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stic soda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복합 막분리 공정에 의한 섬유가공 공정에서의 가성소다 회수 (Recovery of Caustic Soda in Textile Mercerization by Combined Membrane Filtration)

  • 양정목;박철환;조진구;김상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273-128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섬유가공공정 중 머서화공정으로부터 가성소다액를 회수하기 위한 최적의 운전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주요 인자들로는 NF/RO막의 적용을 위해 세라믹 막을 이용하여 파울링 지수를 평가, 고분자 막의 적용을 위해 가성소다액의 회수율을 측정, 막의 재생율 향상, 화학세정 조건, 유기물부하, 탁도 및 색도의 최적 제거조건, 그리고 세라믹 막과 고분자막의 복합공정에서의 투과플럭스를 조사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1단계 공정의 세라믹 한외여과막과 2단계 공정의 나노여과막은 총부유고형물, 잔류유기물, 색도를 포함한 탁도의 제거 그리고 가성소다 용액의 회수에 적합한 공정구성임을 확인하였다. 한외여과막만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 총 부유물질과 탁도를 99.0%이상 제거하였고, 색도와 TOC는 각각 74.7%와 49.2%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에 세라믹 UF+NF 복합막 공정에서는 총 부유물질과 탁도를 99.9%이상 제거할 수 있었고, 색도는 87.7%, TOC는 78.2%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복합막 공정에서는 83.7%의 부피회수율일 때 91.3% 가성소다를 성공적으로 회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합공정을 통해 가성소다 폐수로부터 순도 높은 가성소다액을 회수할 수 있었으며, 회수된 가성소다액은 공정 내에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이득을 기대할 수 있다.

국산 지르콘사로부터 부분 안정화 지르코니아의 제조 및 그 응용에 관한 연구 I. 국산 지르콘사로부터 고순도 지르코니아 분말의 제조 (The Study on the Preparation of PSZ from the Domestic Zircon Sand its Applications I. Preparation of the High Purity Zirconia Powder form Domestic Zircon Sand)

  • 김환;선우식;신건철;황규홍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6-192
    • /
    • 1987
  • ZrO2 powders having high purity were prepared from domestic zircon sand using the caustic fusion method and the soda ash sintering process. In the caustic fusion method, ZrO2 recovery was reached to 96% when 100/140 mesh zircon was reacted with NaOH at the NaOH/Zircon mole ratio 6 and at 650$^{\circ}C$ for 2 hours. And in the soda ash sintering process, ZrO2 was recovered to 88.5% when -325 mesh zircon was reacted with Na2CO3 at the Na2CO3/Zircon mole ratio 1.1 and 1050$^{\circ}C$ for 2 hours. In both cases, Zr component was extracted to ZrOCl2, subsequently crystallized to ZrOCl2$.$8H2O to increase the purity, and converted to ZrO2 by precipitation. And to increase the sinter ability of powder, Cl- ion was removed and strong agglomeration was avoided by methanol distribution of Zr(OH)4 precipitates.

  • PDF

전기분해법(電氣分解法)을 이용(利用)한 무전해(無電解) 니켈 도금폐액(鍍金廢液)으로부터 니켈 회수(回收) (Recovery of Nickel from Electroless Plating Wastewater by Electrolysis Method)

  • 이화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2호
    • /
    • pp.41-46
    • /
    • 2012
  • 전해채취법을 이용하여 무전해 니켈 도금폐액으로부터 니켈을 회수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가성소다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무전해 니켈 도금폐액중의 니켈을 수산화물 형태로 침전분리하였다. 또한, 니켈 수산화물을 황산 용액으로 용해시킨 니켈 수용액을 대상으로 전기분해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pH 10 이상으로 조절하면 99% 이상의 Ni을 수산화물로 침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니켈 수용액으로부터 전해채취를 통한 Ni의 석출시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전류효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용출법에 의한 폐광산 광미중의 비소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Arsenic From Closed Mine Tailings by Alkali-Leaching Method)

  • 이재령;오종기;이화영;김성규;박재구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3-79
    • /
    • 1997
  • 알칼리용출법을 사용하여 폐광산 광미로부터 비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시료는 오래전에 폐광된 폐광산인 다덕광산 및 유천광산에서 채취한 광미를 사용하였으며, 알칼리용출액으로는 가성소다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알칼리용출후 용액중의 비소 성분은 칼슘비소화합물 형태의 불용성 침전물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 제거할수 있었다. 실험결과 침출조건에 따라 약 60∼90%의 비소침출율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0.5N이상의 가성소다 농도에서는 침출율에 대한 온도 및 슬러리 농도의 영향이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용출시 소모되는 알칼리 양이 별로 크지 않기 때문에 0.5N이상의 가성소다 용액을 사용할 경우 용출액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소 침전실험 결과 침출액에 대하여 2wt% 염화칼슘을 첨가함으로써 침전시간 10분이내에 99%이상의 비소 침전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디메틸설폭사이드와 에탄을 혼합용매에 용해된 폴리비닐알코을올 용액의 유변학적 성질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the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PVA) in dimethylsulfoxide(DMSO) and Ethanol(EtOH) mixed solvents)

