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al Crop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31초

기장(Panicum miliaceum)의 마우스 3T3-L1 세포에 대한 에폽토시스 유발 및 지방세포형성 억제 효능 (Pro-apoptotic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Grains on 3T3-L1 Preadipocytes)

  • 전도연;이지영;한초롱;김관필;서명철;남민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5-514
    • /
    • 2014
  • 항 비만 활성소재를 탐색하기 위하여 국내산 8종의 잡곡으로부터 80% 에탄올 추출물을 확보하여 마우스 3T3-L1 전지방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기장이 가장 강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장 에탄올 추출물을 다시 메칠렌 크로라이드, 에칠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단계 추출하여 각 유기용매 추출물을 확보하고 각 추출물의 항 비만 활성소재를 3T3-L1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능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장의 부탄올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 유도기간(6일) 동안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보다 중성지방 축적을 약 50.3%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강한 항비만 활성 분획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기장 부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은 지방세포 분화유도인자($(C/EBP{\alpha}$, $PPAR{\gamma}$)의 초기 발현을 억제하여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나아가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aP2 와LPL)의 발현까지도 저해함을 알았다. 그리고 기장의 부탄올 추출물은 25 ${\mu}g/ml$ 농도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저해하지만 50 ${\mu}g/ml$농도에서는 3T3-L1 전지방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Delta}{\psi}m$)를 변화시키고, caspase-3 활성화와 PARP 분해를 유도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장이 항비만 소재를 가진 우수한 잡곡으로서 비만 관련 질환 예방에 우수한 식소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M과 non-GM, 친환경작물의 공존을 위한 제도 보완의 필요성 (Consideration on coexistence strategy of GM with non-GM, environmentally friend crops in South Korea)

  • 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45-25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GM과 non-GM작물 특히 최근 들어 그 인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친환경작물과의 공존에 관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국내의 현행 법령에 의하면, 친환경 농산물은 GM농산물의 혼입허용치를 3%로 규정하고 있다. 특히 우수농산물의 경우 단계별 조사내용을 보면 "파종단계에서 GM종자를 포함하지 않을 것"을 명시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는 GM 작물의 상업적인 재배를 승인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현재 GM 벼, 배추, 감자, 들잔디 등의 환경위해성평가가 수행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농촌진흥청은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GM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를 전담할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산하 소속기관 및 대학교, 출연기관 등 11개 기관을 평가기관으로 지정하여 조만간 상업적인 GM작물의 재배를 승인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국내의 친환경농산물의 인증기관은 2008년 8월 현재 34개 민간기관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들 인증기관에서 부여한 친환경 인증 농산물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은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예로서 친환경곡류의 경우 1999년도에 비하여 2007년도에는 그 인증량이 100배 (유기농)에서 2,324배 (저농약)까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은 2007년도의 전체 곡류생산량에 비하여 약 6.4%를 차지하였다. 특히 감자와 고구마 등 서류의 경우는 전체 생산량의 약 24%가 친환경인증농산물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GM작물의 상업적인 재배를 승인할 경우 기존의 국내 친환경농산물시장의 유통질서에 큰 혼란을 야기시킬 수 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저자는 아직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에 EU에서 제기한 GM과 non-GM 특히 유기 농작물과의 공존을 위한 제도 보완에 관한 제안서와 다양한 연구보고서들을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특히 작물별로 친환경작물과의 구분 생산 유통을 위한 최소격리거리, 작부체계, 수확 및 포장시스템, 그리고 GM작물의 검출기법 표준화 등에 관한 상세한 실시요령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작은뾰족민달팽이(Deroceras reticulatum)의 발육과 수명에 미치는 온도효과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and Longevity of the Gray Field Slug, Deroceras reticulatum Müller (Stylommatophora: Limacidae))

  • 김현주;배순도;이건휘;윤영남;박성태;최병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541-546
    • /
    • 2009
  • $24^{\circ}C$에서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알 크기 (단경$\times$장경)는 $1.91{\times}2.19$ mm, 무게는 3.3 mg 이었다. 산란 직후의 알에서부터 발육하여 우화한 성체가 최초 산란 시까지 17주간의 무게는 발육일수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온도별 무게는 $20^{\circ}C$에서 가장 무거웠으며, 다음은 24, 16 및 $28^{\circ}C$ 순이었다. 작은뾰족민달팽이가 산란한 난괴수의 부화율은 $20^{\circ}C$에서 9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24, 16 및 $28^{\circ}C$의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난괴당 알수는 $20^{\circ}C$에서 20개로 가장 많았으며 $28^{\circ}C$에서 10개로 가장 적었다. 누적 산란 일수는 $20^{\circ}C$에서 15일로 가장 길었으며, $24^{\circ}C$에서 9일로 가장 짧았고, 산란기간은 84~134일로 $16^{\circ}C$에서 가장 짧았으며, $20^{\circ}C$에서 가장 길었다. 그리하여 총 산란수는 $20^{\circ}C$에서 217개로 가장 많았고, $16^{\circ}C$에서 105개로 가장 적었다.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알기간은 12~19일, 유체기간은 51~68일, 성체수명은 85~134일 이었으며, 알에서부터 성체수명까지의 총 생존기간은 $20^{\circ}C$에서 216일로 가장 길었으며, 다음은 $24^{\circ}C$에서 193일, $16^{\circ}C$에서 170일 및 $28^{\circ}C$에서 151일 순 이었다. 따라서 작은뾰족민달팽이의 산란, 발육 및 성체수명에 가장 유리한 온도는 $20^{\circ}C$로 여겨졌다.

