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on Pleurotus pulmonarius cultivars

산느타리버섯의 품종별 재배특성

  • Ryu, J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 Fisheries) ;
  • Lee, Y.K.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 Fisheries) ;
  • Oh, M.G.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 Choi, J.I.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Extension Services)
  • 류재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이용국 (국립한국농수산대학 버섯학과) ;
  • 오민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 ;
  • 최종인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Received : 2020.11.03
  • Accepted : 2020.12.11
  • Published : 2020.12.28

Abstract

Pleurotus pulmonarius 8 cultivas, domestically bred, were cultivated and evaluated for cultural propertie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8 cultivars were big diameter of pileus and short stipe. Stipe was eccentrically combined with pileus. The longest length of stipe was Yeoleumneutali 2ho(72.8mm) while shortest cultivar was Yeoleumneutali 1ho(33.8mm). The diameter of pileus ranged 45.8-62,3mm, Yaksan was the smallest one and Yeoleumneutali 2ho was largest cultivar. Yield was largest in Yeoleumneutali 2ho(80.7g) whereas smallest was in Yeoleumneutali 1ho(35.5g). The highest L value was in Yeoleumneutali 2ho and Hosan. Lightness was not even around pileus but thicker in rim area and thinner in center of pileus. Average period of pinheading and harvest were 4.6 and 8.0 days thus only 3-4 days after pinheadng were required for harvest.

국내에서 육성된 산느타리버섯 8품종을 병재배 방식으로 재배특성을 조사하였다. 8품종의 자실체 형태는 전체적으로 갓직경이 크고 대는 짧은 형태였다. 대는 편심생으로 갓에 결합되어 있다, 자실체의 길이가 가장 긴 품종은 여름2호(72.8mm)이고 가장 짧은 품종은 여름1호(33.8mm)이다. 대의 두께는 여름2호, 호산의 순서로 두겁고 15.5mm, 12.8mm 였다. 갓의 직경은 45.8-62,3mm로 약산이 가장 작고 여름2호가 가장 큰 갓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무게(수확량)은 여름2호가 80.7g으로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고 여름1호가 35.5g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가장 갓색이 밝은 품종은 여름2호로 55.6이었고 호산도 54.1이었다. 특징적으로 갓색이 가운데 부분은 엷은 편이었으며 가장자리가 더 진하게 착색되었다. 평균적 발이소요일과 생육소요일은 각각 4.6일과 8.0일이어서 발이 후 3.4일 만에 수확을 완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수, 유창현, 공원식, 김영호, 차동열, 고미석. (1997). '97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일 19 - 초고온 다수성 여름느타리 2 호 육성. 균학회소식. 9(1): 22-22.
  2. 농촌진흥청, 왜 최고가격 농산물 인가? (느타리, 새송이편 등). (2010). 과학원예사. pp. 246-271.
  3. 농촌진흥청. 2004. 느타리버섯. 표준영농교본 14(개정판). p 94.
  4. 류재산, 김민근, 권진혁, 조숙현, 김낙구, 노치웅, 이춘희, 노현수, 이현숙. (2007). 큰느타리버섯의 자실체 생육특성. 한국균학회지, 35(1): 47-53. https://doi.org/10.4489/KJM.2007.35.1.047
  5. 박영학, 이광재, 조병주, 김경희, 정은경, 박정식, 성재모, (2008). 잎새버섯 신품종 "대황" 및 산느타리버섯 신품종 "호산"의 특성 및 재배법. 버섯. 6(2): 86-86.
  6. 박영학, 이광재, 조병주, 김경희. (2009). 산느타리버섯 강산품종의 재배특성. 한국버섯학회지. 7(4): 204-204.
  7. 이광재, 김경희, 조병주, 박영학. (2008). 산느타리버섯 재배특성 및 기호도 조사. 한국버섯학회지. 6(4): 146-149.
  8. 이남길, 이재홍, 문윤기, 박영학, 정태성, 권순배, 김인종, (2016). 산느타리(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 신품종 '자산' 버섯 20(1): 188-188.
  9. 이재홍, 이남길, 박영학, 문윤기, 정태성, 권순배, 김재록, 김진원. (2014). 산느타리버섯(Pleurotus pulmonarius (Fr.) Quelet) 병재배시 최적배지 개발. 한국버섯학회지. 12(4): 275-279. https://doi.org/10.14480/JM.2014.12.4.275
  10. 이재홍, 이남길, 문윤기, 정태성, 권순배, 박영학, 김인종. (2016). 산느타리버섯 원목재배 시 수종별 생육 및 수량특성 14(3): 105-110. https://doi.org/10.14480/JM.2016.14.3.105
  11. 이정우, 한용식, 한철희, 정종천. (2011). 신품종 느타리버섯 '화성 2 호'의 특성. 한국버섯학회지. 9(3): 96-100. https://doi.org/10.14480/JM.2011.9.3.096
  12. 이찬중, 오진아, 정종천, 전창성, 문지원, 공원식, 장갑열, 서장선. (2013). 유통 느타리버섯의 등급별 품질규격 및 저장기간별 품질 변화. 한국버섯학회지, 11(4): 287-291. https://doi.org/10.14480/JM.2013.11.4.287
  13. 이찬중, 유영미, 한주연, 정종천, 전창성, 문지원, 공원식, 서장선. (2014). 소비자 맞춤형 고품질 큰느타리버섯 생산을 위한 품질관리기준. 한국버섯학회지, 12(1): 67-72. https://doi.org/10.14480/JM.2014.12.1.67
  14. 이찬중, 이성현, 이은지, 박혜성, 공원식. (2018). 병재배 느타리버섯 '수한'의 정밀재배관리를 위한 생육환경 분석. 한국버섯학회지, 16(3): 155-161. https://doi.org/10.14480/JM.2018.16.3.155
  15. 최종인, 이윤혜, 전대훈, 권희민, 지정현, 신평균. 다수성 병재배용 산느타리 신품종 '산타리'의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 (2017). 한국버섯학회지. 15(4): 190-194. https://doi.org/10.14480/JM.2017.15.4.190
  16. 최종인, 하태문, 전대훈, 주영철, 정종천. (2017). 장기저장성 신품종 느타리버섯 곤지 7호 육성 및 특성. 한국버섯학회지, 11(3): 149-153. https://doi.org/10.14480/JM.2013.11.3.149
  17. Pegler, D. N. and Y. J. Yao. (1995). The distinction between Lentinus sajor-caju and Pleurotus ostreatus and their taxonomy. Acta. Bot. Yunnan. 17: 305-311.
  18. Sharma, V. P., Kamal, S., Upadhyay, R. C., Kumar, S., Sanyal, S. K., & Singh, M. (2015). Taxonomy, phylogeny, cultic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 Lentinus species from Andman & Nicobar island (INDIA). Emirates Journal of Food and Agriculture. 27(7): 570-576. https://doi.org/10.9755/ejfa.2015.04.135
  19. Team, R.D.C., (2013).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ISBN 3-900051-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