  • 김학성;김병철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5-218
    • /
    • 2002
  • Poly(vinyl alcohol)(PVA)는 1924년 W. O. Herrmann과 W. Haehnel이 Poly(vinyl esters)를 caustic soda 용액에서 비누화하여 합성한 뒤 많은 연구 및 사용되어지고 있는 고분자이다. 환경친화적이고, 인체에 무해하여 인공관절, 콘택트 렌즈 등에 이용이 되고 있다. 특히 구조가 선형적이고 zig-zag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고강도, 고탄성을 갖는 섬유의 제조가 가능한 소재이다[1]. PVA섬유의 제조는 용매를 이용한 습식방사 및 겔방사로 섬유를 제조한다. (중략)

  • PDF

맥주 공장 부산물 효모의 최적 자가 소화 조건 결정 (Optimization for Autolysis of Brewers Yeast Slurry)

  • 손상목;김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1-205
    • /
    • 2003
  • 맥주 공장 부산물 효모의 용도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효모 슬러리를 자가 소화시키고 상등액을 농축하여 조미료로 이용할 수 있는 효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맥주 효모의 세포벽에 부착되어 있는 호프 쓴맛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효모 슬러리에 20%(w/v) NaOH 용액을 가하여 pH 9.8로 맞추고, 약 5분간 방치한 후 즉시 원심분리하면서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 후 효모 쓴맛 정도는 24.1 bitterness unit(BU)로서 threshold value 25.0 BU 미만이었다. 세척한 효모를 자가 소화시킨 후 수율[(수득한 효모추출물의 고형분 무게)/(투입 효모슬러리의 고형분 무게)${\times}100$]을 조사한 결과, 효모슬러리 농도를 $9{\sim}10%(w/w)$로 하고, 온도 $53^{\circ}C$, pH 6.8에서 20시간 이상 자가 소화시키면 34%(w/w)이상, 최대 38%(w/w)까지의 수율로 효모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홍천산 모나자이트의 가성소다 분해 및 침출 (Caustic Soda Decomposition and Leaching of Monazite in Hong-Cheon Area Deposit.)

  • 김준수;윤호성;김성돈;김철주;이진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4호
    • /
    • pp.11-1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홍천산 모나자이트 정광의 가성소다 분해 및 분해산물의 염산 침출에 대한 처리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분해 반응의 조건은 입자크기의 -200 mesh 이하이면 적절하였고, 반응온도 $460^{\circ}C$부근에서 원활한 분해가 이루어 졌으며, 가성소다 첨가량은 NaOH/TREO mole ratio 6정도가 효과적이다. 또한 침출반응의 조건은 염산농도 8N 및 반응온도 $80^{\circ}C$이상이 침출에 적절하였으며, 반응시간 2시간 및 광액 농도 10%가 효과적이다. 그리고 최적조건하에서 모나자이트의 분해 침출율은 90%이상이였고, 부산물 형태로 인산소다 화합물은 효과적으로 회수하였으며, 희토류 원소별 분리에 적합한 시료용액을 조제하였다.

Evolution of the Hanji-making Technology,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 Oh-Kyu LEE;Seokju KIM;Hyung Won LE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6호
    • /
    • pp.509-525
    • /
    • 2023
  • This study has delved into the evolution of Hanji-manufacturing molds and technique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aiming to uncover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Hanji-making techniques. In the absence of records on Hanji-making, various ancient documents, rare books, and documen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mong other artifacts and relic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a sudden significant transformation occurred in the Hanji fiel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oda ash and caustic soda were commonly used for the pretreatment of White bark. Furthermore, a chemical bleaching powder was introduced for the pretreated White bark. Additionally, manual beating of the bark was replaced by mechanical beating methods. While these changes brought convenience to papermakers, they also resulted in a deterioration of Hanji quality.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 term "Hanji" has been in use since at least 1908. Furthermore, this study clarified that Heulimtteugi is not the only traditional Hanji-making method in Korea. Instead, there existed Korea's own traditional Gadoomtteugi method, at least up to the 1930s, before the Japanese-style Gadoomtteugi became common in Korea. Additionally,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raises the possibility of the adoption of mold-hanging techniques into Korea's Heulimtteugi method from foreign sources.

머서화 가공(加工) 면직물(綿織物)의 KES에 의(依)한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과 태(態)의 변화(變化)에 대(對)한 연구(硏究) (Hand and Physical Properties of Mercerized Cotton Fabric using KES)

  • 최정임;김종준;전동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1호
    • /
    • pp.125-135
    • /
    • 2007
  • Each cotton fiber is a unicellular hair collected from the seed of cotton plant. The fiber contains many convolutions along its length. Mercer was the first to suggest caustic soda treatment of cotton in commercial application. Mercerization has been commercially used since Lowe's suggestion to endow cotton with increased strength and affinity for dyes with additional properties such as fabric touch or luster. In this study, cotton fabric specimens were merceriz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pertaining to the hand or touch of fabrics.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using the KES(Kawabata Evaluation System).

Pozzolanic reaction of the waste glass sludge incorporating precipitation additives

  • You, Ilhwan;Choi, Jisun;Lange, David A.;Zi, Goangseup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7권2호
    • /
    • pp.255-269
    • /
    • 2016
  • The waste glass sludge is a waste produced in the glass industry. It is in a dust form and disposed with water. In the disposal process, various cohesive agents are incorporated in order to precipitate the glass particles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ozzolanic reaction of the waste glass sludge incorporating precipitation additives experimentally. The consumption of calcium hydroxide, the setting tim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pore structure were tested for two different types of the waste glass sludge depending on whether precipitation additives were used. It was found that the waste glass sludge incorporating the precipitation additives had a higher pozzolanic potential than the reference waste glass sludge without precipitation addi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