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Broadcast Service(CB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긴급재난문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 -인천광역시 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Cell Broadcast Service(CBS) -Focusing on Users in Incheon-)

  • 박근오;박재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3-203
    • /
    • 2024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ell Broadcast Service (CBS) among citizens in Incheon. Partial least squares (PLS) regression, instead of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for the analysis because it can solve multicollinearity and sample size issu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CBS among Incheon citizens, was the elimination of redundancies (VIP=1.185). Therefore, local governments, government agencies, and public organizations must coordinate their ideas and collectively create guidelines to eliminate redundancie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the expansion in the broadcast medium from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aspects (VIP=1.087). This is because differences in generation, age, gende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customized messaging tool through the expansion of broadcast media. The broadcast criteria of the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perspectives comprised the third most influential factor, with a high VIP value of 1.053.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devise a plan to avoid distributing unnecessary cell broadcast services, by establishing criteria for areas and sections, time, and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 zones of a disaster. In the futu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e data to develop policies, guidelines, and response measures for Incheon CBS. Given the lack of research on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al class and the city traits of each region, and a lack of concrete empirical research on each factor, continuous and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5G 이동통신 용 재난경보 방송의 메시지 구조를 이용한 이미지 정보 및 URL 표출기법 (A Display Method of Image Information and URL Using the Message Structures of Emergency Alert Broadcasts for 5G Cellular Communication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92-598
    • /
    • 2021
  • 현 이동통신 시스템은 재난경보 방송을 위하여 CBS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그러나 CBS 프로토콜 표준은 제한된 텍스트 문자의 전송만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등은 수신된 메시지를 충분히 이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현 CBS는 메시지의 글자수 제한으로 자세한 정보를 전송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CBS 재난문자 전송시 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 와 URL을 표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5G 이동통신을 위한 CBS의 메시지 구조를 이용한다. 이 메시지 구조를 이용할 경우 CBS 프로토콜은 문자 코딩방식에 관계없이 단말기에서 이미지 정보와 URL을 표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사회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방송문자 서비스 영향 요인 분석 - 고령자와 일반인 그룹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the Impact Factors of Cell Broadcast Service Considering Socially Vulnerable Groups -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General Population)

  • 박근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83-394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고령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요인을 일반인과 비교분석을 통하여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수로 각각의 서비스 요인들을 선정하여 2개 그룹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고령자와 일반인 두 그룹 모두 재난문자방송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요인은 신속한 전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고령자의 경우 충분한 내용 전달로 나타났으며, 일반인의 경우 시스템 품질로 나타났다. 두 그룹 간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고령자는 내용적인 측면을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일반인은 시스템 품질, 송출기준 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령자들은 신속한 전달과 함께 충분한 내용 전달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는 고령자가 일반인에 비해 이해력과 사고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고령자 특성을 고려한 재난문자 송출이 필요하다.

실내 공간에서 3G 이동단말기를 위한 CBS 재난 정보 전송 (A Delivery Scheme of CBS Alert Message for 3G Cellular Phone in indoor Environment)

  • 송미화;장석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4-205
    • /
    • 2013
  • 최근 일본의 지진 쓰나미 등 전 세계적으로 많은 재난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신속한 재난 정보 전송을 위해서 CBS(Cell Broadcast Service) Alert Message를 국가 표준으로 제정하였다. CBS를 통한 전송은 지역단위 전송이 가능하므로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신속한 전송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CBS Alert Message가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에서만 수신이 가능하고 3G 단말에서는 수신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은 실내 환경에서 gateway-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3G 단말이 CBS Alert Message를 수신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 PDF

공공경보시스템 개선을 위한 국가별 공공경보시스템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Public Warning Systems by Countries to Improve Public Warning System)

  • ;김재영;안병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3호
    • /
    • pp.183-203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the Public Warning System (PWS) in China, and to propose feasible solutions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PW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ell Broadcast Service (CBS)-based disaster SMS system adopted by other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PWS using SMS, applications, and CBS, respectively, are analyzed in detail, and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convenience, standardization, data security, speed, and location accuracy. In addition, CBS-based PW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 E.U., Korea and Japan, were studied and their performance on key criteria was evaluated. Find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China's PWS are summarized and recommendations are made to improve the PW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BS technology. To this end,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are proposed in terms of the application of CBS technology,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data security. In addi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WSs in other developed countries is conducted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direction of PWS's improvement.

