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ized Monitoring System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4초

분산 다중 센서 기반 실험실 안전 관리 시스템 (Distributed Multi-Sensor based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

  • 황도연;김황룡;김은성;정대진;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5-58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형이 아닌 분산 환경에서 시약장 내부 환경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의 식별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분산 제어가 가능한 분산 IoT 센서 기반 안전 실험실 관리 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시약장 내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해 다중센서를 적용한다. 또한 이와 같은 시약장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실험실에 대하여 관리자의 히스토리 분석 기반의 자동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

DB 보호를 위한 Protocol Redirection기반 트래픽 중앙통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raffic Centralized Control System Based on Protocol Redirection for DB Protection)

  • 서양진;이재필;박천오;이덕규;장항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212-1220
    • /
    • 2010
  • 국내의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Port Redirection 서버를 통해 주소 변환 정보를 받아 사용자의 트래픽을 변환시키는 기술은 미비하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비에서 구현되는 기술로써 네트워크 장비를 경유하여 입출력되는 트래픽에 대해 특수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의 일부이다. 이러한 특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L4 Switch 장비와 네트워크 구조에 따라 여러 대의 추가적인 비용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Network Layer에서 L4 스위치의 Redirection기능을 구현하여 네트워크 구조에 관계없이 원하는 Traffic을 한 곳으로 집중시켜 통제와 모니터링을 중앙 집중하여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lient 단에서의 Protocol Redirection을 통한 트래픽의 중앙통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Smart City Energy Inclusion, Towards Becoming a Better Place to Live

  • Cha, Sang-Ryong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8권1호
    • /
    • pp.59-70
    • /
    • 2019
  • Where is a better place to live? In the coming era, this should be more than simply a livable place. It should be an adaptable place that has a flexible system adaptable to any new situation in terms of diversity. Customization and real-time operation are needed in order to realize this technologically. We expect a smart city to have a flexible system that applies technologies of self-monitoring and self-response, thereby being a promising city model towards being a better place to live. Energy demand and supply is a crucial issue concerning our expectations for the flexible system of a smart city because it is indispensable to comfortable living, especially city living. Although it may seem that energy diversification, such as the energy mix of a country, is a matter of overriding concern, the central point is the scale of place to build grids for realizing sustainable urban energy systems. A traditional hard energy path supported by huge centralized energy systems based on fossil and nuclear fuels on a national scale has already faced difficult problems, particularly in terms of energy flexibility/resilience. On the other hand, an alternative soft energy path consisting of small diversified energy systems based on renewable energy sources on a local scale has limitations regarding stability, variability, and supply potential despite the relatively light economic/technological burden that must be assumed to realize it. As another alternative, we can adopt a holonic path incorporating an alternative soft energy path with a traditional hard energy path complimentarily based on load management. This has a high affinity with the flexible system of a smart city. At a system level, the purpose of all of the paths mentioned above is not energy itself but the service it provides. If the expected energy service is fixed, the conclusive factor in choosing a more appropriate system is accessibility to the energy service. Accessibility refers to reliability and affordability; the former encompasses the level of energy self-sufficiency, and the latter encompasses the extent of energy sav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seems that the small diversified energy systems of a soft energy path have a clear advantage over the huge centralized energy systems of a hard energy path. However, some insuperable limitations still remain, so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both energy systems continuing to coexist in a multiplexing energy system employing a holonic path to create and maintain reliable and affordable access to energy services that cover households'/enterprises' basic energy needs. If this is embodied in a smart city concept, this is nothing else but smart energy inclusion. In Japan, following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2011, a trend towards small diversified energy systems of a soft energy path intensified in order to realize a nuclear-free society. As a result, the Government of Japan proclaimed in its Fifth Strategic Energy Plan that renewable energy must be the main source of power in Japan by 2050. Accordingly, Sony vowed that all the energy it uses would come from renewable sources by 2040. In this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smart energy inclusion will be achieved by the Japanese version of a smart grid based on the concept of a minimum cost scheme and demand response.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한 공간 분할 기법 (A Spatial Split Method for Processing of Region Monitoring Queries)

