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vical esophagus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3초

종양에 의한 성대마비 29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29 Cases of Vocal Cord Paralysis caused by Neoplasm)

  • 김광문;김영호;최홍식;홍원표;김창규;권오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63
    • /
    • 1994
  • The authors observed the clinical status of 29 patients with vocal cord paralysis caused by tumor from April, 1983 to September, 1993 at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kinds of neoplasms, the most frequent were lung Ca. with 13 cases(44.8%), followed by 8 cases by thyroid Ca., 3 cases by neurogenic tumor, 2 cases by mediastinum tumor, cervical esophagus Ca., tracheal Ca., glomus jugulare were 1 case each. 2) In sex distribution, there were 18 cases of males and 11 cases of females with the male to female ratio being 1.8:1. In age distribution, most of the cases(10 cases ; 34.5%) were in the 7th decade. 3) In chief complaints, most of the cases(17 cases : 58.6%) had hoarseness only and aspiration, stridor, dyspnea, cough, dysphagia were present in some cases. 4) In site of the paralysed vocal cord, 21 cases were in the left cord. 5 cases in the right cord and 3 cases in the both cords. 5) In the position of paralysed vocal cord, most of the cases(23 cases : 79.3%) were in the parmedian position.

  • PDF

식도암의 외괴적 조기관찰 성적 (Short-term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in Esophageal Carcinoma)

  • 오봉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4호
    • /
    • pp.398-405
    • /
    • 1992
  • Twenty nine adult patients underwent surgical esohpagectomy and one, bypass procedure for documented carcinoma of esophagus and cadiac portion of stomach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86 to April 1991. There were several kinds of esophagectomies including through transhiatal, left thoracotomy only, laparotomy and thoracotomy, and laparotomy and right thoracotomy and cervical incision. Twenty five and squamous cell carcinoma and 5, adenocarcinoma. The tumor locations were the upper third in 3, middle third in 12, lower third in 10 and cardiac portion of stomach in 5. After operation, 8[27%] patients were classified in Stage IIa, 6[20%] patients in Stage IIb, 15 patients[50%] in Stage III and one patient in Stage IV. Maj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anastomotic narrowing in 3, limited suture line leak in 2, wound infection in 2, hoarseness in 2, pseudomembraneous enterocolitis in 1 and herpes zoster in 1. There was no death within 30 days of operation. Ten months survival was 100% for patients with Stage lIa, 67% for patients with Stage IIb, 50% for patients with Stage III. Furthermore, 20 months survival was 75% in IIIa, 33% in IIb, and 40% in III.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s among the stage. The actuarial survival is 58% at one year and 41% at two years, The periods of average survival is 589 days after operation.

  • PDF

비전형적인 위치에 발생한 상부 식도 게실 (Unusual Location of Esophageal Diverticulum)

  • 김태후;허철영;김범규;김용복;박일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7-91
    • /
    • 2009
  • Esophageal diverticulum is a rare entity, the true incidence of which is unknown, mainly because there are usually no clinical symptoms. Most esophageal diverticulum are found incidentally during an endoscopic or radiologic examination. Their classification is based on anatomical location; namely, upper third(Zenker or pharyngoesophageal), middle third(thoracic), or lower third(epiphrenic). Here we report a 52-years-old female presenting with dysphagia and regurgitation. Esophagogram showed esophageal diveticulum at lower cervical esophagus. Its positional aspect, it is different from Zenker's diveticulum. Treatment is surgical via an endoscopic or external approach. In view of the patient's age and anatomical location, various surgical approaches wer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option for the management. This paper presents our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esophageal diverticulum which was unusual location and stapled open resection without sternotomy.

