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cycle arrest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4초

Novel Nonsense Variants c.58C>T (p.Q20X) and c.256G>T (p.E85X) in the CHEK2 Gene Identified dentified in Breast Cancer Patients from Balochistan

  • Baloch, Abdul Hameed;Khosa, Ahmad Nawaz;Bangulzai, Nasrullah;Shuja, Jamila;Naseeb, Hafiz Khush;Jan, Mohammad;Marghazani, Illahi Bakhsh;Kakar, Masood-ul-Haq;Baloch, Dost Mohammad;Cheema, Abdul Majeed;Ahmad, Jami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089-1092
    • /
    • 2016
  • Breast cancer is the most commonly occurring a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s among women globally. Hereditary cases account 5-10% of all the cases and CHEK2 is considered as a moderate penetrance breast cancer risk gene. CHEK2 plays a crucial role in response to DNA damage to promote cell cycle arrest and repair DNA damage or induce apoptosis. Our objective in the current study was to analyze mutations in the CHEK2 gene related to breast cancer in Balochistan. A total of 271 individuals including breast cancer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were enrolled. All 14 exons of CHEK2 were amplified and sequenced. The majority of the patients (>95%) had invasive ductal carcinomas (IDCs), 52.1% were diagnosed with tumor grade III and 56.1% and 27.5% were diagnosed with advance stages III and IV. Two novel nonsense variants i.e. c.58C>T (P.Q20X) and c.256G>T (p.E85X) at exon 1 and 2 in two breast cancer patients were identified in the current study. Both the variants identified were novel and have not been reported elsewhere.

Identification of Genes Involved in Primordial-primary Follicle Transition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 Park, Chang-Eun;Yoon, Se-Jin;Jeon, Eun-Hyun;Kim, Young-Hoon;Lee, Sook-Hwan;Lee, Kyung-Ah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98-98
    • /
    • 2002
  • Recruitment of primordial follicles(PMF) is crucial for female fertility. however, factors and mechanisms that regulate this process is poorly understoo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an inclusive view of the gene expression and to identify novel factors and their pathways of regulating PMF arrest and/or growth initiation. Ovaries from one-day neonatal(consists of oocyte and PMF) and five-day old(consists of PMF and primary follicles, PRIF) mice were collected, either total RNA or mRNA was isolated, and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 was used to isolate and clone genes that differentially expressed in day 1 and day 5 ovaries. Confirmation that some of these genes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PMF and/or in PRIF was accomplished by using laser captured microdissection(LCM), RT-PCR. in situ hybridization(ISH) and/or immunohistochemistry(IHC). In toto, 357 clones were sequenced and analyzed by BLAST and RIKEN program. Sequences of 330 clones significantly matched database entries while 27 clones were novel. Forty-two and 47 different genes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day 1 and day 5 ovaries, respectively, while 7 genes were expressed in both stages of ovaries. Day 5-subtracted library included several genes known as markers far growing follicles, such as ZP2, MATER, and fetuin. Among the genes with assigned functions, 23.8% was associated with cell cycle/apoptosis regulation, 7.1% with cellular structure, 11.9% with metabolism, 26.2% with signal transduction, and 31.0% with gene/protein expression in day 1; while 10.6%, 17.0%, 23.5%, 25.5%, and 23.4% in day 5, respectively. Genes such as GDF-8, Lats2, Septin2, and Weel were the highly expressed genes in PMF, while HSP84, Laminin2, MATER, MTi7, PTP, and Wrn were highly expressed genes in PRIF. We have successfully discovered list of genes expressed in day 1 and day 5 ovaries and confirmed that some of them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PMF and/or PRIF. Gene expression profile from the present study would provide insight for the future study on the mechanism(s) involved in primordial-primary follicular transition.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n Health 21 RND Projec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01-PJ10-PG6-01GN13-0002).