  • 정재우;정하림;김응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7-76
    • /
    • 2018
  • 본 논문은 영역 모니터링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에 대해서 다룬다. 기존의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해서 사용된 중앙 집중식 기법은 이동 객체가 서버에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업데이트를 전송하고, 서버가 질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많은 양의 위치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최근,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한 몇 가지 분산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분산 기법에서 서버는 각 이동 객체에게 I) 작업 공간의 서브 공간인 상주 도메인과 ii) 몇 개의 인접 질의 영역을 할당한다. 각 이동 객체는 상주 도메인을 벗어나거나 질의 영역의 경계를 가로지를 경우에만 서버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송한다. 상주 도메인 및 인접 질의 영역을 이동 객체에 할당하기 위해서 서버는 작업 공간을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반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질의 색인 구조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색인 구조는 불필요한 분할이 발생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불필요한 분할을 줄이기 위해서 적응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적응 분할 기법은 I) 질의 영역과 결과 서브 공간의 공간적 관계와 ii) 질의 영역의 분포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작업 공간을 분할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색인 구조인 QR-tree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분할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된 분할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했다.

윈도우 운영체제 상의 사용자 행위 추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 Tracing User Activities in the Windows Operating System)

  • 정창성;김영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1-114
    • /
    • 2011
  • 산업스파이 및 악의적인 내부 이용자에 의한 기업 내부 핵심 정보유출 사건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듯, 감사 및 로그 보안기술의 중요성이 한층 부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중요 정보를 처리하는 운영체제에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행위를 면밀히 감시 및 분석하여, SOX 법안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기업 내부통제를 위한 세션로깅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운영체제에 접속한 사용자의 불법적인 행위를 모니터링하고, 그 행위 과정의 세부 로그를 통해 명확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 제안한 별도의 여러 서비스를 추가하여 운영체제를 변경하는데,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의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서 접근을 제어하고 로그를 획득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서버에 접속한 관리자 및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세션 로그를 중앙 집중적으로 저장, 관리하고 해당 로그에 대한 검색 및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SOX 법안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기업 내부통제를 위한 컴퓨터 포렌식 시스템 및 로그 기술을 제안한다.

SNMP 기반 네트워크관리를 위한 적응형 네트워크 모니터링 방법 (Adaptive Network Monitoring Strategy for SNMP-Based Network Management)

  • Cheon, Jin-young;Cheong, Jin-ha;Yoon, Wan-oh;Park, Sang-bang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2C호
    • /
    • pp.1265-1275
    • /
    • 2002
  •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서는 SNMP를 기반으로 하는 중앙 집중형 방법과 모빌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분산형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 매니저는 실시간으로 이를 관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SNMP에서는 매니저가 주기적으로 에이전트에 질의를 보낼 수 있어 주로 폴링을 사용한다. 그러나 폴링에서는 정보 전송을 위해서 매번 요구와 응답의 두 메시지 전송이 필요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한다. 본 논문은 SNMP 기반 네트워크 관리에서 기존의 폴링 방법과 비교하여 트래픽을 줄이면서 여러 에이전트를 충실히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적응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각 에이전트가 정보의 시간적 변화량에 따라 최적의 에이전트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하고, 매니저는 이 주기들을 취합하여 모니터링에 의한 부하가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의 일정 부분 이하가 되도록 모니터링 주기를 결정한다. 에이전트는 매니저로부터 받은 모니터링 주기에 따라 스스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존의 폴링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트래픽 부하로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하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그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모니터링의 충실도와 트래픽 면에서 일반적인 폴링방법과 비교하였다.

