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및 치아모형 연구 (A cephalometric and dental cast study of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정미라;남기영;김종배;권오원;황상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6
    • /
    • 2006
  •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도중 주기적으로 호흡이 멈추는 증상을 말한다. 상악과 하악이 후퇴되어 있거나 하악이 작으며 수평적으로 기도 폭경이 좁고 혀가 후방에 위치하는 등 폐쇄성 수면 무호흡 환자의 전후방적인 악골 및 연조직 특성에 대한 평가는 많았으나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여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환자의 골격적 특징과 악궁의 폭경과 구개깊이와 수면무호흡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의료원 수면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수면다원검사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치아모형이 갖추어진 38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수면무호흡지수와 체질량지수를 비교하였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악궁의 횡폭경, 구개깊이, 수직피개량 및 수평피개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수면무호흡군에서 상기도 폭경은 좁고, 하기도 폭경은 넓은 경향이 있었다. 수면무호흡지수와 상기도 폭경은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하기도 폭경은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수면무호흡지수가 클수록 하악 하연으로터 설골까지의 거리도 멀었다.

Angle 1급 부정교합 아동의 안면두개골 형태의 유형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SUB-GROUPINGS IN KOREAN CHILDREN WITH CLASS I MALOCCLUSIONS : A COUNTERPART ANALYSIS)

  • 이정옥;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2-184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morphologic sub-groupings in Korean children with Class I malocclusions, and to find out anatomic differences between the sub-groups. Standardize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152 Korean children, aged between 6 and 12 years, with Class I malocclusions were analyzed by the Counterpart Analysis. A statistical method, Ward's Minimum Variance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to divide the sample into sub-groups those with similar morpholog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appeared two facial types, Type I and Type II, in Korean children with Class I malocclusions, 48.7% and 51.3%, respectively. 2. In both sub-groups, there existed strong Class III skeletal patterns due to a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iddle Cranial Fossa alignment, and strong Class II skeletal patterns due to the long Posterior Maxillary vertical dimension and a clockwise rotation of the Ramus alignment.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pper Anterior Facial Height between Type I and Type II, $52.6{\pm}2.92mm\;and\;52.8{\pm}3.23mm$, respectively. 4. The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in Type II was longer ($66.0{\pm}4.03mm$) due to the long Posterior Maxillary vertical dimension,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Ramus alignment, and a 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ular plane alignment than that of Type I ($64.2{\pm}4.15mm$).

  • PDF

기능성 및 골격성 전치부 반대교합 환자의 형태학적 차이점에 관한 연구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functional and skeletal anterior cross-bite patients)

  • 유임학;김태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39-445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및 골격성 전치부 반대교합 환자에 대한 형태학적 차이점을 비교하는 것이다. 전치부의 기능성 반대교합을 보이는 28증례와 골격성 반대교합을 보이는 31증례를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9.6{\pm}1.8$세와$9.9{\pm}1.9$세이었다.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두 군간의 형태학적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49개 항목에 대한 계측 및 통계학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계측항목 중 cranial deflection, maxillary depth, ANB, convexity, NPo-AB, APDI, Mx 1-SN, Mx 1-NA angle, Mx 1-NA, Md 1-NB angle and Md 1-NB에서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 실험군에서는 Class III로의 성장 가능성, 상악골의 전방위치, 상하악골간의 전후방적 부조화 감소, 상악 중절치의 후퇴, 직립 및 하악 중절치의 전돌, 순측경사를 보였다.

  • PDF

한국인 성인 하악각에 대한 두부계측 방사선학적 연구 (THE CEPHALOMETRIC STUDY OF KOREAN MANDIBULAR ANGLE)

  • 박정하;황경균;김용재;우순섭;유임학;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26-231
    • /
    • 2003
  • The contour of mandibular angle is important for facial esthetics in the oriental population, because the wide and square face is thought to have had an unhappy life. A prominent mandibular angle produces a characteristics quardrangle, coase, and muscular appearance. So, uni- or bi-lateral mandibular angle reduction is usually performed. However, there is little guideline for bi-lateral angle reduction. So,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Korean mandibular angle for bi-lateral mandibular angle reduction as guideline. This study was included 66 adult men and women over 19 years old who are having the normal mandibular angle. We measured the posterior border, angle, and inferior border of mandible using cephalometric view. The results of study was as followed : 1. The ratio of posterior mandible was 96.6, 97.3% in male, and 103.0, 106.0% in female. 2. The ratio of mandibular angle(R1-Go/R1-R2) was 120.2% in male, and 117.3% in female. 3. The ratio of inferior mandible(D5, 6, 7, E, F, G/D4) was 97.3, 90.9, 79.5, 65.2, 57.8, 46.9% in male, and 98.5, 91.2, 80.5, 67.6, 59.1, 50.2% in fem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useful to decide accurate amount of reduction.

