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bral ischemia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3초

Hypointensity on Susceptibility-Weighted Images Prior to Signal Change on Diffusion-Weighted Images in a Hyperacute Ischemic Infarction: a Case Study

  • Kim, Dajung;Lee, Hyeonbin;Jung, Jin-Man;Lee, Young Hen;Seo, Hyung Suk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2호
    • /
    • pp.131-134
    • /
    • 2018
  •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is well known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hemorrhagic transformation, microbleeds and the susceptibility of vessel signs in acute ischemic stroke. But in some cases, it can provide the tissue perfusion state as well. We describe a case of a patient with hyperacute ischemic infarction that had a slightly hypodense, patchy lesion at the left thalamus on the initial SWI, with a left proximal posterior cerebral artery occlusion on a magnetic resonance (MR) angiography and delayed time-to-peak on an MR perfusion performed two hours after symptom onset. No obvious abnormal signals at any intensity were found on the initial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On a follow-up MR image (MRI), an acute ischemic infarction was seen on DWI, which is the same location as the lesion on SWI. The hypointensity on the initial SWI reflects the susceptibility artifact caused by an increased deoxyhemoglobin in the affected tissue and vessels, which reflects the hypoperfusion state due to decreasing arterial flow. It precedes the signal change on DWI that reflects a cytotoxic edema. This case highlights that, in some hyperacute stages of ischemic stroke, hypointensity on an SWI may be a finding before the hyperintensity is seen on a DWI.

Role of ginseng in the neurovascular unit of neuroinflammatory diseases focused on the blood-brain barrier

  • Kim, Minsu;Mok, Hyejung;Yeo, Woon-Seok;Ahn, Joong-Hoon;Choi, Yoon Ky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5호
    • /
    • pp.599-609
    • /
    • 2021
  • Ginseng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n herbal medicine. Recent data suggest that ginseng ha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can improve learning- and memory-related funct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CNS neuro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cerebral ischemia, and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role of ginseng in the neurovascular unit, which is composed of endothelial cells surrounded by astrocytes, pericytes, microglia, neural stem cells, oligodendrocytes, and neurons, especially their blood-brain barrier maintenance,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regenerative functions. In addition, cell-cell communication enhanced by ginseng may be attributed to regeneration via induction of neurogenesis and angiogenesis in CNS diseases. Thus, ginseng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to exert cognitive improvement in neuro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multiple sclerosis, Parkinson's disease, and Alzheimer's disease.

Virtual screening, molecular docking studies and DFT calculations on JNK3

  • Priya, dharshini;Thirumurthy, Madhavan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79-186
    • /
    • 2022
  • The c-Jun N-terminal kinase (JNK3) play major rol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like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cerebral ischemia and other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Since JNK3 is primarily stated in the brain and stimulated by stress-stimuli, this situation is conceivable that inhibiting JNK3 could be a possible treatment for the mechanisms underly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 this study drugs from Zinc15 database were screened to identify the JNK3 inhibitors by Molecular docking and Density functional theory approach. Molecular docking was done by Autodock vina and the ligan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binding affinity. Our results identified top ten novel ligands as potential inhibitors against JNK3. Molecular docking revealed that Venetoclax, Fosaprepitant and Avapritinib exhibited better binding affinity and interacting with proposed binding site residues of JNK3. Density functional theory was used to compute the values for energy gap,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and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The results of Density functional theory study showed that Venetoclax, Fosaprepitant and Avapritinib serves as a lead compound for the development of JNK3 small molecule inhibitors.

당귀약침(當歸藥鍼)의 혈해(血海) 자입(刺入)이 Intraluminal Filament 삽입술(揷入術)에 의(依)해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허혈성(虛血性) 뇌손상(腦損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herbal acupuncture into Hyolhae(SP10) of brain ischemic injury induced by Intraluminal Filament insertion in the rats)

