘$\cdot$추계형 ($\succ$) 전선대가 형성된다. 또 11월과 12월에 나타나는 한국 남해연안역의 직선형의 연안형 전선대와 제주도 남서해역의 외해형 전선대가 제주도 서쪽에서 마주쳐 "$\angle$" 모양으로 되는 늦가을형으로 대별된다. 2. 전선의 단기변동 경향은 수일 이내에는 그 위치가 크게 이동하지 않고, 또 한국 남해 연안역 전선대보다 제주도 남서해역 전선의 위치 변화가 크다. 한국 남해연안역에는 주년 연안형 전선대가 출현하며 이 전선대는 대체로 동계에 연안역에 가장 접근하고 춘$\cdot$추계에 가장 남쪽으로 이동하는 남북 이동을 하며, 제주도 남서해역 외해형 전선대는 대마난류 분포범위의 계절변화와 같이 동계에는 가장 서쪽에, 춘 추계에는 가장 동쪽에 형성되는 동서방향 이동이 있고 한국 남서해역 연안형 전선대도 주년 나타나지만 3월, 4월, 11월에 가장 약화된다. 3. 제주해협에는 추자도에서 여서도 또는 청산도를 잇는 선 부근에 주년 표층수온 전선이 형성되고, 또 11월$\~$1월을 제외한 시기에 제주도 연안에는 하계에 환(Ring-shaped)의 조석전선이 나타나며 특히 5월과 10월에는 제주도 동쪽과 남쪽에 제주도 연안수와 대마난류수간에 전선이 형성되어 한국 남해의 연안형 전선대와 제주도 남서해역의 외해형 전선대를 연결하고 있다.

  • PDF

A Catalogue of the Mollusks of Jeju Island, South Korea

  • Noseworthy, Ronald G.;Lim, Na-Rae;Choi, Kwang-Si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104
    • /
    • 2007
  • This catalogue is the result of a four-year survey of the mollusks of Jeju Island, the southernmost is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Forty-eight survey stations were visited, with a total of 82 specific localities being sampled. Literature records were also obtained. Local and world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is included. This survey reports a total of 1,072 mollusk species and subspecies; 1,015 marine and 57 land and freshwater. There are 812 gastropods, of which 755 are either entirely marine or have marine affinities. The best represented of the marine families are the Pyramidellidae, Trochidae, and Ovulidae. There are 225 bivalves, none being freshwater species, with the Veneridae, Mytilidae, and Arcidae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mong the smaller classes there are sixteen Cephalopoda, eleven Polyplacophora, and eight Scaphopoda. Compared to mainland Korea, Jeju Island has a rather small terrestrial mollusk fauna and a depauperate freshwater one, with mainly Palearctic connections. The Helixarionidae and Bradybaenidae are the largest terrestrial families. The marine faunal affinities with the neighboring Japonic and Indo-West Pacific provinces are also discussed, revealing that this island's mollusk fauna is a blend of warm-temperate and subtropical-tropical species.

  • PDF

제주 김녕리 궤내기 동굴 유적에서 출토된 뼈유물의 고고학적 연구 (Archaeological study of animal bones excavated from Cheju Kimnyungri cave site)

  • 신태균;진재광;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57-761
    • /
    • 1996
  • The animal bone-remains excavated with earthwares at Cheju Kimnyungri cave site were investigated morphologically and osteometrically. The number of bone remains were 1706 pieces by morphological criteria.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ony pieces excavated in the cave site, the important animal species in Cheju island during the early Tamra period (presumably between A.D.0 - A.D. 500) was as follows; wild boar(75%), deer(17%), cattle(6%), and horse in small percentage. The excavated bone remains imply that the major fauna of animal species are composed of three species, including Sus scrofa, Cervus nippon and Bos taurus. These data suggests that the archaeological remains such as bone pieces are good indicators of the fauna animals, and of zoological entity in the island.

  • PDF

한국산 해산 해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1. 제주 부근 섬의 해산 해면동물 (A systematic Study of Marine Sponges in Korea 11. Sponges of Islets near the coast of Cheju Island)

  • Chung-Ja Sim;Young-Hae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1호
    • /
    • pp.17-37
    • /
    • 1994
  • 제주도 연안과 부근섬에서는 다른 무척추동물에 비해 해면동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많은 미기록종과 신종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1992년 6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제주도 연안과 부근섬에서 채집된 재료와 그동안 한남대학교 샘물학과와 이화여자 대학교 생물학과에 보관되어 있던 표본들을 동정.분류한 결과 21과 29속 40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3종은 신종이었으며 9종이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여기에서는 3종의 신종에 관하여서는 자세한 기재와 도판을 첨가하였으며 미기록종은 특기와 도판을 첨가하였다.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Algae from Jeju Island

  • 허수진;차선희;이기완;전유진
    • ALGAE
    • /
    • 제21권1호
    • /
    • pp.149-156
    • /
    • 2006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algae in Jeju Island. The algal extracts were obtained with MeOH and fresh water at 20 and 70°C, and screen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hydroxyl radical (HO·), superoxide anion (O2–), hydrogen peroxide (H2O2)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Among them, Gracilaria verrucosa methanolic extract at 20°C (20ME, 96.85%), G. textorii aqueous extract at 20°C (20AE, 88.01%), Grateloupia filicina 20AE (85.35%), and Polysiphonia japonica 20ME (94.92%) exhibit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HO·, O2–, H2O2, and DPPH free radicals, respectively. Moreover, P. japonica (20ME and 70ME) is correlated betwee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olyphenolic cont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me red algae in Jeju Island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development of antioxidants.

