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ar IP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9초

The Transcription Factor Mist1 Regulates the Cellular Polarity in Mouse Pancreatic Acinar Cells

  • Yang, Yu-Mi;Lee, Syng-Ill;Shin, D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37-41
    • /
    • 2012
  • Pancreatic acinar cells exhibit a polarity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localization of secretory granules at the apical membrane. However, the factors that regulate cellular polarity in these cells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ist1, a basic helix-loop-helix transcription factor, on the cellular architecture of pancreatic acinar cells. Mist1-null mice displayed secretory granules that were diffuse throughout the pancreatic acinar cells, from the apical to basolateral membranes, whereas Mist1 heterozygote mice showed apical localization of secretory granules. Deletion of the Mist1 gen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ype 3 inositol 1,4,5-triphosphate receptors ($IP_3R$) but did not affect apical localization and expression of $IP_3R2$. Mist1-null mice also displayed an increase in luminal areas and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zymogen granules in pancreatic acina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st1 plays a critical role in polar localization of cellular organelles and in maintaining cellular architecture in mouse pancreatic acinar cells.

In vivo protein expression changes in mouse livers treated with dialyzed coffee extract as determined by IP-HPLC

  • Yoon, Cheol Soo;Kim, Min Keun;Kim, Yeon Sook;Lee, Suk Ke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44.1-44.17
    • /
    • 2018
  • Background: Coffee extract has been investigated by many authors, and many minor components of coffee are known, such as polyphenols, diterpenes (kahweol and cafestol), melanoidins, and trigonelline,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angiogenic, anticancer, chemoprotec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now its pharmacological effect on hepatocytes which show the most active cellular regeneration in body. Method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offee extract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liver, 20 C57BL/6J mic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once with dialyzed coffee extract (DCE)-2.5 (equivalent to 2.5 cups of coffee a day in man), DCE-5, or DCE-10, or normal saline (control), and then follow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and IP-HPLC (immunoprecipitatio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ver 24 h. Results: Mice treated with DCE-2.5 or DCE-5 showed markedly hypertrophic hepatocytes with eosinophilic cytoplasms, while those treated with DCE-10 showed slightly hypertrophic hepatocytes, which were well aligned in hepatic cords with increased sinusoidal spaces. DCE induced the upregulations of cellular proliferation, growth factor/RAS signaling, cellular protection, p53-mediated apoptosis, angiogenesis, and antioxidant and protection-related proteins, and the downregulations of NFkB signaling proteins, inflammatory proteins, and oncogenic proteins in mouse livers. These protein expression changes induced by DCE were usually limited to the range ± 10%, suggesting murine hepatocytes were safely reactive to DCE within the threshold of physiological homeostasis. DCE-2.5 and DCE-5 induced relatively mild dose-dependent changes in protein expressions for cellular regeneration and de novo angiogenesis as compared with non-treated controls, whereas DCE-10 induced fluctuations in protein expressions.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DCE-2.5 and DCE-5 were safer and more beneficial to murine hepatocytes than DCE-10. It was also found that murine hepatocytes treated with DCE showed mild p53-mediated apoptosis, followed by cellular proliferation and growth devoid of fibrosis signaling (as determined by IP-HPLC), and subsequently progressed to rapid cellular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in the absence of any inflammatory reaction based on histologic observations.

인터넷에서 사용자 이동성을 고려한 이동성 제어 방식 (A Mobility Management Scheme by Considering User Mobility in Internet)

  • 우미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2C호
    • /
    • pp.123-130
    • /
    • 2002
  • 셀룰러 망 환경에서 인터넷 호스트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Mobile IP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적응적 이동성 제어 방식과 이러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사용자의 이동성에 따라 외부 에이전트의 의탁주소를 적응적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제안된 방식은 외부 도메인의 게이트웨이를 외부 에이전트로 지정하는 기존의 마이크로 이동성 지원 방안들과는 다르다. 이렇게 적응적 방식을 사용하면, 셀룰러 망에서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품질을 사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를 자주 하여 발생하는 Mobile IP의 신호 부하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토해 본 결과, 이동 노드에게 비교적 안정된 접속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합 캐시 및 차별화된 핸드오프를 이용한 셀룰러 IP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in Cellular IP Using Combined Cache and Different Handoff)

  • 서정화;김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B호
    • /
    • pp.1063-1069
    • /
    • 2004
  • 셀룰러 IP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에 제안된 페이징 및 루트 정보관리 캐시와 준-소프트 핸드오프 방식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통합 캐시 (Combined Cache :CC)와 데이터에 따라 차별화된 핸드오프 방식의 운용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통합 캐시는 MH에서 핸드 오프상태모드를 운용하지 않고, 아이들/ 액티브 상태만 운용하며, 핸드오프 방식은 데이터에 따라 차별화된 핸드오프 방식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어패킷의 부하, 초기 수신시 데이터 패킷에 대한 트래픽 부하, 핸드오프시 패킷의 도착시간을 CIP, PRC와 비교하여 제안한 방식이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A Location Management with Adaptive Binding Idle Lifetime Scheme for IP-based Wireless Network

  • Sim Seong-Soo;Yoon Won-Si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61-264
    • /
    • 2004
  • We propose a location management with adaptive binding idle lifetime scheme for IP-based wireless network. In our proposed scheme, the binding idle lifetime value is adaptively varied according to user characteristics. The main idea is that the mobile node (MN) does location update (LU) even in idle state. Furthermore a sequential paging scheme is used to reduce the paging cost. The proposed scheme can be used in both cellular network and IP-based network.

