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fazolin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초

도태 유우의 유선조직에서 분리된 세균의 항균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ausative Agents of Mastitis Isolated from Mammary Glandular Tissues of Slaughtered Holstein Cows)

  • 김혜라;이정치;김상기;윤병철;서계원;이정길;이채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9-132
    • /
    • 2004
  • Causative agents of mastitis were isolated from glandular tissues of 101 culled Holstein cow udders and tested with antimicrobials by standardized disc diffusion method. Pathogens most commonly isolated were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43.9%) and streptococci (21.4%). Most of the udders (88.5%) showed mixed infections with more than two species of bacteria.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s revealed that 90.0% and 84.5% of the isolated organisms were susceptible to amoxicillin and gentamicin, while most organisms were resistant to erythromycin. Coliforms were resistant to ampicillin, cephalothin, cefazolin, erythromycin, kanamycin, neomycin, penicillin and tetracycline and streptococci to erythromycin, kanamycin, neo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tetracycline.

신규베타락탐계 항생제 합성과 항균성

  • 고옥현;김경수;하재천;고봉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1-171
    • /
    • 1994
  • Cephem ring의 C-7위치에 aminothiazoly lmethoxyimino기를 가진 화합물들이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고, G(-)균의 외막투과성을 촉진시킬뿐 아니라 광범위항균 spectrum을 갖게 하고 $\beta$-lactamase에 안정하며 PBP(penicillin binding protein)에 대한 결합친화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에 따라 본 저자는 C-7위치에 cefotaxime구조와 같이 aminothiazolylmethoxyimino acetamido moiety를 고정시키고 항균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약리활성이 기대되는 5-(substituted)-2H-tetrazole유도체들을 합성하여 C-3 위치에 도입시킨 새로운 화합물 7$\beta$-〔(z)-2-(2-aminothiazol-4-yl)-2_(methoxyimino)acetamido〕-3-〔5-(substituted)tetrazol-2-yl〕 methyl-3-cephem-4-carboxylic acid 유도체를 합성하여 B. subtilis ATCC 6633, M. luteus ATCC 1004, E. coli KCTC 1039, E. coli ESS, K. pncumonia KCTC 1560, P. aeruginosa IF0 13130, S. typhimurium KCTC 1925, S. typhimurium SL 1102, 및 C. albicans ATCC 10231 등의 균과 fungus에 대하여 기존의 cefotaxime과 cefazoline을 대조물질로 사용하여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대체적으로 M. luteus ATCC 6633, E. coli ESS, S. typhimurium SL 1102 균에 대해서는 cefotaxime보다 항균력이 우수하였으나 P. aeruginosa IF0 13130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저하되었고 cefazolin보다는 대체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하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zomonas agilis PY101, a Cadmium-Resistant Strain Isolated from Anyang Stream

  • You, Kyung-Man;Lee, Ji-Hyun;Kim, Jeong-Kook;Hah, Nam-Ju;Lee, Yung-Nok;Park, Yong-Keu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89-293
    • /
    • 1996
  • A cadimium-resistant strain isolated from Anyang stream, Azomonas agilis PY101 exhibited strong resistance to 1000 ppm of cadmium ion $(Cd^{2+})$. A agilis PY101 also exhibited resistance to various antibiotics, such as amoxicillin, amplicillin, bacitracin, cefazolin, erythromycin, penicillin, tetracycline, and vancomycin. In the presence of $Cd^{2+}$, the growth of A. agilis PY101 started after an extended lag phase and produced a green-fluorescent pigment induced by cadmium. The dramatic decrease (approximately 400ppm) of concentration of $cd^{2+}$ in the culture medium during the growth phase of A. agilis PY101 was confirmed by the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photometer.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revealed that A. agilis PY 101 actively accumulated $Cd^{2+}$ in the cytoplasm.

  • PDF

개에서 Chloramphenicol주사에 의한 좌골신켱손상시의 치료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Therapeutics on Chloramphenicol Injection-induced Sciatic Nerve Injury in Dogs)

  • 이주명;연성찬;권오경;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78-385
    • /
    • 1998
  • Chloramphenicol주사에 의한 좌골신경손상을 유발한 후 Prednisolone을 이용한 약물처치군, 전침군 및 전침과 약물을 병용한 군에서 각각 회복속도를 비교하였다. 정상보행 횟수, pinching을 통한 감각신경의 통감반응,그리고 병리조직소견 등을 죠사한 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Enrofloxacin, cefazolin, cephalexin, penicillin 등의 좌골신경주위 주사게 서는 신경마비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chloramphenicol을 주사할 경우에는 좌골신경손상으로 인한 편측성 후지마비가 유발되어 knuckling 반응을 보였다. Chloramphenicol을 투여한후 좌골신경손상에 대한 각 처치에서 정상보행 횟수는 8-12주까지는 침술처치군이 약간 중가하 였으나, 처리군간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기간동안 chloramphenicol 에 의한 신경손 상에 대한 각 처치군별 병리조직 소견은 호전양상이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 PDF

