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sal Model Analysis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27초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 영향요인 및 인과구조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Affecting Factors and Causality of Job Search Intention among Expectant Graduates from University)

  • 유일;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98-212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밝히고, 요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방 국립대 4학년 재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효능감은 구직네트워크와 구직제약성의 구직의도에의 효과에 매개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구직명료성은 구직의도에의 직접 효과는 없었지만, 구직효능감을 통한 정(+)의 간접효과를 보여 주었다. 둘째, 구직태도와 구직효능감은 구직의도에 정(+)의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구직 제약성은 구직태도에 부(-)의 영향을 주고 있으며, 구직네트워크와 구직제약성은 구직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구직네트워크와 구직효능감의 향상은 구직명료성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효능감 향상과 긍정적인 구직태도의 함양 및 구직관련 사회관계망의 확보가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상용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 (The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Based on Automobile Industry)

  • 김광석;정호진;장용재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235-262
    • /
    • 2012
  • 기술을 상용화하는 것은 기업의 성패 및 경쟁우위 확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역이지만, 개발된 기술이 상용화되는 비율은 매우 낮다. 이는 기술상용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즉, 결정요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산업을 바탕으로 기업 내 의사결정권자의 기술상용화에 대한 태도, 기술의 질적수준, 시장지향성, 정부의 지원수준의 측면에서 기술상용화의 영향요인들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증하고, 각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해주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더욱이 제안한 모형이 기업능력수준과 산업분야에 따라 다른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들을 조절변수로 상정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시장지향성과 정부의 지원수준은 기술상용화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었다. 이 때 경영진의 태도는 시장지향성의 선행변수로, 기술수준은 정부 지원수준의 선행변수로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업능력은 경영자의 태도, 시장지향성, 기술상용화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산업분야는 기술의 질적수준이 정부의 지원수준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학문적 실무적 공헌을 자세히 서술하였으며, 한계점을 바탕으로 한 추후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PDF

럭셔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명품화가 고객의 웰빙 지각도, 호의적 평가, 정서적 몰입 및 헌신적인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의식도의 조절 효과 (The Impact of Brand Prestige on Patrons' Perception of Well-Being, Favorable Inequity, Affective Commitment, and Dedicational Behaviors in Luxury Restaurants: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Consciousness)

  • 현성협;황진수;이상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8-45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럭셔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명품화가 고객의 웰빙 지각도, 호의적 평가, 감정적인 충성도, 그리고 헌신적인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마케팅 개념들간의 이론적 인과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11 개의 가설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고객들의 브랜드 의식도가 조절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이론적 가설이 제시되었다. 도출된 이론적 가설들을 종합하여 구조 모델이 도출되었으며, 이 개념적 모텔은 527명의 미국 럭셔리 레스토랑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수거된 데이터로 검증되었다. 데이터 분석에는 AMOS 6.0 버전이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분석 결과, 럭셔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명품화는 고객의 웰빙 지각도와 호의적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결국 두가지 헌신적 행위(enhancement와 advocacy)를 유도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 과정에서 고객들의 브랜드 의식도는 조절 효과로 작용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탈성매매여성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 접근 - (A Study on the Readaptation of the Women Who have Engaged in Prostitution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 김영숙;이근무;안준리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429-455
    • /
    • 2008
  • 본 연구는 성매매 경험여성들의 사회재적응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 구성과 당사자들의 사회재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스트라우스와 코빈(1990)이 제안했던 근거이론방법을 선택했다. 원자료는 심층면담과 문서기록수집, 관찰을 수행하여 수집했다. 자료분석은 지속적 비교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에는 성매매에 종사했던 9명의 여성들이 참여했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 단계에서 116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은 적대적 환경과 스스로 찍은 낙인으로 했다. 현상은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기로 했다. 맥락적 조건은 가족응집, 위축된정서, 떠밀림으로 했다.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기회복욕망, 반동적 재구성으로 했다. 결과는 심리적 나그네와 더듬이 살이로 했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 고르기와 유형분석을 했다. 핵심범주는 생활세계로 부터의 떠남과 귀환의 반복으로 했다. 유형은 현실안주형과 자기엄폐형으로 분류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역사회기반의 사례관리모델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체험경제이론의 체험유형이 치유농업참가자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Experience Types of Experience Economic Theory on the Revisit Intention of Healing Agricultural Participa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action)

  • 이상혁;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6호
    • /
    • pp.213-227
    • /
    • 2021
  • 최근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제정·시행으로 정부 전담 조직의 구성 및 전문 인력 배출 등 법적토대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국내 치유농업에 대한 연구는 해외 사례 소개 및 국내 여건 조사 등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참가자를 대상으로 치유농업시설 재방문의도와 인과성이 있는 요인을 규명하고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치유농업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설체험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체험유형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체험유형의 하위변수를 교육적체험, 일탈적체험, 오락적체험, 심미적체험으로 구분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치유농업프로그램 체험자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25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PROCESS macro v3.4와 SPSS v22.0를 사용하여 매개변수가 단수인 단순매개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체험유형 모두가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유형과 독립적으로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유형 모두가 재방문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도는 체험유형 중 일탈적체험을 제외하고 체험유형과 재방문의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 체험의 구체적인 체험특성을 기반으로 참가자들의 행동을 규명한 실증분석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또한, 치유농업 참가자의 지속적인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 개발과 치유농업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로는 조절변수가 도입된 조건부과정 모형을 통한 조절된 매개분석이나 연구에서 도입된 매개변수 외에 다른 매개변수의 발굴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헤어살롱 서비스스케이프 차별화 성공사례 ("Servicescape" Differentiation in a Hair Salon)

