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osic Substrate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초

분리균 Pseudomonas sp. LBC-505에 의한 천연섬유소의 당화 (Saccharification of Natural Cellulosic Materials by the Isolated Pseudomonas sp. LBC-505)

  • 이병천;고학룡;정영철;성낙계;문종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1-336
    • /
    • 1991
  • 섬유성 물질을 발효기질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분리균 Pseudomonas sp. LBC-505의 cellulase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천연 섬유성 물질에 대한 당화실험을 행하였다. Cellulase 복합체의 생산은 glucose에 의하여 저해되었고 CMC, avicel, 밀기울, 볏짚 등의 섬유성 물질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55(w/v) 밀기울 배지에서 최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CMCase 와 xylanase의 최적 효소 반응온도는$50^{\circ}C$였으며, $\beta$-glucosidase는 $55^{\circ}C$ 였다. 또한, 이들 효소의 최적 반응 pH 는 모두 6.6이었다. 조효소 단독처리에 의한 천연섬유소의 당화율은 낮게 나타났으나, 5%(v/v) HCl로 실온에서 24시간 전처리한 후 효소반응을 행한 결과 가수분해율이 18.4%(w/w)로 볏집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구성당은 주로 glucose, xylose 및 cellobiose 였다.

  • PDF

농산폐자원의 미생물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육보) 섬유소단세포단백 생산에서의 천연기질의 이용성 (Studies on Microbial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 (Part IV) Cellulosic Waste Materials as Substrate on the Production of Cellulosic Single Cell Protein.)

  • 배무;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23
    • /
    • 1977
  • 섬유소자화세균 Cellulomonas flavigena KIST 321로 섬유소 단세포 단백을 생산하기 위하여 우리주변에서 제기되고 있는 각종 섬유소폐기물을 수집하여 기질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유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하였을 때 cellulose와 rylose에서 균체량이 가장 많았다. 2. 폐지유와 폐의유를 기질로 하였을 때 알카리 전처리를 함으로써 알카리 전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균체량이 많았으며, 폐신문지와 같은 인쇄물에서는 균체량이 적었다. 3. 짚류(straws)를 기질로 하였을 때는 대체로 균체수율이 높았으며, 볏짚, 채종대, 피를 기질로 하였을 때 균체량이 많았다. 4. 목재유의 톱밥에서는 균체량이 적었으나 잎류(leaves)에서는 비교적 많았다. 5. 기질의 종류에 따라 전처리시 NaOH농도를 다르게 하여 균체생산량을 조사하였다. NaOH 농도는 기질의 종류에 따라 최적농도가 달랐으나 짚류(Straws)에서는 0.8∼1.0% 일때가 좋았고, 잎류(leaves)에서는 0.4∼0.6%일때가 좋았다. 6. 각종기질을 알카리 처리후 세척하여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볏짚에서는 균체량이 감소하였으나 소나무 톱밥, 피나무 톱밥, 소나무잎, 폐신문지에서는 증가하였다.

  • PDF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섬유질 기질로부터 L-Lysine 생산균주 개발 -융합조건 및 융합체의 성질 -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from Cellulosic Substrate by the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 Conditions for Fusion and Properties of Fusants-)

  • 성낙계;정덕화;박법규;정영철;전효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81
    • /
    • 1988
  • 섬유소 기질로부터 L-lysine을 생산할 목적으로 Cellulomonas flavigena에 Brevibacterium flavum 및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각각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을 하여 융합조건과 융합체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parental protoplast를 동량으로 혼합한 후 30% PEG 6000으로 3$0^{\circ}C$, 30분간 융합시킨 결과 1.9$\times$$10^{-6}$~2.1$\times$$10^{-6}$의 융합빈도를 얻었고, 134주의 융합체 중 유전적 안정화가 판명되고 CMC 기질로부터 L-lysine 생성능이 인정된 FCB 3 및 FCC 19를 최종 선별하였다. FCB 3 및 FCC 19는 친주보다 DNA 함량이 높을 분 아니라 G+C 함량도 융합전 친주의 G+C 총함량의 약 1/2에 해당하여 반수체로서 안정화되어 있었으며, 그리고 친주와 반대로 CMC 자화능이 있어 CMC로부터 L-lysine을 배지 중에 축적하였다.

  • PDF

효소기질로서의 섬유소의 성질 (Properties of Cellulose as an Enzyme Substrate)

  • Kim, B. H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97-203
    • /
    • 1978
  • 섬유소 또는 이를 함유하는 물질을 원료로 당 혹은 단세포단백질을 생산하고자 하는 수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기질인 섬유소 혹은 이를 함유하는 물질이 구조가 복잡하여 수용성인 일반 효소기질과 달라서 이를 이용하고자하는 연구에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실험실 연구 결과를 실제 응용하는 면에서도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물질의 생물학적 분해에 관계되는 물리 및 화학적인 성질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 PDF

Trichoderma harzianum FJ1의 고체상태배양에 의한 섬유소분해효소의 생산 (Production of Cellulolytic Enzymes by Trichoderma harzianum FJ1 in Solid State Fermentation.)

