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sality

검색결과 905건 처리시간 0.032초

R&D 투자와 기술무역 간의 인과관계 분석 (A Causality Analysis between R&D Investment and Technology Trade)

  • 박철민;구본철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2호
    • /
    • pp.91-113
    • /
    • 2016
  • 본 연구는 R&D 투자와 기술무역 변수들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연구개발 활동의 촉진과 기술무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정부 R&D 투자, 민간 R&D 투자, 기술도입, 그리고 기술수출로 구성된 다변량 모형을 설정하고, 오차수정모형을 토대로 Granger-인과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기적으로는 총 5개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적으로는 정부 R&D 투자에서 기술수출로의 인과관계를 제외한 11개의 관계에서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변수들이 특정변수의 충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R&D 투자와 기술무역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그 관계를 명확히 하고,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개발 활동 및 기술무역진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및 자연에 대한 종합적 관점 조사 (Comprehensive Presuppositions Regarding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Held by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홍행화;박종원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54-469
    • /
    • 2014
  • 교사 개인의 자연 및 과학에 대한 관점은 학교교육과정에서 교육받기 이전부터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 및 일상생활 속에서의 경험 등을 통해 형성되어, 과학학습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 과학의 인과성, 그리고 자연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자연에 대한 81개의 진술문이 사용되었고, 12명의 과학교사가 각 진술문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응답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교사의 관점을 유형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그리고 자연에 대해서 교사의 관점이 크게 5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유형별 특징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리고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자연에 대한 관점들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앞으로도 교사의 다양한 관점을 상호 연관지어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철도기관사의 사고, 우울감, 인지실패 간의 인과관계 검증 (The Verification of Causality among Accident, Depression, and Cognitive Failure of the Train Drivers)

  • 노춘호;신택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109-115
    • /
    • 2016
  • 본 연구는 철도기관사에 의해 유발되는 사고와 우울감 및 인지실패 간의 관계를 '우울감 ${\rightarrow}$ 인지실패 ${\rightarrow}$ 사고'의 인과관계로 접근하는 연구모형 1과 '사고 ${\rightarrow}$ 우울감 ${\rightarrow}$ 인지실패'의 인과관계로 접근하는 연구모형 2로 설정하고 어느 모형이 타당한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현직 철도기관사 416명의 설문응답 유효데이터를 토대로 검증한 결과 후자의 연구모형, 즉 '사고 ${\rightarrow}$ 우울감 ${\rightarrow}$ 인지실패'의 인과관계에서 사고가 우울감을 매개로 하여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모형 2가 통계적으로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인적오류와 관련하여 사고와 우울감의 인과관계 측면에서 접근하고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할 때 궁극적으로 기관사의 실수와 인지실패를 저감시킴으로써 인지실패로 인한 사고와 인적 오류의 확률을 그만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산업의 경제 성장과 IT 투자: 경제 성장은 IT 투자의 효과인가, 아니면 IT 투자 결정의 요인인가? (Industrial Economic Growth and IT Investment: Is Economic Growth an Effect of IT Investment, or a Determinant of Decision-making for IT Investment)

  • 이상호;유영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85-202
    • /
    • 2017
  • 생산함수이론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연구는 IT활용의 결과로 경제 성장을 보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들은 경제 성장을 IT 투자의 결정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결과가 산업 수준에서도 유효한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미국의 1997년부터 2007년까지의 산업 자료를 이용하여 양방향 인과성 분석이 가능한 그레인저 인과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많은 산업에서 IT 투자는 경제 성장에 영향을 주었으며, 몇몇 산업에서 경제 성장이 IT 투자에 영향을 주었으며, 몇몇 산업에서는 IT 투자와 경제 성장은 아무런 영향 관계가 없었다. 산업 수준의 IT자본과 산업총생산을 국가 수준으로 합산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IT 투자와 경제 성장은 어떠한 영향 관계가 없었으나, 산업 특성과 시간 특성을 고려하는 산업 수준의 패널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양방향 인과 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IT 생산성 역설의 이유였을 수도 있다.

