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formance of Cellular Ethernet System with Fast Handovers for WiBro Networks

고속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휴대 인터넷용 셀룰라 이더넷 시스템의 성능 분석

  • 정한균 (한국항공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응용네트워크 연구실) ;
  • 윤종호 (한국항공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응용네트워크 연구실) ;
  • 조재헌 (삼성전자 통신연구소) ;
  • 오윤제 (삼성전자 통신연구소) ;
  • 황성택 (삼성전자 통신연구소)
  • Published : 2006.11.25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new Cellular Ethernet System that supports faster handovers than IP layer handover scheme for WiBro Network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n WiBro Networks, it is very important for service providers that supports fast handovers for mobile users who want superior service. But in case of Mobile IPv6, which supports IP layer handovers, there exists very long latency for detecting movement and duplicated IP address. And besides, handovers in wired area must be carried out after completing handovers in wireless area. So, Mobile IPv6 cannot provide superior service to mobile users. To remedy these problems, we here propose the new Cellular Ethernet System that consists of MAC layer bridges for WiBro Networks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Cellular Ethernet System handover scheme and show that it has better performance than Mobile IPv6.

본 논문에서는 휴대 인터넷 서비스 규격에 제시된 라우터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에서 사용되는 3계층 핸드오버 방식보다 고속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브리지 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인 셀룰라 이더넷 시스템을 제안하고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이동하면서도 양질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하는 무선 장치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고속의 핸드오버를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하지만 3계층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기존의 Mobile IPv6 방식의 경우, 핸드오버 발생 시 이동을 감지하기까지의 지연 시간과 중복된 주소를 감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지연이 매우 큰 단점이 있다. 또한 무선 구간에서의 물리적 핸드오버 완료 후에 유선 구간에서의 핸드오버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특징 때문에 고속의 핸드오버를 지원할 수 없어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 인터넷 서비스용 백본망을 위한 2계층 브리지로 구성된 셀룰라 이더넷 시스템을 제안하고 모의실험을 통하여 핸드오버 성능이 기존의 3계층 핸드오버 방식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TA,'2.3GHz 휴대 인터넷 표준- 물리 계층 및 매체접근 제어 계층,'2005년 6월
  2. D. Johnson, C. Perkins and J. Arkko, 'Mobility Support in IPv6,' RFC 3775, June 2004
  3. H. Soliman, C. Castelluccia, K. El Malki and L. Bellier, 'Hierarchical Mobile IPv6 Mobility Management,' RFC 4140, Aug. 2005
  4. R. Koodli, 'Fast Handovers for Mobile IPv6', RFC 4068, July 2005
  5. F. M. Chiussi, D. A. Khotimsky and S. Krishnan, 'Mobility Management in Third-Generation All-IP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40, No.9, pp.124-135, Sept. 2002 https://doi.org/10.1109/MCOM.2002.1031839
  6. T. Kawakami, S. lino and Y. Suzuki, 'A Consideration on Mobility Control in a Wide-Area Ethernet,' Technical report of IEICE, IA2002-24, pp.15-22, Otc. 2002
  7. M. Kuroda, M. Inoue, A. Okubo, T. Sakakura, K Shimizu and F. Adachi, 'Scalable Mobile Ethernet and Fast Vertical Handover,' IEEE WCNC2004, A27-3, Mar. 2004
  8. K. Ishibashi, A. Okudo, T. Sakakura and M. Kuroda, 'A Proposal of First Vertical Handover by Virtual MAC Address Scheme on Mobile Ethernet,' IEEE Workshop on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LANMAN), pp.145-149, Apr. 2004 https://doi.org/10.1109/LANMAN.2004.1338421
  9. IEEE 802.ak Multiple Registration Protocol, http://www.ieee802.org/1/files/public/docs2006/ak-sultan-individual-mac-registration-requirement-0506.pdf
  10. A.T. Campbell et al., 'Cellular IP,' draft-ietf-mobileip-cellularip-00.txt, Dec. 1999
  11. 'The Network Simulator ns-2', http://www.isi.edu/nsnam
  12. J. Widmer, 'Extensions to the ns Network Simulator,' http://www.icsi.berkeley.edu/~widmer/mnav/ns-extension
  13. S. Thomson and T. Narten,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RFC 2462, Dec.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