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1초

다수성 병재배용 산느타리 신품종 '산타리'의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 (Mycel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new high-yield Pleurotus pulmonarius cultivar 'Santari' for bottle culture)

  • 최종인;이윤혜;전대훈;권희민;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0-194
    • /
    • 2017
  • 생육이 균일하고 다수성인 산느타리버섯 신품종 '산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26{\sim}29^{\circ}C$이고 버섯발생온도는 $22^{\circ}C$, 버섯생육온도 $18^{\circ}C$로 '호산'과 유사하며, 발생형은 다발형태를 나타내었다. 병재배시 배양기간은 28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3일, 생육일수는 3일로 총재배기간은 34일이 소요되었다. 갓크기는 35.9 mm이며, 갓색도(L)는 53.7로 회갈색을 나타내었고, 대는 직경 10.1 mm, 길이 79.7 mm로 '호산' 에 비하여 굵고 긴형태이며, 대색택은 L=93으로 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시 1,100 ml병에서 172 g을 나타내었으며, 농가실증재배시 A(여주1) 120.8 g/900 ml, B (여주2) 165.2 g/900 ml, C(용인) 141.7 g/900 ml으로 대조구 대비 24% 이상 증수되었다. 대의 물리성은 탄력성, 응집성, 씹읍성, 깨집성이 각각 87%, 82%, 193 g, 16.8 kg을 나타났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RP3, URP10, URP12의 primer에서 교배 모본인 '호산'과 'GMPO20404'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간, 균주간의 밴드 차이가 있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신선도는 저온저장시 7, 상온보관시 6 을 나타내어 대조품종인 '호산' 보다 상온보관시 신선도가 우수하였다.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of Sparassis latifolia strains and selection of suitable incubation conditions in liquid spawn

  • Lee, Yunhae;Gwon, Heemin;Jeon, Daehoon;Choi, Jongin;Lee, Youngsoon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29-29
    • /
    • 2018
  • Sparassis latifolia is called "Cauliflower Mushroom" and is known as an edible mushroom that has high content of ${\beta}$-glucan. Recently, artificial cultivation of S. latifolia has been done by bottle, plastic bag and wood cultivation in Korea. However it is not widely used because there are low incubation ratio and yield. For the high efficiency of production, we aim to find the superior strains and media for better mycelial and fruit body growth. First, we analyzed the genetic relationship among 31 strains and divided five groups with three kinds of URP primers. And then ten strains were selected from five groups based on the experiment of mycelial growth. The suitability of media for mycelial grow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media type. The suitable solid and liquid media for mycelial growth of S. latifolia isolates were PDA and M2, respectively. In addition, with regard to C/N ratio, the mycelial growth increased even until C/N 160. Second, we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fruitbody of the strains by plastic bag cultivation. The substrate was mixed with larch sawdust, corn flour, and wheat flour (8:1:1, v/v). Moisture content of substrate was controlled by about 60% with 10% molasses solution. Out of 31 strains, 19 strains formed primordia. The eight strains produced more than 140g/1kg in fresh weight. Third, molasses culture media was selected for the mycelial growth. And molasses suitable sugar content and input aeration were around 8Brix% and 0.3~0.6vvm, respectively. The longer the incubation period is, the more dried weight of mycelia increased, but medium volume decreased. Therefore, the best incubation period was 9 to 11 days depending on strains. In the future, research project entitled development of culture system and new variety for stable production of S. latifolia will be considered as a new item.

  • PDF

산느타리버섯의 품종별 재배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on Pleurotus pulmonarius cultivars)

  • 류재산;이용국;오민지;최종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81-88
    • /
    • 2020
  • 국내에서 육성된 산느타리버섯 8품종을 병재배 방식으로 재배특성을 조사하였다. 8품종의 자실체 형태는 전체적으로 갓직경이 크고 대는 짧은 형태였다. 대는 편심생으로 갓에 결합되어 있다, 자실체의 길이가 가장 긴 품종은 여름2호(72.8mm)이고 가장 짧은 품종은 여름1호(33.8mm)이다. 대의 두께는 여름2호, 호산의 순서로 두겁고 15.5mm, 12.8mm 였다. 갓의 직경은 45.8-62,3mm로 약산이 가장 작고 여름2호가 가장 큰 갓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무게(수확량)은 여름2호가 80.7g으로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고 여름1호가 35.5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가장 갓색이 밝은 품종은 여름2호로 55.6이었고 호산도 54.1이었다. 특징적으로 갓색이 가운데 부분은 엷은 편이었으며 가장자리가 더 진하게 착색되었다. 평균적 발이소요일과 생육소요일은 각각 4.6일과 8.0일이어서 발이 후 3.4일 만에 수확을 완료하였다.