  • PDF

Downstream Genes Regulated by Bcl2l10 RNAi in the Mouse Oocytes

  • Kim, Eun-Ah;Kim, Kyeoung-Hwa;Lee, Hyun-Seo;Lee, Su-Yeon;Kim, Eun-Young;Seo, You-Mi;Bae, Jee-Hyeon;Lee, Kyung-Ah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1호
    • /
    • pp.61-69
    • /
    • 2011
  • Previously, we have shown that Bcl2l10 as a member of Bcl-2 family, key regulators of the apoptotic process, is dominantly expressed in oocytes of ovary but several member of the Bcl-2 family are not expressed in oocytes. Recent our studies had been processed about roles and regulatory mechanisms of Bcl2l10 in oocytes. Microinjection of Bcl2l10 RNAi into the cytoplasm of germinal vesicle oocytes resulted in metaphase I (MI) arrest and exhibited abnormalities in their spindles and chromosome configurations (Yoon et al., 2009).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ownstream genes regulated by Bcl2l10 and signaling networks in Bcl2l10 RNAi microinjected oocytes by using microarray analysis. Surprisingly, we found that a large proportion of genes regulated by Bcl2l10 RNAi were involved in the cell cycle and actin skeletal system regulation as important upstream genes of Bcl2l10. Among the transcripts with highly significant fold changes more than 2-fold, Tpx2 and Cep192 are 16.1- and 8.2-fold down regulated respectively by Bcl2l10 RNAi. Tpx2 and Cep192 are known as cofactors that control Aurora A kinase activity and localizatio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Bcl2l10 may have important roles during oocyte meiosis as functional upstream regulator of Tpx2 and Cep192.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모델에서 소경활혈탕의 진통 효과 (Analgesic Effects of Sokyungwhalhyul-tang on Constriction Nerve Injury-Induced Neuropathic Pain in Rats)

  • 김경윤;정현우;최찬헌;김형우;김기도;심기철;김계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5-201
    • /
    • 2011
  • Nardostachys chinensis;Anti-proliferation;Cell cycle arrest;Differentiation;U937 cel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algesic effect of Sokyungwhalhyul-tang(SKWHT) using the model of peripheral neuropathic pain model. A model of neuropathic pain was made by ligating left 5th lumbar spinal nerve of rats. After 1 days, the extract of SKWHT was orally administered daily.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1) Control group(n=6), (2) Experimental group I(SKWHT-OA1, 100 mg/kg, n=6), (3) Experimental group II(SKWHT-OA2, 300 mg/kg, n=6), (4) Experimental group III(SKWHT-OA3, 500 mg/kg, n=6). After that, we examined the withdrawl response of neuropathic rats legs by von Frey filament and Hot plate at pre, $1^{th}$, $4^{th}$, $7^{th}$, $14^{th}$, $21^{th}$ days after the induction of neuropathic pain. And also we examined c-fos, GOT, GPT and histological study of Liver at 21th days. von Frey filament and Hot plate were increase in experimental group I, II, III than Con. especially group III was most significantly analgesic effect than the other groups at $14^{th}$, $21^{th}$ days. In c-fos protein expression on spinal cord, group III was most significantly reduction immunoreactivity at $21^{th}$ days and in blood serum GOT & GPT levels and histologic finding of Liver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Con at $21^{th}$ day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KWHT(500 mg/kg) may have a significant analgesic effect on the neuropathic pain.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에서 microRNA-23b의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의 효과 (MicroRNA-23b is a Potential Tumor Suppressor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남제현;김은경;김진영;정다움;김동욱;곽보미;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2017
  •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은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DLBCL에서 약물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은 진전을 보였지만, 아직 많은 환자의 경우 DLBCL로 인한 사망률이 상당하다. 따라서 DLBCL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표적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PDE (인산이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4B는 최근 시행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서 약제내성을 가지는 DLBCL에서 과발현 되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PDE4B의 주된 역할은 이차전달자인 고리형 AMP (cylclic AMP, cAMP)를 5'AMP로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cAMP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cAMP는 B 세포에서 세포증식 저해와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PDE4B는 B 세포에서 이러한 cAMP의 기능을 소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DE4B의 과발현이 어떤 기작에 의한 것인지는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마이크로 RNA (microRNA, miRNA)가 PDE4B의 과발현에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PDE4B 3'-UTR에는 세 개의 miR-23b 예상 결합부위가 존재하고, 이는 luciferase reporter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miR-23b 결합 부위들은 인간에서부터 도마뱀에 이르기까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었고, 이는 세포 생리학적 측면에서 PDE4B-miR-23b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암시하고 있다. miR-23b의 과발현은 PDE4B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내의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miR-23b의 발현은 아데닐산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의 활성약제인 forskolin이 처리된 경우에만 DLBCL 세포들의 증식과 생존을 억제하였다. 이는 miR-23b는 PDE4B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증식과 생존을 조절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각해 볼 때, miR-23b는 PDE4B를 억제함으로써 DLBCL에서 나타나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따라서 miR-23b는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 효과적인 치료적 타겟으로 예상된다.