환경동위원소(環境同位元素)를 이용(利用)한 제주동부지역(濟州東部地域) 대수층(帶水層)의 해수오염(海水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Environmental Isotope - Aided studies on Sea Water contamination of Eastern Coastal Aquifer in Cheju Island)

  • 안종성;김선준;유장걸;송성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40
    • /
    • 1992
  • 제주도 동부지역 대수층의 지하수에 대해 환경동위원소(산소-18, 중수소 및 삼중수소)의 조성 및 화학적특성을 구명하였다. 이 지역의 지하수에 대한 동위원소의 조성을 제주서부지역의 순수한 지하수와 연안의 해수와 비교한 결과 지하수에의 해수침투현상이 밝혀졌으며 음${\cdot}$양이온함량, 염소${\cdot}$중탄산염비 및 전기전도도 등도 이 결과를 뒷받침했다. 제주도 북동부지역의 지하수는 염분함량이 식수의 한계농도인 150ppm 이상으로 오염되었고 이러한 해수에 오염된 지하수의 경계는, 해안으로부터 3km 이상의 내륙에 위치한 대수층까지 침투되었다. 또한 남동부에서의 이 경계는 대략 700m 정도까지 침투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최근 국내 사상충증의 역학적 상황에 관한 조사 (Studies on the Current Epidemiological Situation of Brugian Filariasis in Endemic Areas of Korea)

  • 백영한;조유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55-262
    • /
    • 1988
  • 근래에 전남 신안군 대흑산도 및 소흑산도와 제주도에서 보고된 주민의 microfilaria(mf) 양성률은 각각 평균 11.5%, 11.l%, 0.5%였다. 저자 등은 흑산도와 본토와의 중계항인 전남 신안면 도초면(도)에서 1987년 7월 주민들의 microfilaria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이 섬의 해숭암당에서 Aedes togoi가 채집되었다. Mf 조사 방법은 Ae. togoi 서식처에 가까운 4 개 부락(화도, 지남, 지북, 지동)의 주민 195명(남 102, 여 93)을 21:00∼01:00시 사이에 호별 방문하여 채혈하고 후속도말(20mm3)한 후 Giemsa 염색하고 검경하였다. 검사 결과 전 표본이 음성이었으며 이 지역에서 사상충증의 분석는 흑산도에만 한국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저자 등은 또한 1988년 5월 과거 사상충증의 유행도가 높았던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면 태흥리, 서귀포시 하예(예)동, 북제주군 애월읍 구엄리 및 신엄리의 4개 부락에서 주민 357명 (남 167, 여 190)에 대하여 상기 도초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microfilaria를 조사하였던 바 단 1건의 mf 양성자(52재, 남)가 태흥리에서 발견되었고(1/180 또는 0.6%), mf 밀도는 l1/20 mm3이었다. 상기와 같이 제주도에서 사상충증의 소멸이 관련된 제 인자를 구명코자 1988년 9월 태흥리에서 미충학적 조사와 주민의 생활양태의 일단을 관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Ae. togoi의 서식처는 여전히 많아 Ae. togoi 개체군의 절대밀도에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사료되나 주간 가옥 내 휴식 모기 밀도(평균 매 가옥당 0.4)와 인/모기 접촉도(man-mosquito contact)는 부락주거 지역의 확대, 인구의 증가, 생활수준의 향상등에 의해 감소되었음이 나타났다(indoor human biting catches-0.2/man/hour, outdoor-0/man/hour) (상대적 밀도의 감소를 의미). 총 20가구의 표본 조사에서 19가구는 모기향, 에어로졸 사용과 함께 모기장(전가족 보호 가능한 수)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양호한 개인 방어(personal protection) 는 옥내 흡혈성(endophagy)을 가진 Ae. togoi의 매개 능률을 결정적으로 저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 PDF

1996년 제주도에 나타난 대형저서동물의 대량폐사: 물리해양학적 요인의 역할 (The 1996 Mass Mortality of Macrobenthic Animals in Cheju Island: A Possible Role of Physical Oceanographic Factor)

  • 서해립;조양기;서호영;김대환
    • 환경생물
    • /
    • 제17권2호
    • /
    • pp.175-182
    • /
    • 1999
  • 1996년 여름 제주도 서쪽 해안에서 전에 볼 수 없을 정도로 유용 대형저서동물이 대량으로 죽어, 전복, 오분자기, 소라, 해삼, 말똥성게에 큰 피해를 주었다. 제주도 해안에서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은 없었고, 대량폐사가 일어나기 전에 해안에서 표층 저염수가 나타났기 때문에 저염분 스트레스가 대량폐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같은 기간 관측된 강수량이 적어, 강수량으로 저염화를 설명하지 못한다. 국립수산진흥원(1997)이 관측한 자료는 1996년 8월 제주도와 중국 사이 해역에 표충 저염수가 나타난 것을 확실히 보여준다. 제주도 서쪽 해안에 나타난 표층 저염수는 다량으로 유출된 강물이 그 기원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해류와 양자강에서 제주도까지 거리등도 표층 저염수가 양자강에서 방류된 강물에서 기원한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