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in soil quality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1초

산성화 과정이 황사입자 내 금속성분의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실 연구결과 (Impact of Acidification on the Solubility of Metal Species in Asian Desert Dusts: Results from Laboratory Experiments)

  • 심수영;박승식;김덕래;이석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73
    • /
    • 2013
  • Because some particulate matter emission sources may inherently produce soluble species, or some soluble species may be produced during atmospheric transpor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rigin of a particles's solubility when water-soluble tracers are used in source apportionment studies.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three types of soils (Mongolia grassland, Mongolia desert, and Korean rural soils), to study the impact of acidification by nitric acid vapor on the solubility of metals in the soils. To achieve this goal,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metals (Na, Mg, Al, K, Ca, Mn, and Fe) in the soils measured before and after acidification. Contributions of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metal species before and after acidification attack to their total concentrations varied little with soil typ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Mg, Al, K, Ca, Mn, and Fe from the soils after interaction with nitric acid vapor increased, with significant increases in soluble Ca and Mn for all soil types suggesting soil acidification enhances the amount of leachable metal species in soil dust. There was little increase in water-soluble Na and K after acidification for each soil type. This experiment demonstrates that quantities of water-soluble metal species in particulate matter are produced under high gaseous nitric acid conditions.

토양측정망과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부지 등에서 토양오염조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환경정책의 고찰

  • 박용하;박상열;양재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5
    • /
    • 2006
  • Attempts were made to increase an efficiency of soil contamination investigation systems (SCISs) including Soil Network and Special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Facility Sites in Korea. In order to increase low efficiencies resulting from inappropriate SCISs, possible policy suggestions are driven based on the results from problem findings of Korean policy and comparisons of policies on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Germany, the Netherlands and Japan. First, functions of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SECA) on liability should be updated and reinforced to initiate a soil contamination investigation process for stakeholders including an owner(s) or a responsible party(ies) of the potentially soil contamination sites positively. Second, appropriate SCISs should be emerged for implementing the Soil Network and Special Soil Contamination Management Facility Sites properly. Stakeholders for the potentially contaminated sites should easily access and raise the soil contamination issues, and soil contamination investigation implemented by liable and profit environment (consulting) companies should be encouraged. Third, the soil contamination reporting system of SECA needs to change legally responsible. Further more, public announcement system showing soil quality of a site which exceeds a certain scale would be considerable. Fourth, liable environment (consulting) companies should legally execute Soil Environment Assessment of SECA.

  • PDF

개량혼합토를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 차수층의 중금속 고정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xation of heavy metals with modified soils in the landfill liner)

  • 노회정;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2호
    • /
    • pp.63-7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점토차수재의 대체물질로서 매립지 현장토에 첨가재(시멘트, 벤토나이트 고화제)를 혼합하는 방법인 개량혼합토 공법을 대상으로 하여, 토목 환경적인 연구로서 차수/강도 효과 및 회분식/컬럼식 테스트를 통한 중금속의 고정능력에 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반공학적 연구(투수계수/압축실험)를 실시한 결과, CL 계열의 현장토(CL)에 첨가재(시멘트, 벤토나이트: 팽윤도로 구분하여 고품위 벤토나이트 B\circled1. 저품위 벤토나이트 B\circled2. 고화제)를 혼합함으로써 폐기물 매립지의 법적 기준(1x10-7cm/sec 이하)을 만족하였다. 또한 개량혼합토 제조시 시멘트 : 벤토나이트 : 고화제 = 90 : 60 : 1의 비율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팽윤도로 구별된 저품위 벤토나이트(B\circled2)의 사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첨가재의 종류에 따른 개량혼합토(column2, 3, 4)의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측정 결과, 현장토와 비교하여 약 1.5배 정도 CEC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첨가재에 따른 큰 차이점은 보이지 않았다. 화학구성과 결정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XRF와 SEM측정 결과, 첨가재에 따른 고화토의 결정구조의 큰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없었다. 컬럼을 사용하여 중금속($Pb^{2+}$ $Cu^{2+}$ , $Cd^{2+}$ , $Zn^{2+}$ l00mg/L)을 혼합한 인공침출수를 현장토(columnl)와 첨가재의 종류에 따른 개량혼합토(column2, 3, 4)에 적용시킨 결과, 현장토의 경우, 유출수의 pH가 감소됨과 동시에 $Cd^{2+}$$Zn^{2+}$가 유출되어 거의 파과점까지 도달하였으며, 현장토의 중금속 고정능력은 $Pb^{2+}$$Cu^{2+}$ > $Zn^{2+}$ > $Cd^{2+}$ 순으로 나타났다. 개량혼합토의 경우, 동일한 시점에서 column l에서 보여졌던 파과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고, 팽윤도가 높은 B\circled1(column 2)보다 저급의 B\circled2(column 3)를 첨가한 개량혼합토가 화학적으로 훨씬 안정함을 보여주었으며, 시멘트, 벤토나이트와 함께 보조적으로 고화제(column 4)를 첨가했을 경우, 이러한 결과가 한층 더 두드러진다.

