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ular IP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45초

Cellular IP 네트워크에서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성능 개선 (An Enhanced Indirect Handoff for Cellular IP Network)

  • 정원수;윤찬영;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B호
    • /
    • pp.1-8
    • /
    • 2006
  • 현재 유${\cdot}$무선 통합망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작업이 진행 중이며 IP 이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Mobile IP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Mobile IP는 셀룰러 기반의 무선 접속망에서 잦은 핸드오프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이 제안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 방식으로 Cellular IP, HAWAII, Hierarchical Mobile IP 등이 있다. Cellular IP는 일정 지역 내에서 seamless 한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Cellular IP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방식은 핸드오프가 발생할 경우 새로운 영역의 BS이 핸드오프를 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핸드오프 인식과정에서 패킷 유실 및 중복이 발생하여 UDP 및 TCP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Cellular IP 인다이렉트 핸드오프 방식을 개선한 핸드오프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로스오버 노드를 통한 시그널링 과정과 버퍼링 과정을 사용하였다. 새로운 영역의 BS에게 핸드오프 사실을 알리기 위해서 게이트웨이까지 전송되는 핸드오프 요청 패킷을 크로스오버 노드에서 처리함으로서 불필요한 시그널링 트래픽을 감소 시켰다.

Improvement of Handoff-state and QOS in Wireless Environment

  • Jeong, You-Sun;Choe, U-G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1호
    • /
    • pp.1-5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for improving QoS in wireless micro cellular network using Cellular-IP/PRC(Paging Route Cache) with Paging Cache and Route Cache in Cellular-IP and propose for performance of realtime and non-real time handoff service using Handoff state machine Paging Route Cache. Although the Cellular-IP/PRC technology is devised for mobile internet communication, it bas its vulnerability in frequent handoff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Cellular IP combines the capability of cellular networks to provide high performance handoff and efficient location management of active and idle mobile users with the inherent flexibility, robustness and scalability found in IP networks. Also Cellular-IP/PRC use semi-soft handoff. During semi-soft hand off a mobile host may be in contact with either of the old and new base stations and receive packets from them. Packets intended to the mobile node are sent to both base stations and buffered, so when the mobile host eventually moves to the new location it can continue to receive packets without interruption. It should be suitable for realtime service such as multimedia traffic. But, much waste of resource will occur in this method, especially for non-real time services such as FTP and E-mail. Therefore, a new algorithm that performs different handoff according to characteristic of each traffic by use of reserved field in IP packet is proposed in this thesis. This hand off state machine using differentiated handoff improves quality of services in Cellular-IP/PRC. Suggested algorithm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existing technology in wireless mobile internet communication environment. Matlab simulation results are improving QoS, show call drop and call blocking provided to Paging Router Cache during handoff state machine in Cellular-IP/PRC.

Micro Mobility Protocol의 핸드오프 성능개선 (Enhanced Handoff for Micro Mobility Protocol)

  • 정원수;윤찬영;오영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09-211
    • /
    • 2004
  • We can categorize mobility two main fields in IP environment. If Mobile IP manages macro mobility, Cellular IP deal with micro mobility. For seamless connection, it is major problem to reduce packet loss in the network layer during handoff. This paper will introduce a scheme which reduces packet loss during micro mobility which use indirect handoff mechanism in Cellular IP, and will verify the efficiency of that scheme by computer simulation.

  • PDF

Cellular IP 랜드오프 확장 방안 (The Extension of Handoff Mechanism in Cellular IP)

  • 김정인;이명진;김명철;박정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241-243
    • /
    • 2001
  • Cellular IP는 micro-mobility와 seamless handoff를 지원하기 위해 제안된 프로토콜이다. Cellular IP는 핸드오프 동안 지연과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해 semi-soft handoff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반면. 이 메커니즘은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낭비를 줄이면서. 핸드오프 동안의 패킷 손실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ns2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메커니즘의 성능을 측정하도록 한다.

  • PDF

Cellular IP 핸드오프 성능개선 (An Enhanced Handoff Mechanism for Cellular IP)

  • 김경아;김종권;박재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1호
    • /
    • pp.89-96
    • /
    • 2002
  • 핸드오프는 무선 데이터 네트웍에서 TCP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 패킷의 유신과, 중복이 없는 핸드오프 방법인 LPM(Last Packet Marking)을 제시한다. LPM은 Cellular IP 세미소프트 핸드오프를 개선한 방법으로 이동호스트에게 안전한 핸드오프 시점 알려준다. 새고 소개한 제어 패킷은 SPM(Semisoft reply Message) 하나이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실험에서 LPM 방법은 패킷의 중복이나 유신이 없어서 TCP의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켰다.

BT(Bluetooth) IP에서의 핸드오프 지원 방안 (Handoff Scheme for BT(Bluetooth) IP)

  • 박홍성;정명순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A호
    • /
    • pp.65-71
    • /
    • 2001
  • In this paper, we propose handoff scheme for BT(Bluetooth) IP and define signaling for the handoff scheme. In local area, BT IP use the concept of Cellular IP and the operation property of Bluetooth system. In case of accessing external internet, use the concept of Mobile IP. IP-based Mobility of Bluetooth Terminal provides efficient and rapid mobility in local area and flexibility on the internet.