한국의 경제성장과 전력수요간의 인과성에 관한 연구: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Investigation on Granger Causality between Economic Growth and Demand for Electricity in Korea: Using Quarterly Data)

  • 백문영;김우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1호
    • /
    • pp.89-9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의 경제성장과 전력수요 사이의 Granger-인과성을 조사한 것이다. 실증분석을 위해 1970년 1분기부터 2009년 4분기까지의 분기별 실질 GDP와 전력소비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였다. 두 시계열에 단위근이 존재하고 공적분 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후 오차수정모형을 구성하였으며, Hsiao (1979)의 순차적 모형식별 과정을 적용해서 자기회귀항의 최적시차를 결정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다. Hsiao 방식의 Granger-인과성 분석결과, 한국의 경제성장과 전력수요는 양방향의 인과관계를 보였다. 추정된 개별 오차수정모형을 기반으로 Engle-Granger 방식의 추가적인 인과성 분석 결과로부터는 (1) 경제성장과 전력수요 사이의 단기적인 양방향성 인과관계, (2) 양방향성 강 인과관계, 그리고 (3) 장기적으로는 전력수요로부터 경제성장으로의 단방향성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상반되는 것이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한국의 상황에서 더 의미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On causality in a space-time

  • Kim, Jin-Hwan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83-788
    • /
    • 1996
  • We study some causality characterizations in a space-time by considering chronological common future (or past) sets and indecomposable sets that are important roles in studying causal boundary structure of the space-time.

  • PDF

수입 수산물과 국내산 수산물의 가격간 유통단계별 인과성 분석 : 명태, 갈치, 조기 냉동품을 대상으로 (A Causality Analysis of the Prices between Imported Fisheries and Domestic Fisheries in Distribution Channel)

  • 차영기;김기수
    • 수산경영론집
    • /
    • 제40권2호
    • /
    • pp.105-126
    • /
    • 2009
  • This study applies the cointegration theory to analyse the causality of the prices between imported fisheries and domestic fisheries in distribution channel. We've focused on the prices of import, wholesale and retail about the frozen Alaska pollack, hairtail and croaker which take up high portion and are popular among most of the consumers. In process of analysis, the unit root test was adopted to find the stability of time series data prior to the cointegration test. If the time series data was found as stable one in unit root test, we should analyse the VAR model. If unstable, the cointegratioin test was adopeted to find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When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the price of the import, wholesale and retail price, the VECM model was adoped. If not, the differenced VAR model was adop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VAR model, time series data of frozen Alaska pollack was found as stable and has causality relationship and close effect was existing among the import, wholesale and retail price. Second, the data of frozen hairtail was found as an unstable one in unit root test and the result of cointegration test showed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t lag 1. From the results of VECM model, we could find that the coefficient of error correction is effective, and the sign is negative(-). It means that the existence of adjustment tendency to long-run equilibrium after a short-run deviation. But the short-run causality of the prices were not found except the price of wholesa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fferenced VAR model, data from frozen croaker did not have the stability and long-run equilibrium.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import price has a weak causality on the retail price. Because of having difficulties in collecting data, the result of this paper could not expla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ices of import, wholesale and retail perfectly. However, it more or less contributed to a long-lasted debate on the direction of causality of price-setting in academic research and provided a useful guide for the policy makers in charge of the price-setting of fisheries products as well.

  • PDF

글로벌경제위기에서 콜금리와 환율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ausality between call rate and exchange rate under global economic crisis)

  • 신양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4호
    • /
    • pp.655-660
    • /
    • 2009
  • 최근의 글로벌경제위기 상황에서 국내 금융외환시장이 높은 환율변동을 보이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 금리, 환율 등 가격변수들의 움직임 및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시장을 중심으로 환율, 금리의 추이 및 인과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글로벌경제위기 상황에서 원/달러환율, 콜금리의 움직임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을 알아보고, 교차상관분석 및 그랜저 인과관계검정 등을 이용하여 두 변수간의 상호연관관계에 대하여 선도/지연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PDF

뇌 신호원의 시계열 추출 및 인과성 분석에 있어서 ICA 기반 접근법과 MUSIC 기반 접근법의 성능 비교 및 문제점 진단 (Comparison of ICA-based and MUSIC-based Approaches Used for the Extraction of Source Time Series and Causality Analysis)

  • 정영진;김도원;이진영;임창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9-336
    • /
    • 2008
  • Recently, causality analysis of source time series extracted from EEG or MEG signals is becoming of great importance in human brain mapping studies and noninvasive diagnosis of various brain diseases. Two approaches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analyses: one is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and the other is multiple signal classification (MUSIC).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however, any comparison studies to reveal the difference of the two approaches have not been reported.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he two different techniques, ICA and MUSIC, especially focusing on how accurately they can estimate and separate various brain electrical signals such as linear, nonlinear, and chaotic signals without a priori knowledge. Results of the realistic simulation studies, adopting directed transfer function (DTF) and Granger causality (GC) as measures of the accurate extraction of source time series, demonstrated that the MUSIC-based approach is more reliable than the ICA-based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