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 Pb, and Zn

검색결과 1,192건 처리시간 0.04초

이성분 중금속계에서 Chlorella sp. HA-1을 이용한 생물학적 흡착 특성

  • 이재영;백기태;권태순;양지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97-500
    • /
    • 2001
  • Adsorption characteristics on the biomass of Chlorella sp. HA -1 were investigated in binary system with $Pb^2$, $Cu^2$, $Cd^2$, and $Zn^2$ ions. For the adsorption tests of single metal, Langmuir model was showed good correlation for equilibrium data compared to Freundlich model. Maximum metal uptakes increased as follows: $Pb^2$>$Cd^2$>$Zn^2$>$Cu^2$, whereas the affinity showed different trends: $Cu^2$>>$Cd^2$>$Zn^2$>$Pb^2$. In binary metal system, $Cu^2$ ions inhibited sharply the adsorption of other metal ions except $Pb^2$ ions because of the high biosorption affinity of $Cu^2$ ions. In the case of $Cu^2$ and $Pb^2$ system, there was no significant inhibition on metal uptakes. The results of metal adsorption in the binary system could be explained well on the basis of Langmuir parameters evaluated.

  • PDF

알긴산, 폴리글루론산 및 폴리만뉴론산에 의한 금속이온의 흡착 (Biosorption of Metal Ions by Seaweed Alginate, Polyguluronate, and Polymannuronate)

  • 장대영;손창우;김성구;김이준;정정한;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53-560
    • /
    • 2009
  • $P_{1/2}$ 값을 참고로 비교한 알긴산, 폴리글루론산 및 폴리만뉴론산의 금속이온들에 대한 상대적인 친화성은 다음과 같다; 1) 알긴산: $Cu^{2+}$ > $Cd^{2+}$ > $Pb^{2+}$ > $Fe^{3+}$ >> $Zn^{2+}$ > $Sr^{2+}$ > $Ca^{2+}$ > $Co^{2+}$ >> $Cr^{6+}$ > $Mn^{2+}$ >> $Hg^{2+}$, $Mg^{2+}$, $Rb^+$, 2) 폴리글루론산: $Cd^{2+}$ > $Cu^{2+}$ > $Pb^{2+}$ > $Fe^{3+}$ >> $Ca^{2+}$ > $Sr^{2+}$, $Zn^{2+}$, $Co^{2+}$ >> $Mn^{2+}$ > $Cr^{6+}$ >> $Hg^{2+}$, $Mg^{2+}$, $Rb^+$, 그리고 3) 폴리만뉴론산: $Cd^{2+}$, $Cu^{2+}$ > $Fe^{3+}$ > $Pb^{2+}$ > $Ca^{2+}$ > $Zn^{2+}$ > $Sr^{2+}$ > $Co^{2+}$ > $Cr^{6+}$ >> $Mn^{2+}$ >> $Hg^{2+}$, $Mg^{2+}$, $Rb^+$. 알기산 1 g에 흡착하는 $Cd^{2+}$, $Cu^{2+}$, $Fe^{3+}$, $Pb^{2+}$, 및 $Zn^{2+}$의 양은 $363.5{\pm}45.0$, $226.3{\pm}9.2$, $1,299.4{\pm}$81.3, 500.7${\pm}$27.7 및 165.9${\pm}$11.4 mg이었으며, 폴리글루론산 1g에 흡착하는 $Cd^{2+}$, $Cu^{2+}$, $Fe^{3+}$, $Pb^{2+}$, 및 $Zn^{2+}$의 양은 354.5${\pm}$26.5, 177.6${\pm}$8.7, 1,288.6${\pm}$60.1, 424.0${\pm}$7.4 및 140.2${\pm}$28.5 mg이었으나, 폴리만뉴론산 1 g에 흡착하는 $Cd^{2+}$, $Cu^{2+}$, $Fe^{3+}$, $Pb^{2+}$, 및 $Zn^{2+}$의 양은 329.0${\pm}$10.3, 226.9${\pm}$1.9, 1,635.6${\pm}$11.1, 419.8${\pm}$12.6 및 251.0${\pm}$49.1 mg이었다. 폴리만뉴론산은 알긴산보다 높은 용해도와 폴리글루론산보다 높은 금속이온에 대한 친화성 때문에 독성이 높은 중금속이나 경제성이 높은 금속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울산-온산연안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 평가 (Pollu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Ulsan-Onsan Coast)