수종 공장 폐수에 대한 작물의 피해 반응 (Growth Responses of Crops to Wastes Derived from Some Factories)

  • 강병화;심상인;이상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1-165
    • /
    • 1997
  • 본(本) 실험(實驗)은 공장(工場) 폐수(廢水)가 작물(作物)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도(水稻) 묘(苗)의 초기(初期)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벼, 보리, 배추, 참외, 토마토를 파종(播種)한 폿트에 공장(工場) 폐수(廢水)의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작물(作物)의 출현율(出現率)과 건물중(乾物重)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폐수(廢水)의 종류는 피혁(皮革) 공장(工場), 페놀 수지 공장(工場), 염료(染料) 공장(工場)의 폐수(廢水)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도(水稻) 묘(苗)는 각 공장(工場)의 폐수(廢水)에 의하여 억제가 되었으나 피혁(皮革) 공장(工場)의 경우는 1/16이하로 희석(稀釋)된 저농도(低濃度)에 의해서는 촉진(促進)되는 결과를 보였다. 2. 피혁(皮革) 공장(工場)의 경우 각 작물(作物)이 반응은 보리가 가장 피해가 적었고 토마토의 경우 피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페놀 수지 폐수(廢水)는 배추와 참외가 크게 나타났고, 보리는 피해가 적었다. 4. 염료(染料) 공장(工場)의 폐수(廢水)는 토마토와 참외가 가장 많이 억제되었고, 보리의 경우 피해의 정도가 낮았다. 5. 각 (各) 작물종(作物種)들의 폐수(廢水)에 대한 반응은 채소인 토마토와 참외의 피해가 컸고, 화곡류인 보리와 벼가 작았다.

  • PDF

Estimation of the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breaking and bending types lodging resistance in rice using chromosome segment substitution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akanari and Koshihikari

  • Mulsanti, Indria Wahyu;Yamamoto, Toshio;Ueda, Tadamasa;Samadi, Ahmad Fahim;Adachi, Shunsuke;Hirasawa, Tadashi;Ookawa, Taiichir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33-133
    • /
    • 2017
  • Lodging is one of the important constraints in rice production. The lodging destroys the canopy structure, and sharply reduces the capacity of photosynthetic rate and dry matter production. In cereal crops, stem lodging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stem breaking type and stem bending type. To improve stem lodging resistance, it is important to reveal strong culm traits of superior lodging resistant varieties. There are large varietal differences in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bending moment at breaking (M) and flexural rigidity (FR). The indica variety Takanari possesses large M due to its large section modulus (SM) despite of its small bending stress (BS), while Takanari also has large FR due to its large secondary moment of inertia (SMI) and Young's modulus (YM).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and the corresponding genes associated with the parameters for M ($=SM{\times}BS$) and FR ($=SM{\times}YM$) should enable to develop lodging resistant varieties, efficiently. In order to identify QTLs for cell wall materials such as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associated with BS and YM, a set of Chromosome Segment of Substitution Lines (CSSLs) consisted of 37 lines with chromosome segments of Koshihikari in the genetic background of Takanari were used. Takanari had large M and small BS as compared with Koshihikari. The QTLs for BS were estimated on chromosomes 3, 5, 6, 8, 9, 10, 11 and 12. Koshihikari alleles increased BS in these QTLs. Takanari had a large FR due to its large SMI and YM as compared with Koshihikari. The YM was increased by substitution of the Koshihikari chromosomal segments on chromosomes 2, 10 and 11. Other QTLs estimated on chromosomes 7 and 12 that Koshihikari alleles contributed to the decrease of YM. For lignin, only one major QTL for lignin density was detected on chromosome 11. Hollocellulose densities were increased by the substitution of Koshihikari segments on chromosomes 5 and 11. On the other hand, these were decreased on chromosomes 1 and 3 by substitution of Koshihikari segments. QTLs for cellulose density were estimated on chromosomes 1, 3 and 5 by substitution of Koshihikari segments. For hemicellulose, QTL on chromosome 3 showed that hemicellulose density decreased by the substitution of Koshihikari segment. However, hemicellulose densities on chromosomes 5, 8 and 11 showed the opposite effects. The QTLs for hemicellulose, cellulose, and hollocelulose densities identified on chromosome 5 overlapped with that for bending stress, indicating the positive effect of Koshihikari segment on increasing bending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me QTLs for the densities of cell wall materials contribute to increasing bending stress and Young's modulus, and could be utilized to improve the lodging resistance for both types of breaking and bending in rice varieties.