  • 한상균;이병렬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20
    • /
    • 2004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AGN) on the ischemic injury by intraluminal filament insertion in the rats. Methods : The ischemia was induced by intraluminal filament insertion into middle cerebral artery. AGN herbal acupuncture into SP10 was carried out during 3 weeks after ischemic injury. Eight-arm radial maze was designed for the behavioral task. AGN herbal acupuncture showed neuroprotective agents in cresyl violet, acetylcholinesterase(AchE),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 and nerve growth factor(NGF)-stain. Then check the effect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according to AGN herbal acupuncture in rats. Results : The errors in the eight-arm radial maze task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norm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on 1~6days, AGN2(0.02g/kg) herbal acupuncture group on 1~5days, AGN3(0.1g/kg) on 1~3days, AGN4(0.5g/kg) on 1, 3~6days. The rate of correct choi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GN1(0.01g/kg) and AGN4 herbal acupuncture groups. The density of neurons in the hippocampal CA1 was the most increased in normal group and AGN1, AGN3, AGN4 herbal acupunctur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density of AchE in the hippocampal CA1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all the groups when they wer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 The density of ChAT in the hippocampal CA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normal group and AGN1, AGN4 herbal acupuncture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density of NGF in the hippocampal CA1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GN4 herbal acupuncture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rCB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GN1, AGN3 and AGN4 herbal acupuncture groups without the change of blood pressur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N herbal acupuncture can be used for controlling stroke in early stage as herbal medication.

  • PDF

반대측 내경동맥 폐쇄를 동반한 경동맥 협착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 후 뇌혈류 및 뇌혈관 예비능의 증가: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SPECT 연구 (Improved Cerebral Blood Flow and Cerebrovascular Reserve after Carotid 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Carotid Stenosis and Contralateral Carotid Occlusion: Acetazolamide Stress Brain SPECT Study)

  • 김재승;문대혁;김건언;김종성;권순억;조용필;류진숙;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52-361
    • /
    • 1999
  • 목적: 경동맥 내막절제술은 양측성 경동맥 협착환자의 뇌혈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반대측 경동맥의 폐쇄가 있는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 후 뇌혈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SPECT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경동맥 협착(>50%)으로 경동맥 내막절제술을 시행한 77명의 환자 중 반대측 내경동맥의 폐쇄가 있었던 14명(평균연령 66세, 모두남자)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루검사 프로토콜로 Tc-99m ECD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SPECT를 수술전 2주 이내와 수술 후 2주 이내에 시행하였다. SPECT 영상은 육안적 분석을 통해 뇌혈류와 뇌혈관 예비능의 감소 여부 및 수술 후 변화 여부를 평가하였다. 12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전 윌리씨 환의 개통 유무를 수술 후 뇌혈관 예비능의 호전 유무와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전 뇌혈류는 동측의 2예와 반대측의 10예에서 감소되어 있었고 이 중2예(16.7%)에서 수술 후 뇌혈류가 호전되었다. 뇌혈관 예비능은 동측 대뇌반구에서 4예, 반대측은 9예에서 감소되어 있었고 수술 후 동측의 4예(100%)에선 모두, 반대측도 7예(78%)에서 호전되었다. 전뇌동맥이나 전교통동맥의 협착 혹은 폐쇄가 있으면서 반대측 뇌혈관 예비능이 감소되어 있었던 3예 모두와 전뇌동맥과 전교통동맥이 정상이면서 반저측 뇌혈관 예비능이 감소되었던 4예 중 3예에서 수술 후 동측 뿐만 아니라 반대측 뇌혈관 예비능이 호전되었다. 결론: 아세타졸아마이드 부하 뇌혈류 SPECT를 통하여 반대측 내경동맥의 폐쇄를 동반한 내경동맥 협착 환자에서 경동맥 내막절제술이 수술 부위의 대뇌반구뿐만 아니라 반대측 대뇌반구의 뇌혈관 예비능도 호전시킴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아세타졸아마이드 분하 뇌혈류 SPECT는 수술 전후의 뇌혈류 및 뇌혈관예비능의 변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 PDF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알쯔하이머병의 진단에서 허혈성 뇌병변이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schemic Lesions on $^{99m}Tc$-HMPAO SPECT Findings in the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 이경한;이명철;이동수;권준수;김종호;정준기;우종인;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2-29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AD의 진단에서 허혈성 뇌병변의 유무와 대조군의 선정방법이 진단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진단된 PAD군 11례와 연령을 맞춘 대조군 12례에서 SPECT를 시행하여 국소 혈류비를 분석하였다. MRI 소견을 조사한 결과 PAD군의 27%(3/11)와 대조군의 25%(3/12)에 유의한 뇌허혈 또는 경색 병변이 관찰되었다. 뇌병변의 유무와 관계없이 두군을 비교한 결과 측두엽이나 두정엽에 평균혈류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군을 신뢰성있게 감별할 만한 특징적인 혈류양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뇌허혈병변이 있는 자를 대조군에서 제외시켰을 때 두군의 측두엽 및 두정엽 혈류비의 차이가 증가하였다. 또 별도로 설정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같은 부위의 혈류비에 현저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뇌혈류 SPECT에 의한 AD의 진단성적은 연구대상의 선정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허혈성 뇌병변의 유무는 연구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었다. 향후 허혈성 뇌병변에 의한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SPECT 영상을 방사선학적 검사와 함께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토끼의 척수 허혈 손상 모델에서 페니토인과 저체온의 신경 보호 효과의 비교 (Neuroprotective Effect of Phenytoin and Hypothermia on a Spinal Cord Ischemic Injury Model in Rabbits)

