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I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4초

잡음에 강인한 셀 아이디 검출 및 SNR 추정 알고리즘 (Cell ID Detection and SNR Estimation Algorithms Robust to Noise)

  • 이종현;배진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9-14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이동 기지국 채널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 기지국 Cell ID 검출 및 신호대잡음비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Cell ID 추정 알고리즘은, 부공간(Subspace)을 이용하여 이동 셀 내에서 사용 중인 Cell ID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제안된 이동기지국 SNR 추정 알고리즘은 고유값과 잡음 부공간 수를 이용하여 SNR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이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상관계수를 이용한 방법들과 제안된 알고리즘들을 비교한 결과 Cell ID 검출 및 신호대잡음비 추정 성능이 매우 우수함이 입증하였고, 배경 잡음 및 간섭 신호로 인한 열악한 고속 채널환경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 적합함을 보였다.

GPS와 Pico-cell ID접속 확률을 이용한 위치 추정 방법 (Positioning Mechanism Using GPS and Pico-cell ID Access Probability)

  • 정원영;이태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B호
    • /
    • pp.1459-1467
    • /
    • 2011
  • 무선 측위 방법 중 하나인 Cell-ID 기반 측위 방법은 정확도가 낮은 단점이 있지만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저렴하고 용이하게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ell-ID 기반 측위 방법의 단점인 낮은 정확도를 개선하고자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실내 네트워크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Pico-Cell 네트워크에서 MS가 접속할 수 있는 여러 BS들 중 BS별로 MS가 접속될 수 있는 확률을 이용하고 더불어 Cell-ID 기반 측위 방법을 응용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기존의 다른 측위 방법과 제안 방법에 대한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 방법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다.

5G NR 시스템을 위한 동기 신호를 이용한 cell ID 검출을 위한 방법 연구 (A Study on Cell ID Detection Scheme Using Synchronization Signals for 5G NR System)

  • 안해성;차은영;김형석;김정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3-59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5G NR 시스템을 위한 동기 신호를 이용한 cell ID 검출 방법에 대한 성능을 비교하였다. 5G NR(fifth-generation new radio) 시스템의 송신기는 SS/PBCH (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을 송신하며, 수신기는 수신된 SS/PBCH 블록을 이용하여 주파수 및 타이밍 오프셋 (frequency and timing offset)을 추정 할 수 있으며, cell ID (cell identity)는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cell ID 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2-stage 디코딩 방법과 결합 최대우도 결정 규칙 (joint maximum-likelihood decision rule: joint ML) 디코딩 방법을 사용하였다. Joint ML 디코딩 방법은 2-stage 디코딩 방법에 비해 더 좋은 검출 성능을 보이지만, 복잡도 측면에서는 2-stage 디코딩 방법이 joint ML 디코딩 방법에 비해 더 낮은 복잡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딥러닝을 이용한 5G NR 의 Cell ID 검출 기법 (Deep Learning-Based Detection of Cell ID of 5G NR)

  • 차은영;안해성;김형석;김정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634-63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deep learning) 방식을 이용한 5G NR (fifth-generation new radio)의 cell ID (cell identity) 검출 기법을 구현하였다. 5G NR 시스템의 단말 (user equipment)은 초기 접속 (initial access)과정에서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와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을 이용한 동기 획득 및 cell ID 검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 기법 기반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 신경망 모델에 PSS 및 SSS 와 cell ID 의 상관 관계를 학습시키고, 학습된 모델의 성능을 제시하였다.

  • PDF

W-CDMA 시스템의 SSDT 기지국 식별 부호 설계 (Design of SSDT Cell ID Codes for W-CDMA System)

  • 송영준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70
    • /
    • 2007
  •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capacity is limited by the amount of interference of the system. To reduce the unnecessary interference, this paper proposes optimized cell identification (ID) codes for site selection diversity transmission (SSDT) power control in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of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The proposed SSDT cell ID codes are designed to minimize the problem and to be easily decoded using simple fast Hadamard transformation (FHT) decoder.

  • PDF

5G NR 시스템에서 PSS/SSS를 이용한 Cell ID 검출 방법 (Cell ID Detection Schemes Using PSS/SSS for 5G NR System)