잔나비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물질의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ubstance Extracted from the Fruit Body of Formitopsis rosea)

  • 정호권;이준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22-127
    • /
    • 2001
  • 잔나비버섯 자실체로부터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대하여 검토하였다. 고분자와 저분자 분획은 당과 단백질 및 소량의 hexosami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구성 당은 주로 glucose, galactose, mannose와 소량의 xylose, fructose, ribose 및 arabinose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아미노산의 경우는 당과 단백질의 결합력에 관여하고 있는 Ser과 Thr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분자 분획의 분자량은 10 kD 부근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보체활성은 고분자 분획에서 높았으며, 항체생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탐식능, NO 및 $TNF-{\alpha}$ 생성능은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효소적 및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유발에 대한 영향은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에서 모두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잔나비버섯 자실체로부터 추출한 고분자 및 저분자 분획은 면역활성 및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Effect of postharvest condi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berries harvested from various mulberry cultivar Morus alba

  • Kim, Hyun-Bok;Kwon, O-Chul;Kweon, HaeYong;Jo, You-Young;Ju, Wan-Teak;Lee, Ji Hae;Kim,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2호
    • /
    • pp.33-40
    • /
    • 2020
  • Recently mulberry has been commercialized but it loses its marketability rapidly after harvest.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were examined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after harvest using the typical Korean mulberry cultivars. Postharvest spoilage fungi on the various mulberry cultivars, Cheongilppong, Daeshim, and Gwasang No. 2 was observed 2, 2, and 1 d, respectively, after harvest at 28℃. However, at 4℃, the day was 8, 7, and 4 d, respectively. At 28℃ storage condition, the weight loss behavior of mulberry did no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m. However, at 4℃ storage condition, mulberry Cheongilppong loses its weight rapidly compared to Daeshim and Gwasang No. 2. Sugar content of mulberry stored at 4℃ was nearly constant, but stored at 28℃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acidity of mulberry slightly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then increased. Juice leakage of frozen mulberry leaked abruptly within 6 h from the fruit body and then flattened at 25℃.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mulberry were affected by mulberry cultivar and need to further study to increase the shelf life.

재배기간이 짧은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의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brown variety 'Geumhyang' with short cultivation period in Flammulina velutipes)

  • 김민자;장후봉;최재선;이관우;주경남;김이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2-96
    • /
    • 2015
  •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은 '갈뫼'와 수집 야생균주인 'CBMFV-33'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이 진한 미색을 나타내며, 재배기간이 짧다. 병재배 시 배양 기간은 23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7일, 생육일수는 17일로 총재배기간이 47일이 소요되어 대조품종 '갈뫼'에 비해 7일이 단축되었다. 갓 직경은 '갈뫼'에 비해 크고, 갓 색은 진한 미색을 나타냈다. 수량은 850 ml 병 당 162 g으로 '갈뫼' 대비 8% 증수되었다. 또한 야생 팽이버섯처럼 식미감도 우수하여, 차별화된 색과 맛으로 백색 팽이버섯의 틈새시장 공략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식미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흑향'의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brown variety 'Heukhyang' with good taste in Flammulina velutipes)

  • 김민자;장후봉;최재선;이관우;주경남;김이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3-107
    • /
    • 2015
  • 팽이버섯 신품종 '흑향'은 '갈뫼'와 수집 야생균주인 'CBMFV-10'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이 진한 갈색을 나타내며, 재배기간이 짧고, 식미감이 매우 우수하다. 병재배 시 배양 기간은 23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6일, 생육일수는 17일로 총재배기간이 46일이 소요되어 대조 품종 '갈뫼'에 비해 8일이 단축되었다. 갓 직경과 두께가 갈뫼에 비해 크거나 두꺼웠고, 갓 색은 진한 갈색을 나타냈다. 수량은 850 ml병 당 135 g으로 갈뫼 150 g 대비 10% 감소하였다. 하지만, 야생 팽이버섯처럼 식미감이 매우 우수하여, 차별화된 색과 맛으로 백색 팽이버섯 틈새시장 공략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growth among school girls aged 9-11 years