  • 오삼세;최기영;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405-416
    • /
    • 2008
  • 배경: 흉부 및 흉복부 대동맥의 수술 중 대동맥 차단은 허혈성 척수 손상에 의한 하반신 마비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어 수술 중 허혈성 척수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여러 방법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최근에 허혈성 대뇌 손상 모델에서 신경조직의 막전위 의존성 나트륨채널 길항제가 대뇌 보호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토끼의 허혈성 척수손상 모델에서 나트륨채널 길항제인 페니토인과 저체온의 척수보호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산 토끼의 신동맥직하부에서 복부대동맥을 25분간 차단하는 방식으로 척수허혈을 유도하였으며 각 군당 8마리씩 네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과(S39) 저체온군은(S37) 대동맥 차단시간 동안 직장온도를 각기 $39^{\circ}C$$37^{\circ}C$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22^{\circ}C$ 생리적 식염수만 2 mL/min의 속도로 연속 주입하였으며, 정상체온 및 저체온 페니토인 군은(P39, P37) 앞의 두 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생리적 식염수에 페니토인을 녹여 주입하였다(100 mg/50 mL). 수술 후 24시간 및 72시간이 경과한 다음 Tarlov scoring을 통해 신경학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마지막 평가 후에는 객관적으로 신경손상의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해 척수를 고정 처리하였다. 결과: 페니토인의 역행성 주입에 따른 심각한 문제는 없었으며 대조군에(S39) 속한 모든 동물은 완전 또는 심한 하반신 마비 소견을 보였다. 페니토인과(P39) 저체온(S37)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신경학적 평가는 유사한 정도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p<0.05). 조직 병리학적 검사 결과, 대조군에 속한 모든 동물은 척수 회백질에서 심한 신경조직 괴사 때 보이는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었으며, TUNEL 염색에 양성인 신경세포도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나, 저체온 또는 페니토인 투여 군에서는 괴사현상이 유의한 정도로 감소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빈도의 TUNL 염색 양성세포가 관찰되었다(p<0.05). 그러나 저체온과 페니토인을 병용했을 때의 부가적인 척수보호효과를 조사해 본 결과 신경학적 평가와 조직병리학적 결과 모두 유의한 수준의 부가적인 효과는 없었다. 걸론: 결론적으로, 토끼의 허혈성 척수 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페니토인과 저체온의 신경보호효과를 알아본 결과 신경학적 평가와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모두 부가적인 효과는 보여주지 못했지만 각각의 경우 유사한 정도의 신경보호효과를 보여주었다.