수직적으로 긴 안모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징 (Characteristics of Skeletodental Pattern in High Angle Cases)

  • 김상철;강경화;이경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37-946
    • /
    • 1998
  • 전치부 개교를 동반하는 수직적으로 긴 안모는 임상교정에서 치료하기 어려운 증례중 하나이다. 이런 증례의 특징을 찾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골격 및 치성 요소에 대한 개별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일관된 설명 없이 혼돈 만 초래하게 되었을 뿐이다. .수직적으로 긴 안모의 두부방사선계측학적 륵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Sn-GoGn 각에 따라 구분된 109개의 치료 전 두부방사선사진 (35 수직군, 37 평균군, 37 수평군)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견하였다. 수직적으로 긴 안모일수록 전안모고경, 특히 하전안모고경이 증가하며 후안모고경은 짧아지고, 모든 치조골, 특히 상악에서 의 두께가 깊어진다. 또한 모든 골격적 각계측항목이 커지는데 특히 lower genial angle의 상관성이 컸다. 한편 상악 전치는 점점 설측경사되었고 하악 전치는 순측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radiographic images acquired with CdTe, CCD and CMOS detectors in skull radiography

  • Queiroz, Polyane Mazucatto;Santaella, Gustavo Machado;Lopes, Sergio Lucio Pereira de Castro;Haiter-Neto, Francisco;Freitas, Deborah Queiroz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4호
    • /
    • pp.339-346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age quality, diagnostic efficacy, and radiation dose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cadmium telluride (CdTe) detector, compared to charge-coupled device (CCD) and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CMOS) detectors. Materials and Methods: Lateral cephalographs of a phantom (type 1) composed of synthetic polymer filled with water and another phantom (type 2) composed of human skull macerated with polymer coating were obtained with CdTe, CCD, and CMOS detectors. Dosimeters placed on the type 2 phantom were used to measure radiation. Noise levels from each image were also measured. McNamara cephal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the dentoskeletal configurations were assessed, and a subjec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was conducted. Parametric data were compared via 1-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Tukey post-hoc test,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5%. Subjective image quality and dentoskeletal configuration were described qualitatively.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images obtained with the 3 detectors(P<0.05), with the lowest noise level observed among the images obtained with the CdTe detector and a higher subjective preference demonstrated for those images. For the cephalometric analyse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observed, and perfect agreement was seen with regard to the classifications obtained from the images acquired using the 3 detectors. The radiation dose associated with the CMOS detector was higher than the doses associated with the CCD (P<0.05) and CdTe detectors(P<0.05). Conclusion: Considering the evaluated parameters, the CdTe detector is recommended for use in clinical practice.

Relationship between rotational disc displac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the dentoskeletal morphology

  • Park, So-Hyun;Han, Won-Jeong;Chung, Dong-Hwa;An, Jung-Sub;Ahn, Sug-Joo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5-114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otational disk displacement (DD)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nd the dentoskeletal morphology. Methods: Women aged > 17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had a primary complaint of malocclusion and underwent routine cephalometric examinations. They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findings on sagittal and coronal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ir TMJs: bilateral normal disk position, bilateral anterior DD with reduction (ADDR), bilateral rotational DD with reduction (RDDR), bilateral anterior DD without reduction (ADDNR), and bilateral rotational DD without reduction (RDDNR). Twenty-three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the dentoskeletal morphology among the five groups. Results: Patients with TMJ DD exhibited a hyperdivergent pattern with a retrognathic mandible, unlike those with a normal disk position. These specific skeletal characteristics were more severe in patients exhibiting DD without reduction than in those with reduc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rotational DD. Rotational DD significantly influenced horizontal and vertical skeletal patterns only in the stage of DD with reduction, and the mandible exhibited a more backward position and rotation in patients with RDDR than in those with ADDR.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entoskeletal differences between ADDNR and RDDN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otational DD of TMJ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ntoskeletal morphology, particularly in patients showing DD with reduction.

Comparison of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Essix and Hawley retainers

  • Demir, Abdullah;Babacan, Hasan;Nalcaci, Ruhi;Topcuoglu, Tolg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255-262
    • /
    • 2012
  • Objective: We aimed to compare the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Essix and Hawley retainers. Methods: Adolescents undergoing fixed appliance treatment at 2 cent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wenty-two patients (16 women and 6 men) wore Essix retainers (Essix group) while 20 (14 women and 6 men) wore Hawley retainers (Hawley group). The mean retention time was 1 year, and the mean follow-up recall time for both groups was 2 years. Two qualified dental examiners evaluated the blind patient data. Maxillary and mandibular dental casts and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t 4 stages: pretreatment (T1), post-treatment (T2), post-retention (T3), and follow-up (T4).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Essix appliances were more efficient in retaining the anterior teeth in the mandible during a 1-year retention period. The irregularity index increased in both arches in both groups after a 2-year post-retention period. The mandibular arch lengths increased during treatment and tended to return to their original value after retention in both groups; however, these chan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Hawley group. Cephalometric variab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The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both Essix and Hawley retainers are similar.