  • Noh, Hwa-Young;Song, Yoon-Ju;Lee, Jung-Eun;Joung, Hyo-Jee;Park, Min-Kyung;Li, Shan Ji;Paik, Hee-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6호
    • /
    • pp.569-57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etary patterns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girls based on the change in body mass index (BMI), body fat,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ne mineral content (BMC) during 22 months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patterns identified. Girls aged 9-11 years were recruited and 3-day dietary data were collected four times. Subjects with a diet record of 8 or more days and anthropometric data measured at baseline and 22 months later were included (n = 198). Reduced rank regression was utilized to derive dietary patterns using a change in BMI, body fat, and calcaneus BMD and BMC as response variables. Two dietary patterns were identified: the "Egg and Rice" dietary pattern and "Fruit, Nuts, Milk Beverage, Egg, Grain" (FNMBEG) dietary pattern. Subjects who had high score on the FNMBEG pattern consumed various food groups, including fruits, nuts and seeds, and dairy products, whereas subjects in the "Egg and Rice' dietary pattern group did not. Both dietary patterns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change in BMI and body fat. However, subjects who had a higher score on the "Egg and Rice" dietary pattern had less of a BMC increase, whereas subjects who had a higher score on the FMBEG dietary pattern had more increased BMC over 22 month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and bone mass, and Tanner stage at baseline. Our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a well-balanced diet contributes to lean body mass growth among young girls.