  • PDF

Mobile VoIP 기술 동향 및 분석 (Technical Trend of Mobile VoIP)

  • 이영표;박준수;김희동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97-101
    • /
    • 2008
  • Voice over IP is a telephone service which sends and receives the voices through the Internet. Because the infrastructure of wireless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G, Wi-Fi and WiMAX has expanded, the study about Mobile VoIP, which provides the voice service from wireless network, has been actively in progress. Since Rei 6 HSPA in 3GPP and Rev A lxEVDO in 3GPP2, VoIP through the data channel is more efficient than circuit switch. It is predicted that VoIP over 4G will be more effective and 4G mobile VoIP business will be vitalized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re are businesses which offer VoWLAN by using software such as Skype and Fring. They provide services which cheapen the price of international calls and long distance calls. This paper will present the Korean and other countries' mobile VoIP trends, its classification along the network connection, the study on techniques, and conditions of mobile VoIP. It also will be described a view of terminal convergence and service convergence.

  • PDF

무선 인터넷에서 셀룰라 IP 이동성 관리에 의한 QoS 개선 (Improving QoS using Mobility Management in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 윤영지;석경휴;박동석;홍성수;배철수;나상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95-5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셀 환경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통합된 페이징과 루프 정보 관리 캐시를 사용하는 Cellular IP 특성을 가진 Cellular-IP/PRC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호 수락 방식은, 이동 노드의 홈 기지국 용량이 충분하고, 인접 셀 이동 노드가 흠 기지국에서 호가 수락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받을 간섭의 증가량을 고려해 통화 품질이 보장될 때, 홈 기지국은 새로운 호를 이동 노드의 송신 전력 예측에 기반을 둔 호 수락 방식이다. 무선인터넷 네트워크 내의 페이징과 라우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PC(Paging Cache)와 RC(Routing Cache)를 하나의 PRC(Paging Router Cache)로 통합 관리하고, 모든 노드 내에 구성하여 운용토록 하고, 이동 노드의 핸드 오프 및 로밍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이동 노드에 핸드오프 상태 머신을 추가하고, 노드에서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시스템 환경에서 통화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각 링크 통화권 및 불균형 정도를 예측, 하향링크에 의해 통화권이 제한을 판단하여 송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과 제안한 알고리즘을 비교하여 QoS가 호 차단 확률과 호 탈락 확률, GoS, 셀 용량의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QoS로 성능 개선을 연구한다.

  • PDF

고속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휴대 인터넷용 셀룰라 이더넷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of Cellular Ethernet System with Fast Handovers for WiBro Networks)

  • 정한균;윤종호;조재헌;오윤제;황성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11호
    • /
    • pp.25-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규격에 제시된 라우터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에서 사용되는 3계층 핸드오버 방식보다 고속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브리지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인 셀룰라 이더넷 시스템을 제안하고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이동하면서도 양질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무선 장치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고속의 핸드오버를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3계층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기존의 Mobile IPv6 방식의 경우, 핸드오버 발생 시 이동을 감지하기까지의 지연 시간과 중복된 주소를 감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지연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무선 구간에서의 물리적 핸드오버 완료 후에 유선 구간에서의 핸드오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특징 때문에 고속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없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용 백본망을 위한 2계층 브리지로 구성된 셀룰라 이더넷 시스템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핸드오버 성능이 기존의 3계층 핸드오버 방식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IMS 기반의 PoC 서비스 전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IMS Based PoC Service Deployment)

  • 이재오;이홍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878-4883
    • /
    • 2015
  •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전송 및 서비스들로부터 제어 기능들을 분리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러한 구조를 바탕으로 보장된 QoS(Quality of Service)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의 콘텐츠 및 텔레컴 서비스들을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이다. SDP(Service Delivery Platform)는 기존 및 신규 서비스들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공통의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IMS 상의 SDP는 응용 서비스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단순화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 구축된 네트워크와 신규 IMS 네트워크 사이에서 교량 역할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통신을 풍부하도록 구축하기 위하여, 모바일 네트워크상에서 전개될 수 있는 후보 서비스들 가운데 대표적이며 독특한 반 이중 방식의 VoIP(Voice Over IP) 응용 서비스로 고려되는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서비스를 전개하려 한다. 본 논문에서는 PoC 서비스 및 구조의 장점을 조사하고, PoC 서비스 전개를 통한 실행을 통한 가능성 및 실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토타입(prototype)을 구축하는 실질적 구현에 집중하였다.

동적 이중모드를 적용한 호스트 단위 IP 폐이징 설계 (A per-Host If Paging Design based on Dynamic Dual Mode)

  • 양일식;송창렬;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334-336
    • /
    • 2002
  •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에서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위치 등록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IP 페이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IP 페이징 프로토콜을 개발하기로 결정하여 seamoby 워킹그룹에서 이를 담당하도록 하고 HAWAII와 Cellular IP에서의 몇몇 IP 페이징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는 미리 정의된 페이징 영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호스트에 최적화된 페이징 영역을 만들기 어렵다. 본 논문은 페이징 영역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크기와 모양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 이동 호스트가 자신의 이동을 캐쉬하고 셀간 이동 횟수가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캐쉬된 내용에 근거하여 자신의 페이징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이동 호스트의 방문이 거의 일어나지 않은 지역은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페이징 영역을 적용하여 호스트에 의한 페이징 영역과 이중모드로 동작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