상악 측절치 결손이 어린이 안면골격과 치열궁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Agenesis on Skeletodental Characteristics in Mixed Dentition)

  • 남시연;신종현;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7-157
    • /
    • 2019
  • 이 연구는 상악 측절치 선천결손을 보이는 초기 혼합치열기 아동의 골격 및 치아치조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진단 및 치료를 목적으로 내원한 초기 혼합치열기의 상, 하악 유견치가 모두 존재하는 아동 중, 상악 측절치를 제외한 나머지 치아 결손이 없는 38명의 상악 측절치 결손군과 대상 기준을 만족시키는 동일한 치령의 대조군 38명을 선정하였다. 각 군의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분석과 모형 분석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상악 측절치 결손군의 골격 및 치아치조 특성을 평가하였다. 성별에 따른 결손의 총 비율은 남아가 더 높았고 편측 결손군에서는 남아의 비율이 더 높았지만 양측 결손군에서는 여아의 비율이 더 높았다. 모형 분석에서 결손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악 전방부 폭경 대 장경 비가 크게 나타났고(p = 0.003), 총악궁둘레는 작게 나타났다(p = 0.04). 측모 두부계측 방사선분석 결과, 골격 및 치아적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조직 외형에서 결손군이 대조군에 비해 nasolabial angle이 큰 값을 나타냈다(p = 0.039). 상악 측절치 결손 아동의 골격 및 치아치조 특징에 유념하여 뚜렷한 안모 및 기능 이상을 보이기 이전에 조기 진단 후 적절한 관리를 통해 기능적 결함의 가능성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추천된다.

과두흡수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사진 평가 및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Clinical Assessment, Panoramic and MRI Findings and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Condylar Resorption)

  • 장헌수;허윤경;김균요;고유정;채종문;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4호
    • /
    • pp.409-420
    • /
    • 2009
  • 2006년 한 해 동안 경북대학교 구강내과에 내원한 하악과두흡수 환자 중에 MRI를 촬영한 42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와 관절원판의 위치와 과두의 흡수 형태를 조사했으며 그리고 악안면 골격형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 평가 1) 여자가 34명, 남자가 8명으로 여자가 훨씬 많았으며, 이들의 연령분포는 10대가 14명, 20대가 13명, 30대가 7명, 40대가 3명, 50대가 4명 그리고 60대가 1명 이었고 10대와 20대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 대부분의 환자가 이상기능활동을 보고했다. 3) 다른 관절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5명 있었지만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 받은 경우는 없었다. 2. 파노라마와 자기공명영상 소견에 대한 평가 1) 파노라마로 하악과두 골변화 관찰시에 과두의 편평화나 침식, 과두형태의 변형이 초래된 Grade II에 해당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 MRI를 촬영해 관절원판의 변위 여부와 과두형태 변화를 관찰 시에 비정복성 관절원판전위소견과 퇴행성 골변화가 동반된 stage IV에 해당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3. 악안면 골격 형태 평가 1) 여자 환자에서는 SN, SAr, saddle angle의 값이 정상군 보다 유의하게 작은 값을 나타냈고, 남자에서는 SN만이 유의한 작은 값을 보였다. 2) SNA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SNB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하게 작은 값, ANB는 남녀 모두에서 $4.9^{\circ}$로 유의한 큰 값을 보였다. 3) 남녀 모두 SN-GoMe, FMA의 각도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컸으며 FMA는 남자는 평균 $28.9^{\circ}$, 여자는 평균 $31.2^{\circ}$로 여자에서 수직적 성장이 더 크게 나타났다. 4) 총후안면고경(TPFH)은 남녀 모두 유의한 작은 값을 보였다. 5) Ramus height은 남녀 모두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6) Mandibular body length는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들 결과들로 하악과두흡수는 소인인자로 수직적 악안면 골격형태로 인한 부하의 집중과 이상기능활동 증가로 측두하악 관절에 기계적 과부하가 가해져 과두흡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부하는 과두흡수가 발생하기 전에 관절원판을 변위시키고 형태를 변화시키며 이로써 관절은 부하를 받아들이기에 더 취약한 구조가 되어 부하가 가해지면 과두흡수가 촉진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