  • 선철인;김동재;이용우;김성수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45-253
    • /
    • 2015
  • 완전산분해법과 단일시약(1 M HCl) 추출법을 이용하여 울산-온산연안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을 평가하였다. 표층퇴적물 내 미량금속 중 Cu, Cd, Pb, Zn, Hg의 농도는 울산연안에 비해 온산연안에서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단일시약 추출 분석 결과, Cd과 Pb은 총함량 중 가용성부분의 평균 함량이 각각 72%, 78%로 인위적 기원에 의해서 주로 공급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Cr, Li, Ni, As는 잔류성부분에서 평균 80% 이상 존재하여 주로 자연적 기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해저퇴적물 해양환경기준과 비교한 결과, Cu, Pb, Zn, Hg의 총농도는 온산연안 일부 정점에서 관리기준을 초과하였으며, Cr, Ni은 모든 정점에서 주의기준 이하였다. 미량금속의 오염도 및 생태위해성을 다양한 지수(EF, $I_{geo}$, m-PEL-Q, ERI)로 평가한 결과, 울산-온산연안에서 미량금속 중 Cu, Cd, Pb, Zn, Hg의 오염도가 높았으며, 생태계에 잠재적 위해성은 Cd과 Hg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광산(亞鉛鑛山) 인근답(隣近沓)의 토양중(土壤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과 현미중(玄米中)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Cadmium, Lead, and Zinc Accumulation in Rice Grown at Paddy Soils near Old Zinc-Mining Sites)

  • 유순호;박무언;노희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3
    • /
    • 1983
  • 아연광산(亞鉛鑛山) 린근답(隣近沓)의 토양중(土壤中) Cd, Pb, 및 Zn의 합량(合量)이 현미중(玄米中) 집적(集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9년(年)과 1980년(年)에 현미시료(玄米試料) 93점(點)과 토양시료(土壤試料) 180점(點)을 채취(採取)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Cd, Pb 및 Zn 함량(含量)에 대(對)한 현미중(玄米中)로 함량비(含量比)(상대흡수능(相對吸收能))은 토양농도(土壤濃度)의 역수치(逆數値)에 고도(高度)의 직선회귀관계(直線回歸關係)가 성립(成立)되었으며 년차간(年次間) 차이(差異)의 유의성(有意性)은 납이 가장 크고 다음이 아연(亞鉛)이었으나 카드뮴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Cd, Pb, Zn의 상대흡수능(相對吸收能)은 토양(土壤) pH와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가지나, 유의성(有意性)은 1979년(年)에는 Cd, Zn에서 인정(認定)됨에 반(反)하여 1980년(年)에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3) 년차간(年次間) 상대흡수능(相對吸收能)의 차이(差異)는 재배기술(栽培技術)의 차이(差異)보다 기상요인(氣象要因)(평균기온(平均氣溫), 일조시간등(日照時間等))의 차이(差異)에서 오는 것이 더 컸을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4) 현미중(玄米中) 카드뮴 함량(含量)이 일본식량청(日本食糧廳) 규제농도(規制濃度)인 0.4ppm을 초과(超過)할 수 있는 발생빈도(發生頻度)는 $34{\sim}47%$이며, 현미중(玄米中) 납의 함량(含量)이 국제식품규격상(國際食品規格上) 허용한계농도(許容限界濃度)인 2ppm을 초과(超過)할 수 있는 발생빈도(發生頻度)는 $0{\sim}11%$이었다.

  • PDF

부산시 일원의 토양 오염도 조사 (A Survey of Soil Pollution in Pusan City Area)

  • 정인교;홍성수;윤일
    • 약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25-732
    • /
    • 1994
  • To provide a basis for setting up an environmental pollution policy of Pusan, an investigation of metal contents in the soil of Pusan was carried out from May, 1993 to April, 1994. Soil was sampled from 10 sites of industrial area,8 sites of commercial area, 8 sites of residential area, 8 sites of green area and 8 sites of agricultural area. The industrial area was the most heavily polluted and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580, 19.377, 67.348, 59.638, 58.555 and 1.006 ppm, respectively. In the soil of commercial area,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453, 19.110, 63.384, 56.006, 37.466 and 0.578 ppm,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289, 10.312, 55.246, 55.536, 17.695 and 0.610 ppm, respectively, in the soil of residential area. The green area was the least polluted and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215, 5.949, 19.366, 37.244, 6.856 and 0.295 ppm, respectively. In the soil of agricultural area, the average contents of Cd, Cu, Zn, Mn, Pb and As were 0.160, 7.077, 25.365, 51.485, 10.607 and 0.499 ppm, respectively The fact that the Cd content of agricultur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green area is remarkable.