3T3-L1 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서 Baicalin에 의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분석 (Effects of Baicalin on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이해용;강련화;정상인;조수현;윤유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4-63
    • /
    • 2010
  • Flavonoid 계열의 한 종류인 baicalin은 항염증, 항암, 항바이러스, 항세균 등의 효능을 가진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한 이전의 보고에서 baiclain이 adipogenesis pathway(지방세포 형성 경로)의 anti-adipogenic(지방세포 형성억제)과 pro-adipogenic(지방세포 형성 유도) factor들을 조절함으로써 비만 및 adipogenesis를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3T3-L1 세포에서 baiclain이 유도하는 지방세포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지방세포의 분화 시간(0일, 2일, 4일 및 7일)과 분화 시 baicalin의 처리 유무에 따라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해당 시료들을 microarray에 적용하였다. Microarray 결과로부터 2배이상의 변화가 있는 3972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그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20개의 cluster를 분류할 수 있었다. 그들 중 4개의 cluster는 분화의 전반적인 기간에서 baicalin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상승(cluster 8과 cluster 10)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감소(cluster 12와 cluster 14)하는 양상을 보였다. Cluster 8과 cluster 10에는 CHOP(CCAAT/enhancer-binding protein homologous protein), INSIG1(insulin induced gene 1), WISP2(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ADM(adrenomedullin), CCND2(cyclin D2), GRN(granulin) 및 TGFB3(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과 같은 세포 증식과 지방세포 형성 억제를 상승시키는 유전자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반대로 cluster 12와 cluster 14에는 세포 증식 억제, 세포 주기 억제 및 세포 성장 억제와 연관되거나 지방세포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LTA(lympotoxin A), ACADSB(acyl-Coenzyme A dehydrogenase, short/branched chain), HMGCS2(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synthase 2), IGFBP7(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 MERTK(c-merproto-oncogene tyrosine kinase), RASSF2(ras association(RalGDS/AF-6) domain family 2), RHOU(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U) 및 SESN1(sestrin1) 등이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baicalin은 세포 증식 및 지방세포 형성과 연관된 유전자들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baicalin이 유도하는 지방세포 형성 억제 및 비만 억제 효과의 분자적 기작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시한다.

Corticosterone에 의해 유도된 인간의 신경모세포종 SH-SY5Y 세포 증식 억제를 완화시키는 맥문동 열수 추출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 (Attenuation of the Corticosterone-induced Antiproliferative Effect o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Using Hot-water Extract from Liriope muscari)

