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Plant Equipmen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18초

지역난방용 매설배관의 열응력 흡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bsorption of Thermal Stress on the Underground piping for the District heating)

  • 공재향;신병국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81-88
    • /
    • 2005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generation equipment and plant piping, but there is no significant study result on the heat transportation pipe. As such, this study established basic theory on the compensated method among buried pipe for regional heating, and further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applying the conditions of AGFW and NCHPP respectively in calculation of friction and maximum installation distance for the buried pipe. Fri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typ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soil, friction and maximum installation distance were compared to set the application value of fri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works. Calculation formula of clay load to be applied for calculation of friction was introduced to the formula of AGFW and the formula of NCHPP that has been used in Nowon district since 1997 to determine the difference and applicability. $120^{\circ}C$ and $95^{\circ}C$ were applied in temperature difference for expansion volume to compare the arm length at the curve pipe so thai it can be reflected in the design in the future. Maximum installation distance according to thickness of pipe was compared to present the necessity of unified specification so that same kinds of pipe materials can be used for same kinds of works.

분자체를 이용한 LNG 액화 플랜트 탈수 공정의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Dehydration Process of LNG Liquefaction Plant Using Molecular Sieve)

  • 박종화;유돈상;조대명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105-113
    • /
    • 2024
  • The natural gas dehydration process plays a central role in liquefying LNG. This study proposes two natural gas dehydration process systems applicable to liquefied natural gas (LNG) liquefaction plants, and compares and analyzes energy optimization measures through simulation. The fuel gas from feed stream (FFF) case, which requires additional equipment for gas circulation, disadvantages are design capacity and increased energy. On the other hand, the end flash gas (EFG) case has advantages such as low initial investment costs and no need for compressors, but has downsides such as increased power energy and the use of gas with differen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ocess simulation results, the required energy is 33.22 MW for the FFF case and 32.86 MW for the EFG case, confirming 1.1% energy savings per unit time in the EFG case. Therefore, in terms of design pressure, capacity, device configuration, and required energy, the EFG case is relatively advantageou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impact of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regenerated gas on the liquefaction process and the fuel gas system.

원전의 내환경기기검증 화학환경 및 핵분열생성물 제거능력 평가 (Analysis of EQ pH Condition and Fission Product Removal Capability for Nuclear Power Plant)

  • 송동수;하상준;성제중;전황용;허성철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186-190
    • /
    • 2014
  • 원자력발전소는 냉각재상실사고(LOCA)와 같은 과도상태시 pH 조절을 통해 격납건물의 핵분열생성물(요오드) 제거 능력을 유지한다. 이와 더불어 격납건물 내부의 스테인레스강 기기들의 응력부식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을 방지하고 알루미늄 또는 아연 부식에 의한 수소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살수 및 집수조냉각수의 화학조건(pH) 조절능력이 요구된다. 현재 원전은 LOCA시 능동형 살수첨가제인 NaOH를 사용하여 격납건물 살수 및 집수조냉각수의 pH를 조절하도록 설계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LOCA시 집수조냉각수의 pH를 분석하고, 살수화학조건 pH 관련 최신규제요건인 표준심사지침(SRP) 6.5.2에 따라 핵분열생성물제거상수 및 제염계수를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격납건물집수조 pH는 8.09~9.67로서 설계기준을 만족한다. 그리고 격납건물살수계통에 의한 핵분열생성물 제거상수 및 제염계수는 원전 내환경기기검증을 위한 방사선환경 평가의 입력으로 제공된다.

주파수분석법에 의한 발전소 고온배관재료의 크리프손상 평가 (Creep Damage Evaluation of High-Temperature Pipeline Material for Fossil Power Plant by Frequency Spectrum Analysis Method)

  • 이상국;이인철;장홍근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7
    • /
    • 2000
  • 화력발전소 보일러의 주증기관, 헤더, 스팀드럼 등과 같은 주요 고온배관설비에서 발생하는 크리프 손상을 측정하는 비파괴적 측정방법에는 레프리카, 전기저항법 및 경도법 둥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들 방법들은 측정절차 및 준비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접근이 가능한 설비표면에만 적용되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들 종래의 방법을 신뢰성 있고 정량적인 초음파 비파괴평가법으로 보완 및 적용을 위하여, 실제 고온배관의 운전조건을 모의하여 수행한 크리프 인공열화실험 및 이들 크리프손상재에 대한 초음파실험을 통한 주파수분석 연구로서, 크리프손상 상태별 초음파 신호 분류를 위해 초음파신호의 각종 주파수특성을 평가하였다.

