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patial Split Method for Processing of Region Monitoring Queries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한 공간 분할 기법

  • Chung, Jaewoo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Jung, HaRim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 Kim, Ung-Mo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17.08.27
  • Accepted : 2017.11.23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efficient processing of region monitoring queries. The centralized methods used for existing region monitoring query processing assumes that the mobile object periodically sends location-updates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ontinues to update the query results. However, a large amount of location updates seriously degrade the system performance. Recently, some distributed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region monitoring query processing. In the distributed methods, the server allocates to all objects i) a resident domain that is a subspace of the workspace, and ii) a number of nearby query regions. All moving objects send location updates to the server only when they leave the resident domain or cross the boundary of the query region. In order to allocate the resident domain to the moving object along with the nearby query region, we use a query index structure that is constructed by splitting the workspace recursively into equal halves. However, However, the above index structure causes unnecessary division,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system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split method to reduce unnecessary splitting. The workspace splitting is dynamically allocated i) consider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query region and the resultant subspace, and ii) the distribution of the query region. We proposed an enhanced QR-tree with a new splitting method. Through a set of simulations, we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split methods.

본 논문은 영역 모니터링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에 대해서 다룬다. 기존의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해서 사용된 중앙 집중식 기법은 이동 객체가 서버에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업데이트를 전송하고, 서버가 질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많은 양의 위치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시스템 성능을 크게 저하시킨다. 최근, 영역 모니터링 질의 처리를 위한 몇 가지 분산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분산 기법에서 서버는 각 이동 객체에게 I) 작업 공간의 서브 공간인 상주 도메인과 ii) 몇 개의 인접 질의 영역을 할당한다. 각 이동 객체는 상주 도메인을 벗어나거나 질의 영역의 경계를 가로지를 경우에만 서버에게 자신의 위치를 전송한다. 상주 도메인 및 인접 질의 영역을 이동 객체에 할당하기 위해서 서버는 작업 공간을 반복적으로 동일하게 반으로 분할하여 생성되는 질의 색인 구조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색인 구조는 불필요한 분할이 발생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불필요한 분할을 줄이기 위해서 적응 분할 기법을 제안한다. 적응 분할 기법은 I) 질의 영역과 결과 서브 공간의 공간적 관계와 ii) 질의 영역의 분포를 고려하여 동적으로 작업 공간을 분할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색인 구조인 QR-tree에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분할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 된 분할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했다.

Keywords

References

  1. S. Ilarri, E. Mena, and A. Illarramendi, "Location-Dependent Query Processing: Where We Are and Where We Are Heading," ACM Computing Surveys, 42 (3), pp. 1-73, 2010. http://dx.doi.org/10.1145/1670679.1670682
  2. Y. Cai, K. A. Hua, G. Cao, and T. Xu, "Real-Time Processing of Range- Monitoring Queries in Heterogeneous Mobile Databases," IEEE Trans. on Mobile Computing, 5(7), pp. 931-942, 2006. http://dx.doi.org/10.1109/TMC.2006.105
  3. H. Jung, Y. S. Kim, and Y. D. Chung,, "QR-tree: An efficient and scalable method for evaluation of continuous range queries," Information Sciences, 274, pp. 156-176, 2014. https://doi.org/10.1016/j.ins.2014.02.061
  4. M. A. Cheema, L. Brankovic, X. LIN, W. Zhang, and W. Wang, "Continuous Monitoring of Distance-Based Range Queries," IEEE Tra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 23, no. 8, pp.1182-1199, Aug. 2011. http://dx.doi.org/10.1109/TKDE.2010.246
  5. B. Gedik, and L. Liu, "Mobieyes: A Distributed Location Monitoring Service Using Moving Location Queries," IEEE Trans. on Mobile Computing, vol. 5, no. 10, pp. 1384-1402, Oct. 2006. http://dx.doi.org/10.1109/TMC.2006.153
  6. H. Jung, M. Song, H. Y. Youn, and U. M. Kim, "Evaluation of Content-Matched Range Monitoring Queries over Moving Objects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Sensors, vol. 15, no. 9, pp. 156-176, Sept. 2015. http://dx.doi.org/10.3390/s150924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