  • 유승수;김경철;김성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7-263
    • /
    • 2003
  • 고체상태배양에서 섬유소분해효소의 고 생산을 위해 기질로서 다양한 섬유순폐기물을 검토한 결과, 주정박과 볏짚을 1:1의 혼합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13.98 FPA를 얻었다. 효소생산을 높이기 위해 주정박과 볏짚의 혼합기질에 질소원으로서 콩비지를 1:1:1로 혼합하였을 때 15.22 FPA의 효소활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의 최적의 함수율, pH, 온도는 각각 70%, 5.0, 3$0^{\circ}C$이었다. 최적배양조건에서 배양 5일째 FPA, CMCase, Xylanase, $\beta$-glucosidase 및 Avicelase의 효소활성은 각각 15.22, 69.1, 83.9, 29.2 및 4.2 unit/g-SDW이었다. T. harzianum FJI의 섬유소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상 태배양의 경제적인 효소생산은 섬유소폐기물의 생물학적 당화기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Aspergillus phoenicis 및 candida utilis의 혼합배양에 의한 섬유소로부터의 단백질 생산 (Protein Production from Cellulosic Wastes by Mixed Culture of A. phoenices and C. utilis)

  • 이영녹;박경량;이주실;배광성;백대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22
    • /
    • 1981
  • Protein content of cellulosic wastes, such as spent grain, hop bark, spent rye, rice straw, rice hull, saw dust and used newspaper, was increased by a mixed culture of C. utilis wastes having 66-75% moisture. Among the fungal strains tested. A.phoenicis KU175 was the most powerful to increase the protein content of A. phoenicis during the mixed culture with C. utilis in the CMC medium reached at the peak for one day culture after inoculation of the both strains at the same time, while it reached at peark from the beginning of the mixed culture, when A. phoenicis was inocultated for 12-24hours prior to the inoculation of C.utilis. To increase the protein content of the cellulosic wastes by the mixed culture of C.utilis and A.phoenicis, the inoculation of both strains at the same tim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einoculation of A. phoenicis for 6-24 hours. Content of crude cellulose in the used newspaper, saw dust and spent grain was high relatively, and the lignin content of spent grain, spent rye, and rice strew was reduced more than half by the treatment of 2% NaOH. However, effect of alkali treatment of increase the protein content of the cellulosic wastes was not prominent in the case of mixed culture. Protein content of the cellulosic wastes was increased prominently by the mixed culture of C.utilis and A.phoenicis in semi-solid substrate, compared with the single culture of C. utilis, although the latter increased the protein content of cellulosic wastes considerably. The effect of mixed culture of C. utilis and A. phoenicis increased 4-fold the protein content of spent grain, and more than doubled crude protein in hop bark and rice straw.

  • PDF

Cellulase 및 hemicellulase의 고생산균주 FJ1의 효소생산 특성 연구

  • 김경철;유승수;오영아;정선용;김성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29-632
    • /
    • 2001
  • 자연계로부터 분리된 FJ1의 환경변수 및 기질 특이성을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는데, 분리 균주 FJ1의 특성은 최적pH, 최적온도는 각각 $6{\sim}7$, $25{\sim}30^{\circ}C$이었다. 또한, 분리균주는 FJ는 Avicel, 섬유소페기물과 같은 결정성 섬유소물질의 분해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cellulose의 분해에 관련된 효소를 분비하는 분리균주 FJ1의 환경변수 및 기질 특이성을 조사하였고, 이를 기본으로 하여 배양인자의 조절을 통한 최적의 효소생산 및 생산되어진 효소에 의한 섬유소 페기물(볏짚, 폐지, 음식물 쓰레기 등)의 당화 특성을 검토하고 있다.

  • PDF

섬유소계 바이오매스로부터 황산 촉매를 이용한 레블린산 생산 (Sulfuric Acid Catalytic Conversion to Levulinic Acid from Cellulosic Biomass)

  • 안형균;이승민;임이라;김현준;김준석
    • 신재생에너지
    • /
    • 제19권4호
    • /
    • pp.11-19
    • /
    • 2023
  • Levulinic acid (LA) derived from cellulosic biomass, serves a crucial intermediat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chemical conversions. This study focused on optimizing the production of LA using two types of pretreated rice husk (de-ashed and delignificated cellulosic biomass) in a batch reaction system through catalytic conversion with sulfuric aci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the conversions of glucose and α-cellulose were examined to compar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n the rice husk. The experimental parameters covered a broad spectrum, including temperatures ranging from 140℃ to 200℃, a reaction time was up to 600 minutes, and a substrate to catalyst (acid solution) ratio of 100 g/L. The highest LA yield was 44.8%, achieved from de-ashed rice husk with 3.0 wt.% of sulfuric acid at 180℃ and with a reaction time of 180 minutes. In the case of the delignificated rice husk, a LA yield of 43.6% was obtained with 3.0 wt.% of sulfuric acid at 200℃ and with reaction time of 30 minutes.

Double Labeling of Binding Sites in Cellulosic Substrates Using Endo- and Exoglucanase-Gold Complexes

  • Bae Hyeun-Jong
    • Plant Resources
    • /
    • 제8권3호
    • /
    • pp.175-180
    • /
    • 2005
  • Thin sections of cellulose fibers were incubated with an endo- and an exoglucanase labeled with gold particles of differing sizes. The hydrolytic sites were then visualized und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the ${\beta}$-1, 4-glucan substrates and the endo- and the exoglucanases was investigated using cellulosic and lignocellulosic substrates. The simultaneous visualization was very successful in distinguishing preferred substrates for each cellulase in lignocellulosic substrates. When plant lignocellulose was preincubated with endocellulase, density of the gold labeling greatly increased suggesting that preliminary exposure of lignocellulosic material to endocellulase may have enhanced the accessibility of the substrate to endocellulase and exocellulase. This result provided a plausible explanation for the observed endo/exo cellulase co-hydro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