느타리버섯의 생리화학적성질(生理化學的性質) 및 재배(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th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 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3호
    • /
    • pp.150-184
    • /
    • 1978
  •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느타리 버섯균(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에 대한 영양적(營養的) 특성(特性)과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제성질(諸性質)을 구명(究明)하고 볏짚과 톱밥 양(兩) 배지(培地)에서 느타리 버섯의 대량(大量) 생산(生産)을 위한 배양조건(培養條件)을 밝히고, 느타리 버섯 재배기간(栽培期間) 중 배지(培地)와 버섯중의 각종(各種) 성분(成分)의 추이(推移)를 알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탄소원(炭素源) 중 mannitol과 서은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빠르고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많았으나 lactose와 rhamnose는 균사(菌絲) 조차도 생육하지 못하였다. 또한 구연산, 호박산, ethyl alcohol 및 glycerol에서는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매우 빈약(貧弱)하였고, 식초산, 개미산, 푸마르산, n-butyl alcohol, iso-butyl alcohol 및 n-propyl alcohol은 균사생육(菌絲生育)을 저해(阻害)하였다. 2. 질소원(窒素源)중 peptone은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빠르고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많았으나 DL-alanine, asparagine, L-aspartic acid, glycine및 serine은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매우 빈약(貧弱)하였으며 아질산태질소(亞窒酸態窒素), L-tryptophan 및 L-tyrosine은 균(菌)의 생육을 저해(沮害)하였다. 또한 peptone에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와 아미노산(酸)을 혼용(混用)한 결과 $(NH_4)_2SO_4$, $NH_4$-tartarate, DL-alanine및 L-leucine에서는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약 10% 증가되었고, L-aspartic acid는 약 15%. L-arginine은 약20%, L-glutamic acid와 L-lysine은 약 25%증가 되었다. 3. C/N율(率) 15.23에서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빠르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은 감소(減少)되었으며, C/N율(率) 11.42에서는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은 늦으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동일 C/N율(率)에서도 mannitol과 peptone의 농도(濃度)가 높은 편이 수량(收量)이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 소요일(所要日)의 관점(觀點)에서 보면 C/N율(率) 30.46이 어느정도 적당(適當)한 것 같다. 4. Thiamine $50{\mu}g%,\;KH_2PO_4$ 0.2%, $MgSO_4{\cdot}7H_2O$$0.02{\sim}0.03%$일때 균사(菌絲)와 자실체(子實體) 생육(生育)이 우수(優秀)하였으며 미량원소(微量元素)로서는 $FeSO_4{\cdot}7H_2O$,\;ZnSO_4{\cdot}7H_2O$$MnSO_4{\cdot}5H_2O$가 공존(共存)하면 생육촉진(生育促進)의 상승효과(相乘效果)가 인정되었으나 3이원소(元素)중 Mn이 결핍(缺乏)하면 균사(菌絲)와 자실체(子實體)의 생육(生育)이 다소 저하되었다. 이들 염류(鹽類)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각각 0.02mg%이었다. 5. Cytosine $0.2{\sim}1mg%$와 indole acetic acid 0.01mg%에서 균사량(菌絲量)은 증가되었으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에는 효과 없었으며 그밖의 purine염기(鹽基), pyrimidine염기(鹽基) 및 식물(植物) hormone은 영향이 없었다. 6. 광조사(光照射영)에 의해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은 저해(沮害)되었으며 영양생장(營養生長)의 후기에 광(光)을 조사(照射)하면 원기형성(原基形成)이 유도(誘導)되었다. 광(光)의 최적조도(最適照度)는 $100{\sim}500lux$, 조사시간(照射時間)은 매일 $6{\sim}12$시간이었고, 이 이상(以上)의 조도(照度)에서는 오히려 저해(沮害)되었으며, 암소(暗所)에서는 원기(原基)가 형성(形成)되지 않고 영양생장(營養生長)만 계속되었다. 7.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각각 $25^{\circ}C,\;10{\sim}15^{\circ}C$이었고 최적(最適)의 pH범위(範圍)는 $5.0{\sim}6.5$이었으며 균사(菌絲)는 $7{s\im}10$일간 배양(培養)했을 때가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제일 우수(優秀)하였다. 또한 배지량(培地量)이 적을수록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빠르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은 감소(減少)되었고 배지량(培地量)이 많을수록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늦은반면에 그 수량(收量)은 증가 되었으며, 원기형성(原基形成)은 $CO_2$에 의하여 저해(沮害)되었다. 8. 볏짚과 톱밥 병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의 최적(最適) 수분량(水分量)은 70%이상 이었으며 미강(米糠) 10%를 배지(培地)에 첨가(添加)했을 때는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優秀)하였다. 그리고 양배지(兩培地)에 $CaCo_3$를 단독(單獨)으로 첨가했을 때는 유효(有?)하였으나 미강(米糠)과 함께 첨가했을때는 효과(?果)를 볼 수 없었다. 9. 재배(栽培) 실험(實驗)에서 느타리 버섯의 전체(全體) 수량(收量)은 볏짚배지(培地)에서 $14.99kg/m^2$, 톱밥배지(培地)에서 $6.52kg/m^2$이었고 양배지(兩培地) 모두 90%이상이 1,2주기(週期)에서 얻어졌으며 볏짚배지(培地)(dry matter $20.96kg/m^2$)의 전수율(全收率)을 톱밥배지(培地)(dry matter $20.83kg/m^2$)의 약 2.3배(倍)이었다. 10. 