  • PDF

Killian-Jamieson 게실의 수술적 치료 - 1예 보고 - (Surgical Experience with Killian-Jamieson Diverticulum - A case report -)

  • 한국남;김영태;남진혜;강창현;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324-327
    • /
    • 2010
  • Killian-Jamieson 게실은 경부 식도에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며 Zenker 게실과는 발생 기전과 부위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llian-Jamieson 게실의 치료원칙에 대해서는 정립된 바가 없다. Killian- Jamieson 게실 환자에서 경부 절개 하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후두전적출술 52 례에 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Laryngectomized Patients)

  • 왕수건;전경명;이종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63
    • /
    • 1987
  •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52 cases of carcinoma of the larynx, who underwent total laryngectomy $\bar{c}\;or\;\bar{s}$ neck dissection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78 to 1985, was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32 glottic(62.7%), 18 supraglottic(35.3%) and 1 subglottic(2.0%) carcinoma. 2) In stage grouping, stage ill was the most(64.7%) and then stage II, stage IV, stage I in order. 3) Overall rate of cervical metastasis was 29.4%. In glottic carcinoma, 0% of $T_1,\;40%\;of\;T_2,\;18%\;of\;T_3\;and\;25%\;of\;T_4$. In supraglottic carcinoma, there was 0% of $T_1,\;29%\;of\;T_2,\;56%\;of\;T_3\;and\;50%\;of\;T_4$. 4)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31.4% and stomal stenosis was the most(13.7%) 5) There were 8 cases of local recurrence and 3 cases of distant metastasis(2 cases in lung, 1 case in esophagus) among 40 cases which were able to follow up. 6) 3 year estimated survival rate for glottic and supraglottic carcinoma were 73.3 % and 85.7% respectively.

  • PDF

경구경계부식도암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근치적 식도암적출술 (Thoracoscopic Radical Esophagectomy in Cervico-Thoracic Esophageal Cancer)

  • 박재길;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81-688
    • /
    • 1996
  • 경구경계부 식도에 발생된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진단시에 이미 식도에 밀접해 있는 기관과 주요 신경 그리고 혈관등에 침범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외과적 절제에도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어 식도암 의 발생부위중 가장 예후가 불량한 부위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진행형 경흥경계부 식도암 환자 1례에서 합병치료로 종양의 묶췄를 향상시킨후, 흥강경 을 이용한비개흥적 종격동 림프절적출과 경부의 림프절을 확대적출함으로써 근치도III의 고치요도술을 시행하였다. 술후 끌병증의 발병없이 식도조영술에서 양호한 조명제의 통과소견을 보였으며, 병 리 조직학적 소견상 조기식도암(TINOMO, SM2)으로 판정되어 술후 합병치료는 시행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중에 있다.

  • PDF

육종성 변화를 동반한 경부의 염증성 근섬유모세포종 1례 (A Case of Malignant Transformation of 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 of the Neck)

  • 김한결;최나연;배현식;박우리;정만기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5-59
    • /
    • 2016
  • Iinflammatory myofibroblastic tumor(IMT) is a benign chronic inflammatory mass composed of proliferative myofibroblasts. It is a space occupying lesion which could potentially covert to malignant tumor. Treatment guideline of the disease has not been established due to its rarity. We demonstrate a 60-year old male who had surgical excision for IMT of the cervical esophagus. During the follow-up period, he revealed recurrent tumor which showed sarcomatous change with distant metastasis. We reported this rare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난치성 식도협착에서의 인두-대장 문합술의 결과 (Results of Pharyngocolostomy in Intractable Caustic Pharyngeal Stricture)

  • 박충규;심영목;김진국;김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61-566
    • /
    • 1999
  • 배경: 부식제를 삼킨후 발생하는 인두부위의 협착은 수술로 쉽지않고, 수술후 정상적인 음식물의 섭취까지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등은 이러한 환자들을 치험한 후 결과를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8월부터 1998년 3월까지 부식성 협착이 심하게 진행된 6례의 환자에서 식도재건술을 하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식도 재건술까지의 기간은 3개월에서 2년 4개월까지 였다. 6례에서 모두 좌측 대장을 사용하였고, 5례에서는 흉골하경로로, 1례에서는 식도열공경로로 위치시켰다. 경부 문합은, 3례에서는 갑상연골을 부분절제하여 좌측 양배꼴동에 문합하였고, 3례에서는 하인두수축근의 후외측에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후 합병증은 연하곤란 3례, 좌측 성대마비 1례였다. 경부 문합부위협착은 없었다. 교정술기로는 식도확장과 유리 공장이식 1례, 성문위 반흔띠절제 1례, 대장 점막절제가 1례있었다. 연하곤란이 발견된 3례의 환자에서는 연하훈련이 필요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일째부터 303일째까지에서 정상적인 연하기능의 회복이 관찰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인두부터 심하게 협착이 진행되어 있는 부식성협착에서 인두-대장 문합술이 식도 재건술로 유용함을 알수 있었고, 연하의 기능이 정상과 달라짐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장시간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출구까지 손상되어 위의 저류기능을 유지할 수 없는 증례들에서, 인두-대장-공장 문합술이 식도재건술로써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수막뇌염을 동반한 진국인 유극악구충증 1예 (Description of a Male Gnathostoma spinigerum Recovered from a Thai Woman with Meningoencephalitis)