  • 이종규;김상보;서용배;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7-523
    • /
    • 2018
  • 만성적 스트레스가 있는 상황에서, 과잉 생산된 cortisol은 glucocorticoid receptor (GR)를 활성화시킴으로써 해마(hippocampus)에 있는 신경 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다. Cortisol을 생성하지 못하는 동물들의 경우, corticosterone이 스트레스 호르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간의 경우, corticosterone은 aldosterone의 전구물질 이거나 cortisol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는 하나의 glucocorticoid로만 여겨져 왔다. 최근 인간을 대상으로 cortisol과 dexamethasone과 같은 합성 glucocorticoid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corticosterone의 정확한 기능에 대하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 corticosterone을 여러 농도로 SH-SY5Y 세포에 처리한 후 24시간과 48시간 때 viability를 조사한 결과, 높은 농도($500{\mu}M$$1,000{\mu}M$)에서 SH-SY5Y 세포의 성장 억제가 관찰된 반면, 낮은 농도($100{\mu}M$)에선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맥문동, 오미자, 복신 열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을 실시한 결과, 세 시료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세포 독성을 보였다. 한편, $500{\mu}g/ml$의 맥문동은 corticosterone에 의해 유도된 세포 성장 억제를 완화시켜 세포 성장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맥문동 $500{\mu}g/ml$에 오미자와 복신의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여러 혼합물의 시너지 효과를 알아본 결과, 대부분 혼합물이 약간의 효과를 보이긴 했으나, 음성 대조군 수준만큼 회복되지는 않았다.

대나무 분말의 항산화력과 돼지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Bamboo powder and its immunoreactivity in the pig)

  • 송윤오;추교문;장선희;구애진;고응규;하지희;이재형;강석남;송영민;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122
    • /
    • 2014
  • 본 연구는 대나무 분말의 항산화 활성이 비육돈에서 면역조절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나무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총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HHP, ABST, hydroxyl radical 등의 소거활성능을 알아보았다. 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높게 나타났으며, DPPH와 ABTS, HRSA 라디칼 소거능은 12~21%였으며,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 총페놀 함량은 171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7. mg/g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나무 분말이 함유된 배합사료 급여시 돼지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처리구에는 일반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구는 일반사료에 대나무분말을 1.0%, 2.0% 및 3.0%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대나무분말 첨가수준에 따라 혈액의 혈구계수 중 백혈구, 적혈구, 헤마토크리트 함량에서 유의적인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헤모글로빈 함량이 무처리 대조구에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2~3%의 처리구에서 헤모글로빈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혈액 내 총단백질, 혈중 알부민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ST, ALT 함량은 대나무 분말 처리군에서 무처리군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범위내에서의 변화를 보였다. immunoglobulin에서 IgA와 IgG 농도는 무처리구에 비교하여 대나무 분말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고, IgA는 처리구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IgG농도에서는 대나무 추출물 2%, 3% 처리구가 1%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TNF-${\alpha}$의 경우 무첨가구와 첨가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대나무 분말 첨가구에서 interferon-${\gamma}$의 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무처리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2%, 3% 처리구가 1%의 처리구 보다도 높은 interferon-${\gamma}$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대나무의 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초한 높은 항산화력에 의하거나, 또는 대나무에 포함된 돼지 초기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물질에 의한 면역활성 증강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대나무 분말의 높은 항산화력은 돼지 면역력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2~3% 대나무 분말 첨가 사료는 돼지 생리활성을 크게 증강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A549 폐암세포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genistein의 복합처리에 의한 NAG-1 의존적 세포사멸 증진 효과 (Combined Treatmen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Genistein Synergistically Induces Apoptosis via Induction of NAG-1 in Human Lung Adenocarcinoma A549 Cells)

