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Academic Major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4초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Academic Burnout

  • Shin, Sujin;Hwang, Eunhee
    • 의학교육논단
    • /
    • 제22권2호
    • /
    • pp.115-121
    • /
    • 2020
  • The high degree of academic burnout experienced during academic life indicates that job skill levels during the first year following graduation are low, and the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is high.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on nursing students' burnout, and searched for factors that can prevent or control burnout. We recruited a convenience sample of 202 nursing students. Academic burnout,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were assessed vi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mean total score of academic burnout was 44.0 points; exhaustion was the highest at 18.5 points, inefficacy was 15.9 points, and cynicism was 9.6 points. High level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ffected academic burnout (β=0.194, p=0.003), while high resilience was a factor that lowered the degree of academic burnout (β=-0.449, p<0.001). Based on our results, factors affecting students' experiences of academic burnout were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resilience. We therefore propose the implementation of a new curriculum aimed at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the major, reducing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increasing resilience, including an efficient peer mentoring program for clinical practice.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강의를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학업스트레스간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lectures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3-73
    • /
    • 2023
  • 본 연구는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강의수강을 경험한 일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및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일 간호대학의 재학생 143명을 대상으로 구글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2023년 9월 1일부터 2023년 9월 25일까지 자료수집을 시행하였고, SPSS Statistic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상관계수, linear multiple regesion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간호학과 지원동기(F=4.465, p=.005)와 전공만족도(F=36.499, 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업스트레스는 학습몰입(r=-.464, p<.010), 학업적 자기효능감(r=-.522, p<.010), 학업성취도(r=-.379, p<.010)간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만족도는 학업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공만족도(𝛽=.367, p<.01), 학습몰입(𝛽=-.186, p<.05), 학업적 자기효능감(𝛽=-.241, p<.05)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40%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황성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5-213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72 nursing students in J city. Result: The average scores were; clinical stress 3.56/5, self-efficacy 3.52/5, and self-esteem 3.10/4. Clinical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tutors(t=2.04, p=.043) and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F=6.44, p=.002). Self-efficacy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grade(t=2.29, p=.023) and degree of nursing major satisfaction(F=5.00, p=.008). Self-esteem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F=6.56, p=.002) and degree of nursing major satisfaction(F=14.22, p=.000). Self-efficacy level and self-esteem leve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low positive correlation(r=.171, p=.05). Conclusion: A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linical stress management program is needed for nursing students.

  • PDF

한국 대학도서관정책의 추이와 과제 (Progress and Problems in Korean Academic Library Policie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7-346
    • /
    • 2012
  • 이 글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의 외형과 속내를 들여다 보면서, 현재 대학도서관계가 당면해 있는 문제의 본질과 원인을 정책적 관점에서 밝혀내고, 향후 대학도서관정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 선결해야할 과제에 대해 논의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의 문제점을 정책의 로드맵인 '발전계획' 등을 통해 세밀히 검토하고, 둘째, 문제의 원인을 정책의 근간인 관련 법규와 제도, 정책추진체계의 핵심 요소인 정책기구, 행정조직, 전문직 단체 등의 역할과 기능을 통해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정책이 제대로 서려면 정책의 내용과 추진체계에 있어 어떠한 개선책이 필요한지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온라인 대학원 학습자의 학업 스트레스, LMS 활용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n Academic Persistence among Online Graduate Students)

  • 이다예;김영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4-15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utilization satisfaction of learners attending online graduate schools and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academic persis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of K online graduate school and the data of 143 students, in total,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in 2019.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x2 test,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3. Results: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academic persistence of online graduate stud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persistence showed that the model was significant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3% and tha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it were academic stress (β=-.23, p=.002), LMS utilization satisfaction (β=.31, p<.001) and jobs (β=.23, p=.002). Conclusion: Although the online graduate students' level of academic persistence was high, it is required to develop strategies to alleviate their academic stress and increase LMS utilization rate in order to increase their persistence to academic suc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foundation on which the utilization of major knowledge regarding jobs can be enhance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graduate students.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professional and advanced education in response to social needs by developing a variety of online high education learning systems beyond time and space.