  • PDF

서울시 도로변의 빗물받이에서 체취한 하수슬러지의 중금속 오염 평가 (The Asse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Sewage Sludeges from Gully Pots Alongside Some Main Roads in Seoul, Korea)

  • 이평구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6호
    • /
    • pp.633-644
    • /
    • 1999
  • Gully pot is a part of urban darainage system to butter the runoff water fluxes from road to rivers and to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by prevending over the surrounding area.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concer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wage sludge sediments sttling down in such a gully pot in order to over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for heavy metals such as pb, Zn, Cu and Cd. The roadside soil and sewage sludge samples from gully pots were characterized by XRD analyses and sequential extraction : Zn 2595.7$\mu$g/g; Cd9.8$\mu$/g; Cu602.5$\mu$g/g; Pb260.0$\mu$g/g),because of a long-term accumulation of vehicle- and industrial-related pollutants. Mean Zn concentration in Yeouido (3873$\mu$g/g) and Junggu(3262$\mu$g/g)areas are 4-5 times higher than those in Dobonggu area, suggesting that Zn may be derived from automobile traffic (including the rubber of automobile tires). The mean concentrations of Cu and Cr are very significantly high in Junggu and Gurogu areas, possibly due to the industrial activities in these areas. The low Pb levels throughtotut the whole study areas in Seoul can be accounted for the use of unleaded gasoline since 1987. Sequential extraction experiments illustrate that a major part of Zn is bound to FII and FIII, representing about 88% of the total Zn concentration. Fraction IV, related to orgnic matter, is mostly significant for Cu accounting for 60% of the total Cu, and FII is next in importance. The main carriers of Pb are the fractions III, II and FIV, and in that order. The behavior of Cd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elements (Zn, Cu, Pb), and most of the Cd is associated with FV.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s (such as acidification) may result in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of surface water and rivers with respect to heavy metals (especially Zn and Cu).

  • PDF

Crab Shell로부터 추출한 중금속 흡착제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 Adsorbent Extracted from Crab Shell)

  • 현근우;이찬기;이해승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2호
    • /
    • pp.46-55
    • /
    • 1999
  • This study compared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s by crab shell, treated crab shell with 2N-HCl, treated crab shell with 4%-NaOH, chitin and chitosan.Using crushed crab shell, the heavy metal ions removal rates of $Cd^{2+}$ and $Zn^{2+}$ were about 70-80% in 45minutes, but the removal rates of $Cu^{2+}$, $Cr^{6+}$ and $Pb^{2+}$ was less than 10%, 10% and 30%, respectively. For the by-products crab shell by 2N-HCl treatment, it was shown that the removal rates of $Cu^{2+}$ and $Pb^{2+}$ were about 70-80% in 45minutes reaction. But, some problems were observed, that the contained protein in crab shell was changed into gel in the mixing solution after a few hours. For the by-products of crab shell by 4%-NaOH treatment, the removal rates of Pb and Zn were about 90% in 45 minutes, and those of capacity of chitin and chitosan powder was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by-products. The more adding to the adsorbent dosages increased the removal rates, and the adsorption reaction was rapidly occurred in a few minute. Using 1.0 wt% chitin powder, the heavy metal removal rates were ordered $Cu^{2+}$(94%) > $Zn^{2+}$(89%) > $Cd^{2+}$(88%) > $Pb^{2+}$(77%) > $Cr^{6+}$(58%) in 45 minutes. Using 1.0 wt% chitosan powder, the heavy metal removal rates were ordered $Cu^{2+}$(99%) > $Pb^{2+}$(96%) > $Cd^{2+}$(79%) > $Zn^{2+}$(71%) > $Cr${6+}$(46%) in 45minutes. The degree of degree of deacetylation by prepared chitosan was 91%.The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of $Cu^{2+}$, $Cd^{2+}$ and $Zn^{2+}$, when it was applied to 1.0 wt% chitosan powder in minutes, can be acceptable very strictly. The equation constant (1/n) for $Cu^{2+}$, $Cd^{2+}$ and $Zn^{2+}$ were 0.54 0.41 and 0.23 respectively.

  • PDF

전국 연안의 총알고둥(Littorina brevicula: Gastropod) 패각 중 금속 원소(Mn, Zn, Cd, Pb)의 분포 특성 (Trace Metals (Mn, Zn, Cd, Pb) in the Shell of the Marine Gastropod, Littorina brevicula on Coastal Area, Korea)