Cell Broadcast Service를 이용한 재난정보 전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Message Transmission using Cell Broadcast Service)

  • 이유석;오승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83-484
    • /
    • 2020
  • Cell Broadcast Service (CBS)는 제어 채널을 사용하는 셀 지정 단문 방송형 서비스이며 다수의 사람들에게 일정 크기의 문자정보를 특정 서비스 영역으로 전송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한다. CBS를 이용하면 특정 정보를 빠르고 저렴하게 전달할 수 있기때문에 광고나 정보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재난정보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4G 및 5G 망에서 CBS를 이용하여 재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파라미터 및 변경점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한국과 미국에서 재난정보 구분을 위해 사용하는 메시지 식별자의 비교를 통해 긴급재난문자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 PDF

지역 맞춤 기반의 긴급 재난문자 서비스를 위한 다대일 통신 (Many-to-One Communications for Cell Broadcast Service Based on Geo-Targeting)

  • 변윤관;이현지;장석진;최성종;표경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
    • /
    • 2020
  • 재난문자 전송은 기지국에서 다수의 단말기로 재난문자를 전달하는 단방향 프로토콜인 CBS 긴급 재난문자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 CBS 전송 기법은 일대다(One-to-Many) 방식을 이용한다. 현 CBS 프로토콜은 일종의 방송 방식으로 기지국은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한 단말기로부터 어떠한 확인 메시지도 전달받지 못한다. 그러나 재난관리기관은 효율적인 재난 대응을 위하여 재난지역의 재난문자 수신자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전달받을 필요가 있다. 즉 CBS 재난문자를 수신한 단말기들로부터 재난관리기관 서버로 CBS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달받는 방식으로 유용한 정보를 취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방식을 위해 다대일(many-to-one) 통신 기법이 고려된다.

  • PDF

실내 공간에서 CBS 기능을 이용한 DMB용 재난정보 전송 (A Delivery Scheme of Alert Message for DMB Using CBS in Indoor Environments)

  • 전경호;장석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6-257
    • /
    • 2013
  • 최근 동일본 대지진 또는 중국 쓰촨성 대지진 등 국가적인 재해 재난이 한반도 주변에서 자주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도 마찬가지로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되기도 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재난지역 내의 주민들이 지역상황을 인지하고 대피하게 할 수 있다면,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보급률이 뛰어나고 개인 휴대형 기기인 휴대전화기를 통한 재난방송 기능이 제안되었다. 여기에는 재난 방송의 특성상 지연시간과 수신율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방송 (broadcasting)개념이 도입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한 번에 수신할 수 있도록 CBS (Cell Broadcasting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현실적으로 LTE (Long Term Evolution) 망에서만 가능하며 3세대 통신,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에서는 대기전력 소모에 의한 배터리 소요로 제외되었다. 본 지에서는 CBS를 이용하여 WCDMA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에게도 DMB를 통해 재난상황을 인지 할 수 있는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 PDF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셀 방송 기반의 경보 전송기법 (An Emergency-Alert Delivery Approach Based on Cell Broadcast for Smart-City IoT Device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762-772
    • /
    • 2022
  •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현 재난경보 방송1)은 스마트폰 등 개인 휴대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스마트 시티는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등 IoT 기반의 서비스를 필수로 한다. 따라서 지진 등 심각한 재난이 발생하면 스마트 시티는 건물, 공장 등에 적절한 제어 및 대응을 신속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재난경보 방송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4G/5G 이동통신 기반의 재난경보 전송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셀 기반 방송 서비스인 CBS를 위한 이미지 표출방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Cell Broadcast Service 분석 (Analysis of Cell Broadcast Service)

  • 노현석;박현서;김경숙;이경준;박용직;이윤주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6권6호통권72호
    • /
    • pp.101-108
    • /
    • 2001
  • 본 논문은 지금까지 이동망에서 제공된 단문 서비스 외에 특정 지역에 특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CBS에 대해 살펴본다. CBS는 단대단(end-to-end) 형태로 서비스 즉, 컨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서비스 제공자(contents provider)가 사용자에게 광고나 중요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단순한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연관된 서비스들을 재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BS는 3GPP에서 제안한 SABP를 기반으로 관련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핵심망과 관련된 CBC의 기능이 개발되어 프로토타입 형태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CBS 서비스의 성공 여부는 무엇보다도 CBS에서 제공할 서비스의 적절한 분류와 양질의 컨텐츠 제공에 달려 있다고 판단되며, 이와 더불어 서비스 제공자에게 사용이 편리한 이용 환경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