젖소 유방염유래(乳房炎由來) Gram 음성간균(陰性桿菌)의 Ampicillin 내성(耐性) 및 전달성(傳達性) β-Lactamase Plasmids (Ampicillin Resistance and Transferable β-Lactamase Plasmids of Gram Negative Rod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 박청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67
    • /
    • 1985
  • One hundred and twenty seven strains of Gram-negative rods (72 E. coli, 45 Klebsieila pneumoniae, 8 Enterobacter spp. and 2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were examined for resistance to ampicilin, carbenicillin and cefazolin, ${\beta}$-lactamase activity and transferable ${\beta}$-lactamase plasmids. Stains resistant to ampicillin were 13.9% in E. coli, 93.3% in Klebsiella pneumoniae, 87.5% in Enterobacter. spp. and all in Pseudomonas aeruginosa, Resistance of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Enterobacter spp. to ampicillin was due to the ${\beta}$-lactamases, but all Pseudomonas aeruginosa exhibited a high level of the non-enzymic resistance. Transferable plasmid-mediated ${\beta}$-lactamase synthesis was demonstrated in 61.9% of Klebsiella pneumoniae, 50% of E. coli and 42.9% of Enterobacter spp. The same ${\beta}$-lactamase plasmids specified different resistance levels to various ${\beta}$-lactam antibiotics in different recipients.

  • PDF

골수염 치료제인 항생제비드(CJ-40003) 유효성분의 일반약리작용 (General Pharmacology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New Antibiotic Bead (CJ-40003))

  • 김영훈;최재묵;온윤성;연규정;이윤하;김제학;이영수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1호
    • /
    • pp.97-104
    • /
    • 1999
  • A new antibiotic bead, CJ-40003 is a combination of three antibiotics, tobramycin, vancomycin and cefazolin embedded in bone cement, for the treatment of osteomyelitis. To evaluate the gen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CJ-40003, the effects of its active ingredients were investigated in mice, rats, dogs and isolated guinea pig ileum. The combination of three antibiotics (CA) did not affect general behavior, central nervous system, smooth muscles, gastrointestinal system,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stem and water and electrolytes excretion when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the doses of 0.3, 1 and 3 mg/kg, respectively, into experimental animals. The CA had no effect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the isolated guinea pig ileum to various spasmogen at concentrations of 1, 3 and 10 $\mu\textrm{g}$/ml,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ctive ingredients of CJ-40003 showed no pharmacological effect in these studies.

  • PDF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분리한 Bacillus cereus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 분석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and Cultivation Areas)

  • 김세리;이지영;이서현;류경열;박경훈;김병석;윤요한;심원보;김경열;하상도;윤종철;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4-141
    • /
    • 2011
  •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을 대상으로 27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B. cereus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B. cereus 200주의 toxicity를 평가하고자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에서 11개의 서로 다른 독소유전자 패턴은 확인하였으며 5개의 설사형독소와 구토형 독소를 모두 생성할 수 있는 균주는 21%였다.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는 독소유전자는 nheA(100%), enFM(100%), hblA, C, D(66.5%)였으며 EM은 가장 낮은 빈도(21.0%)로 검출되었다. 항생제 내성평가결과 분리된 대부분의 B. cereus는 18종의 항생제 중 10개의 항생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었으나 ${\beta}$-lactam계 항생제인 penicillin(100%), ampicillin(100%), oxacillin(94.9%), amoxicillin-clavulanic acid(95.6%), cefazolin(78.2%)과 비${\beta}$-lactam계 항생제 rifampicin(58.0%)에 대해서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에서 분리된 B. cereus의 독소유전자와 항생제내성 패턴은 서로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들깻잎에 오염된 B. cereus에 의하여 설사형 뿐만 아니라 구토형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들깻잎과 생산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B. cereus가 검출되어 의약계뿐만 아니라 농업현장에서도 항생제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들깻잎 재배단지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의 독소 유전자와 항생제 감수성 분석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Cultivation Area)