  • 김초희;김민영;이수연;문지영;한송이;박혜경;강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73-1080
    • /
    • 2009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은 항염 및 진통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억제 외에 다양한 신호전달 분자를 통해 여러 가지 세포생리활성을 조절하며, 암세포에서는 세포사멸 유도를 통한 항암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SAIDs가 암세포사멸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데 있어 phosphatidyl inositol 3-kinase (PI3K)-Akt/protein kinase B (PKB) 그리고 MEK1/2-ERK1/2 신호 전달계과 같은 anti-apoptotic program이 NSAIDs의 효과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예상하고, 이들 항세포사멸 프로그램을 억제하였을 경우, NSAIDs의 세포사멸 유도작용이 증가되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세포사멸은 Hoeschst 33342으로 핵응축과 핵 쪼개짐을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통해 단백질 발현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해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NSAIDs 처리와 동시에 PI3K-Akt/PKB와 MEK-ERK1/2 신호전달계의 억제제를 함께 처리했을 때, NSAIDs의 세포사멸유도작용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PI3K와 MEKl/2 신호전달계의 상위에 존재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s (RTKs)의 억제제인 genistein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 복합처리에 의해 NAG-1 발현이 증가하며 NAG-1 interference 하였을 경우 복합처리에 의한 세포사멸증진 효과가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암세포에 활성화 되어 있는 세포생존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물질(genistein 혹은 LY294002+U0126)을 복합처방함으로써 NSAIDs의 항암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위암에서의 $p21^{Waf1/Cip1}\;and\;p27^{kip1}$ 단백 발현 (Clinical Analysis According to $p21^{Waf1/Cip1}\;and\;p27^{kip1}$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 김신선;박용근;전경화;정헌;송교영;김진조;진현민;김욱;박조현;박승만;임근우;김승남;전해명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1호
    • /
    • pp.36-42
    • /
    • 2006
  • 목적: 암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세포주기로 인하여 조절이 불가능한 세포성장과 분열이 중요한 기전으로 관여한다. 세포주기는 cyclin, CDK와 cyclin의 복합체는 CDKI에 의해 억제된다. 세포주기를 억제하는 인자는 종양 세포에서도 종양억제인자로 작용한다. 세포 주기 조절인자 CDKI는 INK family, CIP/KIP family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CIP/KIP family인 $p21^{Waf1/Cip1}\;27^{kip1}$ 단백질의 발현유무에 따른 위암의 임상조직학적인 특성 및 예후와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위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에 추적 조사가 가능하고 파라핀 포매 조직상태가 좋은 19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p21^{Waf1/Cip1}$$p27^{kip1}$에 대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종양세포의 핵에 염색되는 세포를 양성 판정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임상조직학적인 특성과 생존율의 차이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p21^{Waf1/Cip1}$은 15.6% (30/192), $p27^{kip1}$은 28.1% (54/192)의 발현율을 보였다. $p21^{Waf1/Cip1}$은 양성에서는 T1-2 (80.0%), 음성에서는 T3-4 (50.6%)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며(P<0.05) 다른 인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27^{kip1}$에서는 T-stage에서 $p21^{Waf1/Cip1}$과 비슷한 결과(77.8%, 55.1%)를 보였으며, Lauren 분류에서는 장형(62.7%)보다 미만형(91.3%)에서 음성을 보이는 비율이 높았다.(P<0.05)$p27^{kip1}$도 다른 인자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의 상관관계는 $p21^{Waf1/Cip1}(+)$$p27^{kip1}$의 상관관계는 $p21^{Waf1/Cip1}(+)/p27^{kip1}(+)$ 보이는 경우(53.3%)와, $p21^{Waf1/Cip1}(-)/p27^{kip1}(-)$ 보이는 경우(76.5%)가 많았다(P<0.05). $p21^{Waf1/Cip1}$$p27^{kip1}$ 복합 검사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 T1-2 (87.5%)가 많았고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는 T3-4(58.1%)가 많았다(P<0.05). 또한 Lauren 분류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가 장형 (100%)에서만 나타났으며(P<0.05), $p21^{Waf1/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P<0.05). 5년 장기 생존율에 있어서는 각각의 $p21^{Waf1/Cip1}$$p27^{kip1}$의 발현 유무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복합 검사에서도 $p21^{Waf1/Cip1}(+)/p27^{kip1}(+)$의 경우에 생존율이 높았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의 경우에는 $p21^{Waf1/Cip1}$$p27^{kip1}$은 서로 비슷한 발현 형태를 나타내고 $p21^{Waf1/Cip1}$$p27^{kip1}$의 발현은 침윤 정도에 영향을 주며, $p27^{kip1}$의 경우에는 Lauren분류와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p21^{Waf1/Cip1}$$p27^{kip1}$ 복합 검사는 침윤 정도와 Lauren 분류와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p21^{Waf1/Cip1}$$p27^{kip1}$의 발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가 유의성을 보이지 않아, 예후 예측인자로의 적용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