  • PDF

The Effect of Bacterial Inoculants and a Chemical Preservative on the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crop Cereal Silages

  • Filya, Ismail;Sucu, Ek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3호
    • /
    • pp.378-384
    • /
    • 2007
  • Three microorganisms and one chemical preservative were tested for their effects on the fermentation and aerobic stability of whole-crop wheat, sorghum and maize silages. Wheat at the early dough stage, sorghum at the late milk stage and maize at the one-third milk line stage were harvested and ensiled in 1.5-l anaerobic jars untreated or after the following treatments: control (no additives); Lactobacillus plantarum (LP) at $1.0{\times}10^6$ colony-forming units (CFU)/g of fresh forage; L. buchneri (LB) at $1.0{\times}10^6$ CFU/g;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PA) at $1.0{\times}10^6$ CFU/g; and a formic acid-based preservative (FAP) at 3 ml/kg of fresh forage weight. Three jars per treatment were sampled on d 90 after ensiling, for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At the end of the ensiling period, 90 d, the silages were subjected to an aerobic stability test lasting 5 d. In this test, $CO_2$ produced during aerobic exposure was measured along with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arameters which serve as spoilage indicators. The silages inoculated with LP had higher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compared with the controls and the other treated silages (p<0.05). The controls and LP-inoculated silages spoiled upon aerobic exposure faster than LB, PA and FAP-treated silages. The controls and LP-inoculated silages spoiled upon aerobic exposure faster than LB, PA and FAP-treated silages due to more $CO_2$ production (p<0.05) in these two groups and development of yeasts unlike the other groups. In the experiment, the silages treated with LB, PA and FAP were stable under aerobic conditions. However, the numbers of yeasts was higher in the LP-inoculated wheat, sorghum and maize silages compared with the LB, PA and FAP-treated silages. The LB, PA and FAP improved the aerobic stability of the silages by causing more extensive heterolactic fermentation that resulted in the silages with high levels of acetic and propionic acid. The use of LB, PA and FAP as silage additives can improve the aerobic stability of whole-crop wheat, sorghum and maize silages by inhibition of yeast activity.

수수 수집종의 농업적 형질 및 생리활성 분석을 통한 우수계통 선발 (Selection of Superior Sorghum Accession by Assessing Agronomic Characters and Biological Activity)

  • 전미란;유지혜;김창흠;최재후;강병주;성은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86-392
    • /
    • 2016
  • Background: Sorghum is a major cereal food crop us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It has been grown on a subsistence level by farmers, under various conditions of environmental stresses in the semi-arid tropics of Africa and Asia. This plant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because of its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in the blood, and its anti-dementia,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It is possible to develop a functional and commercially viable sorghum variety by using superior cultivars of sorghu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database of superior sorghum accession. Methods and Results: We used 250 sorghum access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geographical bioregions in Korea. We determined various agronomic characters including germination rate and ear length of these accessions.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capacity, we measured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Accession 189 showed higher germination (> 80%) than the other accessions. Higher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observed in 11-SB-078 ($RC_{50}$; $1.89{\pm}2.88{\mu}g/m{\ell}$), and higher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recorded in 11-SB-116 ($RC_{50}$; $35.48{\pm}2.42{\mu}g/m{\ell}$) than in the other accessions. The ear length ranged from 15 cm to 48 cm, the total phenolic contents ranged from $3mg{\cdot}GAE/g$ to $77mg{\cdot}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ranged from $0.09mg{\cdot}QE/g$ to $1.07mg{\cdot}QE/g$. Conclusions: Among 250 sorghum accessions, we selected 10 with both superior agronomic characters and highly functional food quality.