  • 임채열;강성길;이창복;고철환;최만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2호
    • /
    • pp.119-130
    • /
    • 2000
  • 한반도 연안 조간대에서 광범위하게 서식하는 총알고둥(Littorina brevicula)의 패각 중 미량 금속의 지역적인 분포 특성과 주변 해수 및 육질부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7년 1월에 전국 연안 38개 정점을 대상으로 총알고둥 및 해수를 채취하여 Mn, Zn, Cd 및 Pb를 분석하였다. 패각 중 Mn 함량은 7.0 ${\mu}g$/g${\sim}$211 ${\mu}g$/g(평균 59 ${\mu}g$/g) 범위로써, 동해 북부에서 가장 낮고 남해 서부 및 서해역에서 높았다. 패각 중 Mn은 해수 중 총 Mn농도 및 육질부 중 Mn 함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어 생물 활동에 의해 조절되며 주변 환경의 Mn 수준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각 중 Zn 함량은 0.1 ${\mu}g$/g${\sim}$1.9${\mu}g$/g(평균 0.9 ${\mu}g$/g) 범위로써, 온산만 지역을 제외하고는 해수 및 육질부 중금속과 관련성이 적고 패각 중 Na함량과 역의 상관성을 보이므로 패각 중 Zn함량은 생물 활동이 아니라 주변 해수의 염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Cd 함량은 0.007${\mu}g$/g${\sim}$0.114 ${\mu}g$/g(평균 0.02${\mu}g$/g) 범위로써, 동해 남부 및 서해 연안에서 높고 동해 북부와 남해 연안에서 낮았다. 패각 중 Cd함량은 온산만 지역을 제외하고 해수 중 Cd농도 분포를 반영하지 않았으나, 육질부의 분포와 유사하여 생물 활동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Pb 함량은 0.1 ${\mu}g$/g${\sim}$17.5 ${\mu}g$/g(평균 1.01 ${\mu}g$/g) 범위로써 울산-온산 해역에서 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생체 내의 Pb 함량과는 관련성이 적었으나 해수 중 Pb 농도 분포를 반영하였다. 또한 Pb는 같은 지역에서 연령이 오래될 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므로 패각 중 Pb 함량은 패각의 성장률 변화 및 주변 해수의 Pb농도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련소 인근 논 토양 중 중금속 형태 분류 및 수도체중 중금속 함량과의 상관성 (Fractionation of Heavy Metals and Correlation with Their Contents in Rice Plant Grown in Paddy near Smelter Area)

  • 김성조;백승화;문광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0
    • /
    • 1996
  • 토양 중 중금속들의 이동성 및 식물 흡수와의 관계를 알기 위하여 제련소 매연 및 분진의 영향을 받는 논 토양을 대상으로 1982년과 1990년에 토양 시료를 표 ${\cdot}$ 심토 별로 채취하여 치환성, 묽은산, 유기물 결합형, Fe-Mn산화형결합, 잔류형(규산염형)으로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토양 중 중금속 함량 및 존재 형태를 분류하고, 1990년도 토양 시료 중 중금속 함량과, 1990년도에 채취한 수도체 중 부위별 중금속 함량과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토양중 중금속 전 함량은 1990년 함량이 1982년도 함량보다 표토에서 Cd가 12%, Zn 44%, Cu가 40%, Pb가 4% 증가하였고, 심토에서는 Cd가 12%, Zn 40%, Cu가 60%, Pb가 57%로 증가되었고, 이들의 증가 비율이 Cu > Zn> Pb > Cd의 순서를 나타내었으며, Cd의 경우 잔류형(규산염형태) >치환성 >묽은산 추출형 순으로 함량 변화가 나타났고 9년 사이에 38-71%의 증가 비를 나타내었다. 산화물 및 규산염내에 결합되어 있어 비이동성인 중금속 비율은 표토에서 Cd가 31.65%, Pb가 44.22%, Cu가 76.57%, Zn이 79.49%였고 치환성, 묽은산 추출형 및 유기적 결합형 등의 이동성은 20.28% 이상으로 Cd의 경우 68.35%, Pb의 경우 55.78%, Cu 23.43%, Zn이 20.28% 순으로 나타났다. 표토 중 중금속 함량과 수도체 부위별 함량간에는 왕겨 및 현미를 제외하고, 엽신, 엽초, 줄기, 화서축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심토 중 중금속 함량과 수도체 부위별 함량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표토 중 추출 형태별 중금속 함량과 수도체 부위 함량간의 상관관계는 묽은산 추출형 및 유기물 결합형에서 상관관계가 많이 있었으나, 심토에서는 없었다.

  • PDF

수용액에서 NTOE, NDOE가 결합된 Merrifield 수지를 이용한 Ag(I)의 흡착 및 분리 특성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Ag(I) Using a Merrifield Resin Bound NTOE, NDOE in Aqueous Solution)

  • 이철규;김해중
    • 분석과학
    • /
    • 제12권2호
    • /
    • pp.159-165
    • /
    • 1999
  • 수용액에서 1,12-diaza-3,4:9,10-dibenzo-5,8-dioxacyclopentadecane(NTOE)가 결합된 merrifield 수지와 1,12,15-triaza-3,4:9,10-dibenzo-5,8-dioxacycloheptadecane(NDOE)가 결합된 merrifield 수지를 이용한 전이금속이온들의 흡착 및 분리특성을 조사하였다. 전이금속이온들의 흡착정도(adsorption degree, E)와 분포비(distribution ratio, D)의 순위는 동일하게 Cu(II)$t_R$)이 흡착정도와 분포비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흡착 및 분리 실험 결과로부터 혼합금속용액에서 Ag(I)의 분리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