대학생의 흡연 관련 요인에 대한 진단적 연구 - PRECEDE 모형을 근간으로 - (A Diagnostic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 Based the PRECEDE Model -)

  • 유재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6-27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smoking behaviors (never smoked, former smoker, current smoker) among colleg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 PRECEDE model.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27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from May to June 2006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 The rate of current smokers was 19.0%. The rate of current smokers in male students (41.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8.3%).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ajor, academic achievements, satisfaction with major and alcohol consumption. Number of smokers among five close friends was 1.72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gender, majors, levels of satisfaction with majors and alcohol consumption. In discriminant analysis, discriminant variables on smoking behavior were the number of smokers among close friends, the referent persons' responses about smoking and subject's belief about smoking. Conclusi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we can enhance the prevention of college students' smoking by strengthening the related factors such as enforcing a non-smok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college health education strategies of non-smoking including a negative belief of smoking and the hazard of passive smoking.

  • PDF

대학생들의 창의성 측정을 위한 TTCT의 적용과 학업성취 요소들 간의 관계 (Applying TTCT for Measuring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Academic Achievements)

  • 정지범;박정선;백윤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40-51
    • /
    • 2005
  • 본 연구는 주로 공과대학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창의성을 측정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창의성의 공학적 응용 기반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창의성의 측정방법으로 제안된 TTCT의 주요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 지수에 대한 규준표의 제시, 창의성 점수의 성별, 전공별, 연령별 특성 분석, 창의성 점수와 성적과의 관계 분석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창의성의 정량적 측정을 위한 도구로서 TTCT의 활용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일부지역의 치위생학과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개설 요구도 및 운영방안 (A demand for opening and a plan for operation on major deepening course for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some regions)

  • 한지형;정영란;정유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63-372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rsue an efficient operating plan by surveying the cognition and demand level for major deepening course. Methods :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135 dental hygienists who work in Cheonan and neighboring region.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frequency & percentage, T-test and ANOVA analysis. Results : 1. As for dental hygienists' acquiring academic degree, 77.0% of them responded to have interest. As for a desired route of acquiring academic degree, the major deepening course or Credit Bank System was the highest with 62.2%. 2. As a result of surveying cognition on major deepening course, 73.3% responded to know. A route of having come to know was the largest in senior or friend with 34.8%. Necessity of major deepening course was responded to be necessary with 89.7%. 89.1% of them clarified to have intention of acquiring. 3. The curricular subject, which is desired to be learnt for a plan of operating major deepening course, was the highest in the major field with 63.0%. 4. As a result of comparing an interest, necessity, and intention of acquisition on major deepening cours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show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jor deepening of course through active public should be aware that many dental hygienists will be subject to a variety of programs and development of clinical course and a practical hands-on education is expected to be strengthened.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53-56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초등학교 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시간/에너지 투자'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과학 내용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교직 경력보다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른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는 과학 PCK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계열',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 '과학 관련 대학원 진학 여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과학 전담 교사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 연수', '과학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과학 및 과학영재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공동체 참여 경험' 등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DEU-GRIT을 활용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학업, 사회, 정서 및 진로 적응) 특성 분석 연구: D 대학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Academic-, Social-, Emotional-, and Caree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Clustered Freshmen Using DEU-GRIT: A Focus on D University)

  • 이정희;강창완;박애영;고미나;강정임;신지영;최서현;이진현;함수민;김보성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19-36
    • /
    • 2020
  • 본 연구는 D 대학을 중심으로 DEU-GRIT 검사를 활용하여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전공 분야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대학 생활 적응의 중요한 영역인 학업, 사회, 정서, 진로 적응의 수준을 기반으로 군집화된 대학 신입생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DEU-GRIT 검사 규준을 바탕으로 대학 신입생 중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하위 규준집단을 따로 분류하여 이들의 대학 생활 적응 특성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에서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을 한 결과, 군집 1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3은 모든 영역의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군집 2는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군집 4는 정서 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DEU-GRIT 검사의 하위 규준집단에서는 학업 적응과 사회 적응 수준이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서 높았으며, 대학 생활 적응 전체 및 학업 적응과 정서 적응 수준이 인문사회 전공 분야 학생보다 과학기술 전공 분야 학생에게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 적응의 4개 영역 수준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 한 결과, 하위 규준집단 군집 1은 정서 적응 수준이 높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2는 정서 및 진로 적응 수준은 낮고 학업 및 사회 적응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규준집단 군집 3은 모든 영역 수준이 낮았으며, 하위 규준집단 군집 4는 사회 및 정서 적응 수준이 낮고 학업 및 진로 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신입생의 사회 및 정서 적응 측면에서 성별에 따라 맞춤화된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하며, 전공 분야에 따라서는 취업 전망에 대한 기대의 높고 낮음에 따른 상대적 정서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하위 규준집단의 대학 생활에서 정서 및 사회 적응은 대학 생활 적응의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