  • 김세리;차민희;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58
    • /
    • 2015
  •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환경을 대상으로 31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S. aureus 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S. aureus 31주의 toxicity를 평가하고자 독소유전자와 항생제 내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에서 4개의 서로 다른 독소유전자 패턴은 확인하였으며 sea와 sed유전자를 동시에 보유하는 균주는 4균주 (12.9%)였고, sed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는 9균주 (29.0%)였으며 see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는 1균주 (3.2%)였다. 한편 seb와 sec 유전자를 보유하는 균주는 없었다. 항생제 내성평가결과, 12제의 항생제(penicillin, ampicillin, oxacil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cefazolin, cephalothin, imipenem, gentamicin, tetracycline, ofloxacin, norfloxacin, and erythromycin)에 내성을 보인 균주는 7균주 (22.6%)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의 2균주 (2.6%)는 5제의 항생제(penicillin, ampicillin, amoxicillin-clavulanic acid, gentamycin, and telithromycin)에 내성을 보였고 MRSA (Methicilline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는 포장지, 장갑, 들깻잎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들깻잎에 오염된 S. aureus에 의하여 독소형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들깻잎과 생산 환경에서 항생제 저항성 S. aureus가 검출되어 의약계뿐만 아니라 농업현장에서도 항생제내성균주 출현을 예방하는 대책이 요구된다.

부패하는 두부로부터 미생물의 분리ㆍ동정 및 특성조사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Putrefying Soybean Curd)

  • 주길재;허상선;최용희;이인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2-298
    • /
    • 1998
  • 부패하는 두부에서부터 각종 미생물 18종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 cereus, X. luminescens, A. calcoaceticus, Kl. pneumoniae, S. typhimurium, Pantoea sp., Bacillus sp., Cardiobacterium sp., E. coli, St. aureus, Yersinia sp. 등 11종의 각기 다른 미생물로 나타났다. 실온에서 두부의 부패 과정중 이들 미생물의 존재 함량은 B. cereus J55 23.37%, X. luminescens J48 22.37%, A. calcoaceticus J61 22.26%, X. Luminescens J48 22.73%, A. calcoaceticus J61 22.26%, Kl. pneumoniae J62 21.2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S. typhimurium J51 2.87%, Pantoea sp. J57 2.65%, Bacillus sp. J58 1.43%, Cardiobacterium sp. J54 1.26%, E. coli J53 1.20%, St. aureus J60 0.93%, Yersinia sp. J50 0.05%로 존재하였다. 이들 미생물을 각각 두부에 접종하여 두부 부패성을 조사한 결과, B. cereus J55, X. luminescens J48, Ac. calcoaceticus J61, Kl. pneumoniae J62 등 4종류의 균주는 두부부패를 진행시켰으며 심한 변패취를 내었고 액즙이 혼탁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인지할 수 있었으며 또한 proteinase의 활성 및 amylase의 활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7균주는 두부 부패에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11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각종 항생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icacin, gentamicin, tobramycin 등 aminoside계 항생물질에 대해서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반면, penicillin G, oxacillin, cephalothin, cefazolin, cefamandole 등 $\beta$-lactamine계 항생제에 대해서 높은 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소아 요로감염의 원인균주별 임상양상과 항생제 내성률 : 대장균과 비대장균의 비교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Escherichia. coli Versus Non-E. coli)

  • 배이영;이수영;정대철;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7권2호
    • /
    • pp.67-73
    • /
    • 2010
  • 목적:소아 UTI에서 non-E. coli UTI 의 빈도를 확인하고 원인균주별(E. coli vs. non-E. coli) 임상양상과 항생제 내성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9월부터 2009년 8월까지 UTI 입원 환아 중에서 원인균주가 배양 증명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학적 특징, 임상양상, 검사소견, 원인균주와 항생제 내성률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전체 84명 중 E. coli UTI 은 63명(75.0%)이었고 non-E. coli UTI은 21명(25.0%)이었다. 성별 연령군에 따라서 non-E. coli의 분포는 차이를 보였다 : 6개월 미만 남아군, 10.5%; 6개월 이상 남아군, 50.0%; 6개월 미만 여아군, 43.7%; 6개월 이상 여아군, 25.0% (P =0.014). E. coli UTI군에 비해, non-E. coli UTI 군에는 입원 전 항생제를 치료받은 환아의 비율이 높았고(P=0.017), 혈뇨가 동반된 환아의 비율은 낮았다(P=0.014). E. coli 보다 non-E. coli는 cefazolin과 cefotaxime, imipenem, TMP/SMX, tetracycline에 대해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P<0.05). 결론:소아 UTI 치료과정에서, 증가 추세의 non-E. coli UTI 빈도와 성별 연령군별 원인균주의 차이, E. coli 보다 높은 non-E. coli의 항생제 내성률은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