Effect of Land Use Type on Shallow Groundwater Quality

  • Jeong Seung-Woo;Kampbell Donald H.;An Youn-Joo;Masoner Jason R.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22-126
    • /
    • 2005
  •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about 70 wells) were extensively installed in 28 sites surrounding Lake Texoma, located on the border of Oklahoma and Texas, to assess the impact of geochemical stressors to shallow groundwater quality. The monitoring well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residential area, agricultural area, and oil field area) depending on their land uses. During a two-year period from 1999 to 2001 the monitoring wells were sampled every three months on a seasonal basis. Water quality assay consisted of 25 parameters including field parameters, nutrients, major ions, and trace elements. Occurrence and level of inorganics in groundwater samples were related to the land-use and temporal change.

  • PDF

유실토양의 농도변화에 따른 침강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ediment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concentration change of top soil lost by flood)

  • 전영봉;강선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1-587
    • /
    • 2014
  • Sediment basin that is typical facility installed for development business to prevent soil erosion has low removal efficiency and therefore, it causes complaints from the residents and has a bad effect on ecosystem. Thus there is a limit to control soil erosion using the existing design methods of sediment basin, so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providing suitable design factors for sediment basin with regarding soil characteristic of development areas and analysing sedimentation characteristic by inflow concentration changes. The results, for analyzing the sedimentation characteristic by soil concentrations within approximately 2,000 ~ 20,000 mg/L of initial SS concentration, indicated similar sedimentation trends for same soil in the supernatant regardless of initial concentrations. However, for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 (percent finer), there are different results in sedimentation rate and concentrations of the supernatant. Thus it is recommended that sediment basin to prevent soil erosion during construction should be designed based on retention time derived from soil sedimentation experiments regardless of inlet concentration. In addition, installing the soil erosion prevention facility at the back to satisfy effluent water quality should be considered to minimize soil erosion effectively.

입지조건이 다른 시설재배지에서 담수처리에 따른 양분 용탈량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 Discharges from Greenhouses with Flooding Soil Surface at Two Different Locations)

  • 김민경;노기안;고병구;박성진;정구복;이덕배;김철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5-321
    • /
    • 2010
  • 시설재배는 폐쇄된 환경에서 제한적인 물관리로 인하여 작기 중에는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작물 생산 이후 토양 중 집적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해 담수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토양 중 염류가 지표유출 및 용탈을 통하여 주변 수질에 영향을 직접 미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를 하였다. 입지조건이 다른 두 시설재배지인 경북 상주시 서곡동에 위치한 시설하우스에서 2008년 7월 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시험 전 후의 토양 화학성, 관개량 및 관개수질, 침투수량 및 침투수질, 표면수질, 그리고 조사기간 동안 주변 하천 수질을 조사하였다. 하성평탄지에서는 담수직후의 제염률은 60.4%로 곡간지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76.6%까지 높아졌다가 담수 20일 후에는 66.7%이었다. 담수초기부터 곡간지의 표면수중 $NH_4$-N과 $PO_4$-P 농도가 하성평탄지보다 높았으며, 곡간지에서 담수직후와 담수종료 후의 토양깊이별 $Cl^-$${SO_4}^{2-}$ 농도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 하성평탄지에서는 토양깊이별 ${SO_4}^{2-}$ 농도만 차이가 있었다. 침투수중 $NO_3$-N 농도 변화는 곡간지에 비해 하성평탄지에서 변화의 폭이 컸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토양이 깊어질수록 그 농도도 높았다. 또한, 곡간지와 하성평탄지에 있는 시설재배지에서 담수제염에 의한 질소와 인수지를 비교 평가해 본 결과 곡간지와 하성평탄지 모두 유입 부하량보다 유출 부하량이 많아 외부 수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곡간지에 비해 하성평탄지에서의 양분 부하량이 더 많은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곡간지에서는 지하용탈만으로 제염을 하여 지하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고 하성평탄지에서는 지하용탈뿐만 아니라 지표용탈에 의한 제염으로 인해 하천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Effects of Rapid Temperature Change on Growth Response and Yield of Garlic in Greenhouse with Thermostat Control System in Jeonnam Province