  • PDF

마이크로 이동성 위한 RSVP_Prox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SVP_Proxy for Micro Mobility)

  • 박승균;오영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9B호
    • /
    • pp.774-782
    • /
    • 2003
  • 일반적으로 Mobile IP 기술에 있어 이동 노드에게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RSVP 사용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Mobile IP와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연동시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는 등록 지연, RSVP 예약 지연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증가시킨다. 특히 이동 노드와 대응 노드 사이의 경로에 대한 자원 예약은 핸드오프 이전과 이후 경로가 대부분 같기 때문에 중복 예약이며, 불필요한 시그널링의 생성과 자원 낭비를 초래한다. 만약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셀의 반경이 작다면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는 증가할 것이며 따라서 시그널링 오버헤드와 자원 중복 예약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본 논문은 RSVP proxy 방안의 Cellular IP와 RSVP 통합 모델을 제안한다. Cellular IP 프로토콜은 마이크로 셀 네트워크에서 핸드오프에 의한 등록 지연, 전송 지연 및 손실을 최소화하며, RSVP proxy는 자원 중복 예약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이동 노드의 예약 주소를 사용하여 Cellular IP 외부 네트워크에서의 RSVP 세션 경로 변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제안 방안은 셀 반경과 핸드오프율에 대해 자원 예약 실패 확률을 이용 기존 Mobile IP와 RSVP 연동 방안과 비교 평가하였다.

Mobile IP와 Cellular IP 통합 환경에서 실시간 플로우를 위한 RSVP 자원 예약 기법 (A Resource Reservation Mechanism for Real­time Flow Using RSVP on Mobile IP and Cellular IP Intergration Environment)

  • 류호연;김명일;김성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112-114
    • /
    • 2003
  • 현재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는 고정된 호스트에게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MH(Mobile Host)가 빈번하게 이동하는 이동 컴퓨팅 환경에는 높은 수준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Mobile IP와 Cellular IP 통할 환경에서 MH의 핸도오프를 내부영역 핸드오프(intra­domain handoff)와 외부영역 핸드오프(inter­domain handoff)로 나누어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원 예약 기법을 제안한다. 이 예약 기법은 MH의 이동에 관계없이 높은 수준의 QoS를 제공할 수 있고, Mobile IP 네트워크 영역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마이크로 도메인에서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방안 (An Efficient Hand-off Mechanism in Micro-Domain)

  • 김응도;김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3A호
    • /
    • pp.195-202
    • /
    • 2005
  • 3세대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매크로/마이크로 간에 끊김 없는 핸드오프를 요구한다. 그러나 Mobile IP는 간단하면서 확장 가능한 매크로 이동 기술이지만, 마이크로 도메인에서의 패스트 핸드오프를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많은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들이 빠르면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함으로 Mobile IP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으며, Cellular IP 또한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한다. 그러나 Cellular IP의 세미 소프트 핸드오프 방안은 새로운 경로와 이전 경로사이의 도달 시간의 차이로 인하여 패킷이 유실되거나 중복되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핸드오프 방안은 핸드오프 동안의 패킷의 유실과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SCD (Suitable Cross Delay)메커니즘을 이용하였으며 마이크로 도메인에서 끊김 없는 이동성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또한,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핸드오프 방안의 성능향상을 증명하였다.

병원 무선망에서 Cellular-IP/PRC에 의한 QoS 개선 (Improving QoS using Cellular-IP/PRC in Hospital Wireless Network)

  • 석경휴;김성홍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188-194
    • /
    • 2008
  • 병원 무선망에서 호 수락 방식과 보다 적은 범위 셀 환경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통합된 페이징과 루프 정보 관리 캐시를 사용하는 Cellular IP 특성을 가진 Cellular-IP/PRC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제안한 호 수락 방식은, 이동 노드의 홈 기지국 용량이 충분하고, 인접 셀 이동 노드가 홈 기지국에서 호가 수락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받을 간섭의 증가량을 고려해 통화 품질이 보장될 때, 홈 기지국은 새로운 호를 이동 노드의 송신 전력 예측에 기반을 둔 호 수락 방식이다. 병원 무선망 내의 페이징과 라우터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PC(Paging Cache)와 RC(Routing Cache)를 하나의 PRC(Paging Router Cache)로 통합 관리하고, 모든 노드 내에 구성하여 운용토록 하고, 이동 노드의 핸드오프 및 로밍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이동 노드에 핸드오프 상태 머신을 추가하며, 노드에서 관련 기능을 수행하도록 연구한다. 시스템 환경에서 통화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 각 링크 통화권 및 불균형 정도를 예측하여, 하향링크에 의해 통화권이 제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호를 수락 또는 차단하는 알고리즘 이용 총 송수신 전력을 기반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응용해서 QoS에서 가장 밀접하고 중요한 호 차단 확률과 호 탈락 확률, GoS(Grade of Service), 셀 용량의 효율을 예측 처리하여 QoS 성능 개선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