  • PDF

Novel Approaches to Clubroot Management in Western Canada

  • Hwang, Sheau-Fang;Strelkov, Stephen E.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9-49
    • /
    • 2015
  • Over the past decade, clubroot has emerged as a major constraint to canola (Brassica napus) production in central Alberta, Canada. The number of fields with confirmed P. brassicae infestations in Alberta has increased steadily from 12 in 2003 to nearly 2,000 in 2014. Management of clubroot on canola has focused on sanitization of field equipment, soil amendments to reduce viable pathogen populations, long rotations out of susceptible crops and cropping of resistant cultivars. Clubroot resistance is the most effective and economical method of disease mitigation, but the recent identification of isolated P. brassicae populations with novel virulence phenotypes capable of overcoming resistance in most canola cultivars highlights the variable nature and adaptability of the pathogen. Recent studies have shown slight reductions in pathogen populations through crop rotations, but much more substantial reductions in spore populations in heavily infested areas near field entrances using fumigants such as Vapam (metam-sodium) or Basamid (dazomet). Greenhouse trials showed that seedling emergence, plant height and root weight increased, while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 and disease severity decreased with increased Basamid dosage. However, field trials showed some phytotoxicity. Application of Vapam at rates of 0.4 to $1.6mL\;L^{-1}$ soil resulted in 12-16 fold reductions in clubroot severity and primary and secondary infection. Vapam also was effective in reducing clubroot severity and improving canola seed yield under field conditions. These studies underscore the need for good resistance stewardship and for the integration of multiple products and practices for successful management of clubroot on canola.

  • PDF

원전 격실에 대한 최적 침수분석 방법 (Optimized Flooding Analysis Method for Compartment for Nuclear Power Plant)

  • 송동수;김상열
    • 에너지공학
    • /
    • 제21권1호
    • /
    • pp.75-80
    • /
    • 2012
  • 본 논문은 원자력발전소의 대형탱크 또는 배관파단에 따른 격실의 침수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최적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원전에 실제로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논문을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급수관파단사고 분석을 위해 RETRAN 전산코드를 사용하였다. 유출수 질량유량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주급수제어밸브가 계통설계에 의거 원자로정지 후 5.0초 만에 닫히는 것으로 모델링하여 분석하였다. 출력 70% 운전시 방출유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출 질량유량을 가지고 침수위를 계산한 결과 주급수관 격실의 최대 침수위는 1.43m로서 이는 안전성기기가 설치된 위치보다 낮아 원전의 안전정지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 내 침적된 산화막 제거를 위한 과망간산/옥살산 기반의 화학제염 공정연구 (Study on Chemical Decontamination Process Based on Permanganic Acid-Oxalic Acid to Remove Oxide Layer Deposited in Primary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 김초롱;김학수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8
    • /
    • 2019
  • 고리 1호기는 원전해체 계획에 따라 영구정지 이후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원자로냉각재계통의 화학제염을 수행할 계획으로, 계통제염 기술 확보를 위해 한수원에서는 2014년부터 '원전 해체설계를 위한 냉각재계통 및 기기제염 상용기술개발' 연구과제를 통해 화학제염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Lab. 규모 계통제염 공정장치를 제작하였으며, 계통제염 대상의 주요재료인 STS304, 316, 410, Alloy600, SA508을 사용하여 화학제염 공정실험을 수행하였다. 화학제염 공정실험의 목적은 산화-환원공정의 최적시간, 최적제염제 및 공정횟수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화학제염 공정실험은 과망간산-옥살산 기반의 단위공정 및 연속공정 실험, 과망간산+질산-옥살산 기반의 연속공정 실험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위공정실험을 통해 최적공정 시간인 산화공정 5시간, 환원공정 4시간을 도출하였으며, 연속공정실험을 통해 최적제염제와 공정횟수를 도출하였다. 최적제염제는 산화제의 경우 $200mg{\cdot}L^{-1}$ 과망간산 + $200mg{\cdot}L^{-1}$ 질산이고, 환원제는 $2000mg{\cdot}L^{-1}$ 옥살산이며, 공정횟수는 STS304와 SA508의 경우 2 cycle, Alloy600의 경우 3 cycle 이상 수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식량작물 생산에 대한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 - 전문가 설문조사 연구 (Development of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for Food Crop Production in Korea-The Path Forward Based on Expert Feedback)

  • 송기은;정재경;조승호;김재윤;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27-40
    • /
    • 2022
  • 정부는 4차산업혁명의 선도사업으로 농업 부분의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사업을 지정하였다. 이에 한국 작물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식량작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작물 분야 및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관련자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은 한국 농업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발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개발에 따른 핵심 인력 양성 및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설비 구축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농업 선진국들의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연구 및 개발 수준은 현장 적용 및 검증 단계, 실용화 단계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개발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고령화나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해선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확산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고 농민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기술 교육이 필요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장비-데이터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소비자와 다른 농산업 현장에도 적용되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은 기후변화 대응, 농업의 친환경성 증진, 노동력 부족의 해소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작물 생산 능력 제고를 통한 식량 안보 강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