Cilostazol에 의한 뇌혈관내피세포의 세포이동 증진 효과연구 (Cilostazol Promotes the Migration of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 이세원;박정화;신화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67-1375
    • /
    • 2016
  • Cilostazol은 phosphodiesterase III의 선택적 저해제로 알려져 있으며, 뇌졸중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Cilostazol을 처리한 경우, 국소 뇌허혈이 발생한 후에 혈관신생을 통해서 혈관형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본 연구자들이 발표하였다. 혈관신생은 조직의 허혈상태를 극복하기 위해서 혈관재생을 촉진하는 중요한 과정으로써,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모세관구조 형성의 다단계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 뇌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하여 cilostazol이 혈관신생의 각 단계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Cilostazol은 농도의존적으로 뇌혈관내피세포의 이동성을 촉진하였으나, 뇌혈관내피세포의 증식과 모세관구조 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ilostazol이 세포이동을 조절하는 기전을 분석하기 위해서 cDNA microarray를 수행하였고, 세포이동에 관련성이 있는 5종의 후보 유전자들을 선택하여 real-time PCR을 통해 해당 유전자의 발현을 검증하였다. Cilostazol에 의해서 발현양이 조절되는 유전자들로써, phosphoserine aminotransferase 1 (PSAT1)와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beta}$ ($C/EBP{\beta}$)은 발현이 증가하였고, tissue factor pathway inhibitor 2 (TFPI2), retinoic acid receptor responder 1 (RARRES1), RARRES3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cilostazol이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을 촉진하여 혈관신생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할 수 있으며, 뇌혈관내피세포에 대한 cilostazol의 조절기전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규명을 한다면 혈관형성을 통하여 허혈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GPR88 효현제의 전처리에 의한 뇌졸중후 뇌손상 감소효과 연구 (Pretreatment with GPR88 Agonist Attenuates Postischemic Brain Injury in a Stroke Mouse Model)

  • 이서연;박정화;김민재;최병태;신화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39-946
    • /
    • 2020
  •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신경계 장애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뇌졸중 환자는 다양한 운동, 인지 및 정신 장애를 나타낸다. GPR88은 orphan G protein coupled receptor이며 striatal medium spiny neurons에서 높게 발현이 되며, GPR88이 결손이 된 경우 motor coordination과 motor learning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Western blot 및 real-time PCR을 사용하여 허혈성 마우스 모델에서 GPR88 발현이 감소함을 발견 하였다. 또한, 뇌에서 유래한 세 가지 유형의 세포들, 뇌혈관내피세포(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미세 아교세포(microglial cells) 및 신경 세포들에서 GPR88의 발현정도를 확인한 결과, HT22 신경 세포에서 GPR88의 발현이 가장 높음을 관찰하였고, 뇌졸중과 유사한 실험조건인 oxygen glucose deprivation (OGD) 조건에 배양한 HT22 신경세포에서 GPR88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GPR88 효현제인 RTI-13951-33 (10 mg/kg)을 전처리후에 뇌허혈을 유발하였을 때, infarct volume의 감소, vestibular-motor function 및 neurological score의 개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GPR88이 허혈성 뇌졸중을 포함한 CNS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잠재적인 약물표적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Neuro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on Glutamate Excitotoxicity in PC12 Cells and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 Kim, Soo-Man;Shim, Eun-Sheb;Kim, Bum-Hoi;Sohn, Young-Joo;Kim, Sung-Hoon;Jung, Hyuk-Sang;Sohn, Nak-W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9-40
    • /
    • 2008
  • Objectives : It has been reported that Sophorae Subprostratae Radix (SSR)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on cerebral ischemia in animals.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SSR on glutamate excitotoxicity. Glutamate excitotoxicity was induced by using NMDA, AMPA, and KA in PC12 cells and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Methods :Methanolic extract of SSR was added at 0.5, 5, and 50 ${\mu}$g/ml to culture media for 24 hours. The effects of SSR were evaluated by measuring of cell viability, PI-stained neuronal cell death, TUNEL-positive cells, and MAP-2 immunoreactivity. Results : SSR increased PC12 cell viabilities significantly against AMPA-induced excitotoxicity, but not against NMDA-induced or KA-induced excitotoxicity.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NMD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significantly in the CA1, CA3, and DG hippocampal regions and reduced TUNEL-positive cells significantly in CA1 and DG regions.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AMP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and reduced TUNEL-positive cell numbers significantly in the CA1 and DG regions.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K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significantly in CA3, but did not reduce TUNEL-positive cell numbers in CA1, CA3 or DG. In organotypic hippocampal slice cultures damaged by NMDA-induced excitotoxicity, SSR attenuated pyramidal neuron neurite retraction and degeneration in CA1.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SSR are related to antagonistic effects on the NMDA and AMPA receptors of neuronal cells damaged by excitotoxicity and ischem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