재배기간(栽培期間)중 양(兩) 배지(培地)의 일반 성분을 고형물(固形物) 기준(基準)으로 볼때 회분(灰分)의 변화는 적었으나 유기물(有機物)은 감소(減少)되었으며, 수분(水分)은 종균접종시(種菌接種時) 약 79%이던것이 균사번식기간(菌絲繁殖期間)중에 다소 감소(減少)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11, 종균접종시(種菌接種時) 부터 4주기(週期) 수확(收穫) 후까지 배지(培地) 성분(成分)의 소실(消失)을 보면 볏짚배지(培地)는 고형물(固形物) 약 19.7%, 유기물(有機物) 약 19.3%, 질소(窒素) 약 40%가 소실(消失)되었으며, 톱밥 배지(培地)에서는 고형물(固形物) 약 7.5%, 유기물(有機物) 약 7.6%, 질소(窒素) 약 20%가 소실(消失)되었다. 버섯 1kg을 생산(生産)하기 위하여 볏짚 배지(培地)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약 232g, 질소(窒素) 약 7.0g이 소실(消失)되었고, 톱밥 배지(培地)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약 235g, 질소(窒素) 약 6.8g이 소실(消失)되었으며, 버섯 1kg당(當) 함유된 유기물(有機物)은 각각 82.4g, 82.3g, 질소(窒素)는 각각 5.6g, 5.4g이었다. 12. 양배지(兩培地)의 전질소(全窒素)는 점차적으로 감소(減少)되었고 불용성질소(不溶性窒素)의 절대감소량(絶對減少量)은 수용성질소(水溶性窒素)보다 컸으며 아미노태(態) 질소(窒素)는 3주기(週期)까지는 계속 증가 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減少)되었다. 13. 볏짚 배지(培地)에서는 재배기간(栽培其間)에 소실(消失)된 전(全) pentosan의 28%, ${\alpha}$-cellulose는 13.8%가 균사생육(菌絲生育)중에 소실(消失)되었고 톱밥배지(培地)에서는 전(全) pentosan의 24.1%, ${\alpha}$-cellulose는 11.9%가 소실(消失)되었으며 lignin은 양(兩) 배지(培地)의 2주기(週期) 수확(收穫)부터 다소 감소(減少)되었다. 환원당(還元糖), trehalose 및 mannitol은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였으며 C/N율(率)은 볏짚 배지(培地)에서 종균(種菌) 접종시(接種時) 33.2이었던 것이 폐상시(廢床時)에는 30.3이었고, 톱밥 배지(培地)는 61.3이었던 것이 60.0 이었다. 14. 양(兩) 배지(培地)에서 P, K, Mn, Zn은 감소(減少)되었고, Mg, Ca, Cu는 불규칙하게 변화되었으며, Fe는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15. 재배기간(栽培期間)중 각종효소(各種酵素)의 활성(活性)은 톱밥배지(培地)보다 볏짚배지(培地)가 월등히 높았다. 즉 CMC 당화활성(糖化活性)과 CMC액화활성(液化活性)은 균사번식(菌絲繁殖)후부터 2주기수확(週期收穫)까지는 양배지(兩培地)에서 점차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減少)되었다. xylanase활성(活性)은 1주기(週期)보다 2주기(週期)에서 급격히 상승되었고 3주기(週期)가 되면서 볏짚 배지(培地)에서는 신속히 감소(減少)되었으나 톱밥 배지(培地)에서는 이와같은 감소(減少)를 볼 수 없었다. protease 활성(活性)은 균사번식(菌絲繁殖)후 최고의 활성도(活性度)를 보였다가 점차로 감소(減少)하였다. 또한 볏짚 배지(培地)의 pH는 종균접종시(種菌接種時) 6.3이던 것이 4주기(週期)후는 5.0이었고 톱밥배지(培地)의 pH는 5.7에서 4.9로 떨어졌다. 16. 볏짚 배지(培地)에서 생육한 버섯은 섬유소(纖維素)를 제외한 모든 성분량(成分量)이 톱밥배지(培地)에서 생육한 버섯보다 높은 경향이있었으며 양배지(兩培地)에서 버섯의 각주기별(各週期別) 성분(成分) 변화는 $1{\sim}3$주기(週期)까지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4주기(週期)에서는 다소 감소(減少)의 추세를 보였다.

  • PDF

Energy and nutrient intake and food patterns among Turkish university students

  • Neslisah, Rakicioglu;Emine, Akal Yildiz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117-123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value and nutrients provided by each meal and snack of consumed by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volunteer students at five universities in Ankara. A sample of 400 students (167 female and 233 male) aged between 19 and 24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design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24 hours dietary records was administered using face to face interview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classifications, 69.5% of male students, and 77.7% of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in the normal weight categories. Overweight categories were found to be 25.1% and 5.6% for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Breakfast and lunch were the most frequently skipped meals, with a total of 47.7% of students skipping breakfast and 25.2% skipping lunch. The percentages of energy deficiency were found to be 78.4% in males, and 81.1% in females. Dinner was the main meal for consumption of energy and the other nutrients, except saturated fatty acids, for both genders. Also, dinner was the largest contributor of energy in both genders. Students ate more bread, cereals, and meat at dinner than during the other meals and snacks. Fruit was consumed more during snacks than at the other meals by all students. It was concluded that students need more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healthy nutritional habits, adequate intake of nutrients, and ideal body we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