  • 이순형;홍성태;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33-38
    • /
    • 1988
  • 서울에 있는 미군 병원에서 시행한 신경외과 수술에서 검출 의뢰된 충체를 유극악구충으로 동정하여, 국내에서 충체로 화인된 첫 증례로 보고한다. 환자는 젊은 태국인 여성으로 태국에 체재할 때부터 수막뇌염 증세를 앓았고, 뇌척수액에서는 수많은 호산구를 검출하였다. 등글게 말려서 고정된 충체는 길이가 12.3mm, 폭이 0.9mm이고 앞쪽 끝에 근 head bulb가 있었다. 이 기관의 표피에는 고양이 발톱모양의 피극이 8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충체 전반부의 표피에는 수많은 피극이 가로로 열지어 있는데 head bulb 가까이 에서는 등근 기저부와 4분지의 끝이 있는 굵은 피극이 분포하나 점차 뒤쪽으로 3분지되고 2분지되면서 가늘고 걸어지는 피극으로 이행되었다. 중간부에서는 짧고 작은 가시모양의 피극이 관찰되고 그 수도 크게 감소하였고 후반부에서는 피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길이 12.4mm의 식도와 두 개의 식도선(cervical sacs)이 있고, 장이 식도에서 항문까지 곧게 이어져 있었다. 장은 검고 불투명하며, 심하게 굴곡하는 고환과 겁쳐져서 관찰되었다. 뒤 끝에서는 작은 피극이 다시 나타나서 가로로 배열하였고 항문 주위에 Y형으로 피극이 없는 부분이 있었다. 끝의 복면·양쪽에 네 쌍의 큰 감각유두((pedunculated papillae)가 배열하였다. 이상의 소견은 enathostoma spinigerum 성충 수컷의 형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 증례는 태국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수막뇌염이 유발된 유극악구충 증례로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는 것이라 하겠다.

  • PDF

식도천공 및 종격동염을 초래한 식도이물 1례 (A Case of Esophageal Perforation and Mediastinitis complicated after Foreign Body Ingestion)

  • 김무명;나기상;김광현;박찬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5-9
    • /
    • 1981
  • 식도이물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그 합병증으로 식도천공과 이에 따른 종격동염을 일으키는 예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이러한 종격동염은 극히 위험한 합병증으로서 생명에 위험을 초래하는 예도 적지 않다. 저자들은 최근 식도이물에 의한 식도천공으로 종격동염이 병발한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69세 여자로 음식물에 섞인 유리조각을 오연한 후 심한 연하곤란 및 연하통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며 당시 하경부에 팽창과 심한 피하기종을 볼 수 있었다. 식도천공을 의심하여 식도경검사를 시행한 결과 이물은 발견하지 못했으나 경부 식도 우측벽에 약 4cm가량의 식도 종천공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량의 음식물 찌꺼기를 볼 수 있었다.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 후 금식과 다량의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나 입원 제 3일에 흉곽통이 있었으며 흥부 X선상상부 종격동 음영의 확장을 볼 수 있었다. 입원 제 4일에는 호흡곤란이 있어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으며 피하기종도 감소되었다. 입원 제15일에 시행한 식도경검사에서 경부 식도 우측벽의 천공부위에서 다량의 농이 매출되어 우측하경부의 전면에 배농관을 삽입하였다. 술후농의 양은 감소되었으나 약 15일간 농의 배출은 계속되었고 전신상태가 호전되었으나 환자의 경제적 사정으로 입원 제38일에 퇴원하였다. 그 후 항생제를 투여하며 통원가료후 완전히 회복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