  • 안해성;김형석;차은영;김정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70-88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5G NR (new radio) 시스템에서 PSS/S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한 cell ID (cell identity) 검출 방법들을 제시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시간 영역에서 PSS를 먼저 검출한 후 검출된 PSS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 및 SSS의 시퀀스 검출에 사용하는 2단계(2-stage) 검출 방법과 PSS와 SSS 시퀀스를 결합하여 동시에 검출하는 결합 검출(joint detection)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추정한 채널 이득을 이용하여 주어진 PSS 및 SSS의 전체 시퀀스 길이의 상관(correlation) 값을 계산하는 coherent 방법과 시퀀스의 전체 길이를 여러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 내에서는 coherent 상관을 계산하고, 이들을 결합하여 전체 그룹의 상관 값을 계산하는 non-coherent combining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고려한 검출 방법들에 대해 전산 실험을 통하여 PSS 및 SSS의 개별 검출 에러율과 전체 cell ID 검출 에러율 성능을 비교한다. 전산 실험 결과는 가산 백색 가우시안 잡음환경과 고정 및 이동 환경에서 non-coherent combining 방법이 coherent 방법에 비해 우수한 검출 성능을 보이며, 결합 검출 방법은 2단계 검출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이나 계산 복잡도 측면에서는 2단계 검출 방법이 보다 낮은 복잡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W-CDMA 시스템의 최적의 SSDT 전력 제어용 셀 식별 부호 (Optimized Cell ID Codes for SSDT Power Control in W-CDMA System)

  • Young-Joon Song;Bong-Hoe Kim;Hae Chung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804-810
    • /
    • 2002
  •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은 간섭량에 의하여 용량이 제한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간섭량을 줄이기 위하여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의 SSDT(Site Selection Diversity Transmission)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최적의 셀(Cell) 식별 부호를 제안한다. SSDT 전력제어는 소프트 핸드 오버(Soft Handover) 시에 선택된 우선 셀(Primary Cell)에서 신호 전송을 함으로써, 다중 셀에서의 다중 전송으로 인한 간섭 증가를 줄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각각의 셀은 임시 식별 부호로 구분된다. 그리고 단말기(UE: User Equipment)는 연결된 셀들에 우선 셀 식별 부호를 주기적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우선 셀로 선택되지 못한 비우선 셀들은 순방향으로 DPDCH(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의 전송을 중단하여 간섭증가를 줄인다. 이러한 SSDT 기술에서 주된 기술적인 문제점은 단말기가 우선 셀을 선택하기 위하여 역 방향으로 전송하는 우선 셀 식별 부호의 성능이다. 셀 식별 부호에 오류가 발생하여 다른 식별 부호로 잘못 인식되면, 이는 우선 셀을 잘못 선택하는 결과가 된다. 제안된 SSDT 셀 식별 부호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고 FHT(Fast Hadamard Transformation) 복호기를 사용하여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증가된 원핵세포선택성을 가진 짧은 인돌리시딘 유사체의 설계 (Design of Short Indolicidin Analogs with Enhanced Prokaryotic Selectivity)

  • 신송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09-413
    • /
    • 2012
  • 인돌리시딘(indolicidin)은 소의 호중구(bovine neutrophils)로 부터 분리된 13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 지고, 트립토판(tryptophan)을 많이 함유한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이다. 인돌리시딘은 강력한 항균활성과 더불어 mammalian cells에 대해 독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인돌리시딘 보다 서열이 짧으며, 보다 증가된 원핵세포 선택성(박테리아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만 mammalian cells에 대해서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의미함)을 지닌 새로운 짧은 항균 펩타아드를 개발하기 위해, 몇 종의 인돌리시딘 유사체 펩타이드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인돌리시딘 보다 서열이 짧으며(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짐), 증가된 원핵세포선택성을 지닌 4종의 새로운 펩타이드(SI, SI-PA, SI-WF 및 SI-WL)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장 높은 원핵세포선택성을 나타내는 인돌리시딘 유사체 펩타이드 SI의 항균활성에는 중앙부위에 위치하는 소수성 및 방향족 아미노산이 중요하며, 2군데의 프로린(proline) 잔기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인돌리시딘과 유사체 펩타이드에 대한 원핵세포 선택성은 SI>SI-PA>SI-WF>SI-WL>ID>SI-WA의 순서 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되고 합성한 4종의 인돌리시딘 유사체 펩타이드(SI, SI-PA, SI-WF 및 SI-WL)는 박테리아 감염의 치료제로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OFDM 기반 다중 홉 릴레이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위한 계층적 프리앰블 설계 기법 (A Hierarchical Preamble Design Technique for Efficient Handover in OFDM-based Multi-hop Relay Systems)

  • 유현일;김영준;우경수;김재권;윤상보;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4A호
    • /
    • pp.342-35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OFDM 기반의 다중 흡 릴레이시스템에서 계층적 프리앰블 구조를 이용하여 물리계층에서 셀 간 핸드오버와 셀 내 핸드오버를 구분함으로써 핸드오버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핸드오버 절차를 제안한다. 계층 구조의 프리앰블 설계에 있어서,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Cell ID와 함께 셀 내 릴레이를 구분하기 위한 Subcell ID의 개념을 제안한다. 셀 간 핸드오버와 셀 내 핸드오버의 판단은 계층 구조의 프리앰블에 의하여 제공되는 신호품질 척도인 CBINR(Carrier of BS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과 CRINR(Carrier of RS to Interference arid Noise Ratio)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핸드오버 절차를 통해 스캐닝 절차의 간소화와 망 진입 절차의 간략화 또는 생략이 가능하여 핸드오버 오버헤드를 크게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