  • Lee, Kyung D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71-578
    • /
    • 2014
  • The garlic cultivation area is moved by change of grown environment due to global warming. It is important to predict changes in cultivation area, quantity and quality of each crop.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yield and response of garlic growth by the rapid temperature changes in the greenhouse with thermostat control system. Seedlings of Namdo garlic were planted on September 27, 2012 and harvested on May 30, 2013. The used treatments for a rapid temperature change in March-April-May were T0 (control): $6.0-10.4-17.2^{\circ}C$, T1: $6.0-5.4(-5)-17.2^{\circ}C$, T2: $6.0-10.4-22.2(+5)^{\circ}C$ and T3: $6.0-5.4(-5)-22.2(+5)^{\circ}C$. Total dried weight per plant of garlic significantly increased by 5.0% for T2, but T1 and T3 decreased by 12.5 and 4.6%, respectively, compared to T0. Total yields of bulb within the temperature change as T2 and T0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s compared to T1. Decreasing temperature significantly (p<0.05) reduced plant height, SPAD reading, crude protein and fiber contents etc., as compared to T0 and T2. ABA contents gradually increased with time but IAA content rapidly decreased. Conclusively, growth and yield of garlic were more affected by decreased temperature than increased temperature at bulb development stage.

토양세척 및 토양경작 정화 토양의 건강성 평가 (Soil Health Assessment of Soil Washing and Landfarming Treated Soils)

  • 이용민;성기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2호
    • /
    • pp.112-122
    • /
    • 2023
  • 오염 토양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고 토양이 제공하는 생태적 서비스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에 의한 독성이나 위해성 외에도 토양생태계의 기능적인 측면인 생물서식처, 영양분 순환, 완충작용등과 같은 토양의 건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화토양의 건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세척처리 및 토양경작처리 토양에 적용하여 제안한 평가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토양의 생산성, 서식처, 수분보유능, 물질순환능, 완충능, 탄소보유능 등으로 토양 건강성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평가지표로 식물 성장, 지렁이 성장, 수분보유능, 미생물활성도, 양이온교환용량, 유기물함량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오염물질 정화 후에도 토양 건강성이 온전히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오히려 세척 토양의 경우와 같이 정화 전보다 건강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반면에 유류 오염으로 인한 토양질의 변화는 크게 없는 반면, 토양건강성은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작처리 후 다소 개선된 토양질과는 달리, 토양 건강성은 여전히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오염과 정화과정 중에 토양의 정화 효과를 평가할 경우에는 토양질과 토양건강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보여 주었다. 정화 토양의 지속 가능한 이용 및 생태계 서비스 증진을 위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정화 토양의 건강성 평가 방법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CB 액비 시용 논에서 물관리를 통한 양분의 수계 부하 최소화 방안 (Minimizing Nutrient Loading from SCB Treated Paddy Rice Fields through Water Management)

  • 김민경;권순익;강성수;정구복;홍성창;채미진;소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71-675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오계2리 SCB 액비를 시용한 논에서 수질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째, 액비가 시용된 경지정리된 논에서는 시용 직후부터 이앙 후 3주까지 물 흘러대기를 금지하여 시용된 양분의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시비효율을 높이는 방안, 둘째, 액비를 최소 이앙 20일 전에 시비하여 토양 중 양분 보유 능력을 높여 작물의 양분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안, 셋째, 액비 살포 후 바로 경운시 담수심을 5 cm내외로 유지하여 환경부하 저감 및 용수절감 효과를 높이는 방안, 넷째, 액비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변성 대장균은 논에 시용 후 48시간 후부터 소멸되기 시작하므로 최소 2일 동안 물꼬를 막아 논 표면수의 유출을 억제하여 대장균에 의한 인근 하천 수계 오염을 저감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SCB 액비를 시용하는 평탄지 논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로 물관리 패턴이 다른 곡간지 논에서는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액비를 시용하는 논은 대부분 시용이 용이한 경지정리된 평탄지 논으로 본 연구결과들은 외부 수질환경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영농지도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Vermicompost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Ginsenoside Content of Panax ginseng in a Reclaimed Field

  • Eo, Jinu;Park, Kee-Choon;Lim, Jin-Soo;Kim, Myung-Hyun;Choi, Soon-Kun;Na, Young-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8-143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vermicomposts on the growth parameters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roots. Food waste vermicompost (FW), cow manure vermicompost (CM), and paper sludge vermicompost (PS) were applied at 10 and $40t\;ha^{-1}$, respectively. One-year-ol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and 4-year-old roots were harvested. Soil nitrate and phosphat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in the plots applied with FW and CM at $40t\;ha^{-1}$. Soil pH and exchangeable Ca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FW $40t\;ha^{-1}$ than at CM $40t\;ha^{-1}$. Root yield increased when treated with FW $40t\;ha^{-1}$ in comparison to the yield for the control. The incidences of root rot disease and ginsenoside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reatmen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application of vermicompost might not show a relationship between root biomass and ginsenoside content. It further showed that proper use of vermicompost can promote root yield without a reduction in root quality or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root rot disease in reclaim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