Rule-Based Anomaly Detection Technique Using Roaming Honeypots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Gowri, Muthukrishnan;Paramasivan, Balasubramanian
    • ETRI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1145-1152
    • /
    • 2016
  • Because the node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re mobile and the network is highly dynamic, monitoring every node at all times is impractical. As a result, an intruder can attack the network easily, thus impairing the system. Hence, detecting anomalies in the network is very essential for handling efficient and safe communication. To overcome these issu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ule-based anomaly detection technique using roaming honeypots. Initially, the honeypots are deployed in such a way that all nodes in the network are covered by at least one honeypot. Honeypots check every new connection by letting the centralized administrator collect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new connection by slowing down the communication with the new node. Certain predefined rules are applied on the new node to make a decision regarding the anomality of the node. When the timer value of each honeypot expires, other sensor nodes are appointed as honeypots. Owing to this honeypot rotation, the intruder will not be able to track a honeypot to impair the networ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is technique can efficiently handle the anomaly detection in a WSN.

협업기반 상황인지를 위한 u-Surveillance 다중센서 스테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ulti-Sensor Station for u-Surveillance to Collaboration-Based Context Awareness)

  • 유준혁;김희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780-786
    • /
    • 2012
  • Surveillance has become one of promising application areas of wireless sensor networks which allow for pervasive monitoring of concerned environmental phenomena by facilitating context awareness through sensor fusion. Existing systems that depend on a postmortem context analysis of sensor data on a centralized server expose several shortcomings, including a single point of failure, wasteful energy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data transfer as well as deficiency of scalability. As an opposite direction, this paper proposes an energy-efficient distributed context-aware surveillance in which sensor nodes i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collaborate with neighbors in a distributed manner to analyze and aware surrounding context. We design and implement multi-modal sensor stations for use as sensor nodes in our wireless sensor network implementing our distributed context awareness. This paper presents an initial experimental performance result of our proposed system. Results show that multi-modal sensor performance of our sensor station, a key enabling factor for distributed context awareness, is comparable to each independent sensor setting. They also show that its initial performance of context-awareness is satisfactory for a set of introductory surveillance scenarios in the current interim stage of our ongoing research.

Integrated Object Detection and Blockchain Framework for Remote Safety Inspection at Construction Sites

  • Kim, Dohyeong;Yang, Jaehun;Anjum, Sharjeel;Lee, Dongmin;Pyeon, Jae-ho;Park, Chansik;Lee, Doyeop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36-144
    • /
    • 2022
  • Construction sites are characterized by dangerou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at cause fatal accidents. Potential risk detection needs to be improved by continuously monitoring site conditions. However, the current labor-intensive inspection practice has many limitations in monitoring dangerous conditions at construction sites. Computer vision technology that can quickly analyze and collect site conditions from images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solution. Nonetheless, inspection results obtained via computer vision are still stored and managed in centralized systems vulnerable to tampering with information by the central node. Blockchain has been used as a reliable and efficient decentraliz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Despite its potential, only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tegrating computer vision and blockchain. Therefore, to solve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problems, the authors propose a framework for construction site inspection that integrates object detection and blockchain network, enabling efficient and reliable remote inspection. Object detection is applied to enable the automatic analysis of site safety conditions. As a result, the workload of safety managers can be reduced with inspection results stored and distributed reliably through the blockchain network. In addition, errors or forgery in the inspection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prevented and verified through a smart contract. As site safety conditions are reliably shared with project participants, project participants can remotely inspect site conditions and make safety-related decisions in trust.

  • PDF

분산 IoT센서 기반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 (Distributed IoT Sensor based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

  • 정대진;김재윤;배상중;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0-96
    • /
    • 2019
  • 최근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시약장은 IoT 기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내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서버 내에서 위험상황을 식별하고 기기들에게 동작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앙 집중형 관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시약장에서 측정되는 센서 데이터들을 전송받고 처리하게 될 경우 시약장의 수가 증가할 때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형이 아닌 분산 환경에서 시약장 내부 환경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의 식별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분산 제어가 가능한 분산 IoT 센서 기반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이와 같이 분산형 제어가 가능한 센서 모듈을 이용한 시약장 내부 환경 제어 통해 위험상황에 대한 식별 및 대처를 자동으로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시약장과 실험실을 관리하는 시스템들보다 신속한 대처 및 안전관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