국내 최초의 자식성 호밀 품종 '중모2509' ('Jungmo2509', the First Rye Cultivar of Self-Fertility in the Korea)

  • 한옥규;김진진;김대욱;구자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77-83
    • /
    • 2021
  • '중모2509'는 국내의 재배환경에 어울리고, 조사료용이지만 종자가 균일하여 식용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국내 최초의 자식계 호밀 품종이다. 품종은 1999년도에 자가불화합성으로 타식성 품종인 '올호밀'을 모본으로 하고, 자가화합성으로 자식계인 'Synthetic II'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만들었다. '중모2509'는 중간 크기의 녹색이고 다소 긴 잎, 황백색 줄기와 작고 황갈색인 종실을 가졌다. '중모2509'는 출수기가 4월 23일로 기존의 타가 수정 품종인 '곡우'의 4월 18일보다 5일 늦지만, 내한성·습해·병해는 대등하였으며, 도복은 강하였다. 건물수량은 ha당 7.60톤(생초수량 35.2톤)이고, 종실수량이 2.08톤으로 '곡우'보다 적었다. 그러나 자식에 의해 종자가 생산된 자식률은 56 %로, 자식에 의해 임실이 되지 않은 '곡우'와 대조되었다. '중모2509'는 조단백질 함량(9.4 %), 가소화영양소총량(55.7 %)이 표준품종인 '곡우'(8.0 %, 55.0 %) 보다 높았다. '중모2509'는 초형이 직립이고 내도복성이기 때문에 밀식 기계화 재배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향후 이 품종은 순도 높고 종실수량이 많은 식용 및 조사료용 호밀 품종육성을 위한 중간모본으로 활용과 더불어 고품질 원료의 요구도가 높은 식가공 분야에 균일·안정성이 확보된 국내산 호밀 종자로 제공이 기대된다.

내한 내도복 다수성 조사료용 트리티케일 품종 '광영' 개발 ('Gwangyoung', Forage Triticale Cultivar of Winter Hardiness, Resistance to Lodging and High-Yielding)

  • 한옥규;구자환;박종호;김진진;우제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15
    • /
    • 2021
  • 트리티케일 품종 '광영'은 2018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광영'은 폭이 넓고 길이가 중간 정도인 녹색잎과 황갈색이면서 중간 길이의 이삭, 크기가 크고 황갈색인 종실을 가졌다. '광영'은 표준품종인 '신영'과 비교할 때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22일로 같았고, 내한성·내도복성·내병성도 같은 수준이었으며, 지상부의 잎 비율이 27.5 %로 '신영'의 21.2 % 보다 높았다. 생초수량은 ha당 평균 50.0톤, 건물수량은 평균 17.6톤으로 '신영'의 각각 47.0톤, 17.1톤에 비해 높았다. 품질특성으로 '광영'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3 %로 다소 낮았고, NDF 및 ADF 함량도 각각 58.2 %와 34.9 %로 다소 높았으며, TDN 함량은 61.3 %로 약간 낮았으나, 사일리지 등급은 1등급이었다. '광영'은 종실 수량이 ha당 6.03톤을 보였다.

숙기가 빠르고 종실 수량이 많은 트리티케일 신품종 '신성' (A New Early-Heading, High-Yielding Triticale Cultivar for Forage, 'Shinseong')

  • 한옥규;박형호;박태일;오영진;송태화;김대욱;채현석;홍기흥;배정숙;김기수;윤건식;이성태;구자환;권순종;안종웅;김병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2-149
    • /
    • 2016
  • '신성'은 2015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계통은 1998년 멕시코의 국제밀옥수수연구소(CIMMYT)에서 'ASNO'와 'ARDI_3'의 잡종에 'RIZO_7'을 교잡한 잡종과 'RONDO'과 'ERIZO_11'를 교잡한 잡종에 'KISSA_4'를 교잡한 잡종 간의 복교잡을 실시하여 작성되었으며, 고세대 계통인 'CTSS98Y00019S-0MXI-B-3-3-5'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계통은 숙기가 빠르고 건물수량이 많아 '익산4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에 걸쳐 제주, 익산, 청원, 예산, 강진, 대구 및 진주 등 7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익산47호'는 기존품종에 비해 출수가 빠르고, 도복과 습해 등 내재해성이 강하며, 종실 생산성이 우수하여 2015년 8월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직무육성품종으로 결정되었고, 품종명이 '신성'으로 명명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신품종 '신성'은 담녹색 잎, 황색 줄기, 갈색의 종실을 가졌다.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24일로 표준품종인 '신영' 보다 3일 빨랐다. '신성'은 '신영'과 대등하게 한해와 도복에 강하였으며, 습해, 흰가루병 및 잎녹병 등에 저항성이었다.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5톤으로 15.5톤인 '신영'에 비해 3% 낮았다. '신성'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6.7%로 높았으며, NDF, ADF 및 TDN도 각각 34.6%, 58.6%, 61.6%으로 '신영'과 대등한 수준이었다. '신성'은 '신영'에 비해 1수립수, $m^2$당 수수가 많고 $1{\ell}$중이 무거워 종실수량이 ha당 7.2톤으로 '신영'의 5.8톤 보다 25%가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