  • 이상현;박철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9호
    • /
    • pp.71-79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changes in the differentiated "servicescap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hair salon industry using a case study. For this, we selected hair salon M located in Suwon. The shop is innovatively different from existing shops in terms of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We conducted in-depth research, beginning with the launch of the shop concept through investment and ongoing stable sa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M hair salon is a start up shop providing a differentiated servicescape (physical environment where the service takes place) located in Suwon, Yeongtong-gu. We conducted research to investigate how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of the servicescape impact customers' perceived quality. The interview period and case analysis was May 2014 through March 2015, covering 11 months. To conduct the case analysis, we analyzed the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of existing shops and interviewed customers and expert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hair salon M and existing shops. Results - Our results found clues to the positive effect of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among servicescape factor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at the salon. The shop showed a fast payback of the principal investment, growth potential in contrast to competitors near the salon, and 45 percent returning customers. The problem with the spatial layout at existing shops was that customers were aware of the way other people were looking at them, since viewing angles overlapped, therefore there was a limitation to the relationship intensity with an exclusive hair designer. In contrast, the layout of the stands at the M salon kept the number of dressing stands limited to maximize th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dditionally, because of the new layout of dressing stands hiding other customer voices and appearance in the salon, customers perceived their service space as independent. Therefore, they did not have to focus on their personal emotional response, which was one of the advantages of the new layout. Conclusions -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y analysis by offering a new perspective focusing on spatial layout, previously not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of quality evaluat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existing literature on hair salon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offering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overlooked physical environment and a customer's perceived quality. However, a process objectify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hypotheses is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ase study approach and generalize the results. Moreover, it would be beneficial to conduct further empir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layout provided in the case and a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and change in mood. In addition, an analysis is needed regarding how customers feel about the factors using the Kano Model. These suggestions w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study.

이태리 레스토랑 종사자들의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Leadership Types in Italian Restaurants)

  • 임성빈;김판진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2호
    • /
    • pp.35-43
    • /
    • 2012
  •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ypes of leadership on the employees of Italian restaurants, its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tilizing a causal assessment model.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type of leadership perceived in the manager or chef by an Italian restaurant's employees, and its efficacy were parameters, and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the variables representing the results in the hypothesis. The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by verifying the leadership via efficacy and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Italian restaurant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specific questionnaire items wer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theory and efficacy of the study. From a questionnaire used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mprising 22 questions, six were modified to suit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figured questionnaire comprised 5 parts and 40 items. A Likert (Likert) 5-point scale was utilized to measur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items from the employees of an Italian restaurant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44 collected.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18.0 and AMOS18.0.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Results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summary and suggeste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ed to analyze the kind of effec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in Italian restaurant employees had on self-efficacy, group-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dicated tha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ch as, idealized influence, inspirational motiv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idealized influence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Idealized influence, individual consideration, conditional reward, and management by exception also positive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altruistic and conscientious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s - Results suggest that with regard to self-efficacy and group efficacy, managers in different departments and chefs should provide team members with a vision for the future, increase their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and build their trust in the organization. By evaluating employee performance and experiences, management can demonstrate leadership and encourag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enjoyable, voluntary participati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s effective in group processes that include social-exchange relationships, self-efficacy and group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as this research study utilizes only self-reported data, it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a vulnerability of errors caused by the various experiment types. A significant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lack of potential for the duplication of result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however, provides complementation to limit the impact of errors from self-reporting studies. A future study can extend this research by utilizing different data collection methods.

  • PDF

우리나라 사회복지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경험분석연구를 중심으로 - (A Critical Analysis on Social Welfare Researches in Korea)

  • 김연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85-105
    • /
    • 1998
  • 본 연구는 1979년 이후부터 1997년까지 <한국사회복지학>에 게재된 경험분석연구논문 총 125편을 이론화를 위한 연구경향과 방법론적 특성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경험연구편수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경험연구점유율은 평균 42.7%에 이르렀다. 분석결과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제성과 협업성, 선정된 연구주제, 산출지식의 성격 등의 측면에서 분석해 본 결과 사회복지학의 실천성은 아직 확보하지 못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구들은 개별화된 주제와 서로 다른 분석들에 의해 수행되어 그 결과들은 서로 단절되어 있었으며 연구주제들의 집락형성도 극히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밝혀져 경험분석연구들에 한정시켜 볼 때 우리나라 사회복지학 연구들은 아직 이론화의 과정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는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첫째, 경험연구의 방법론적 패러다임은 양적 방법론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상황으로서 새로운 인식론에 대한 수용이 다른 분야에 비해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넷째,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의 경험연구단계는 형상서술적 단계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모 브랜드-일치성이 확장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Parent Brand-Congruity on the Attitude to Expanded Brand)

  • 강민정;황희중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77-89
    • /
    • 2019
  • Purpose -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parent brand -functional congruity,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extension product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for preceding concepts having a direct effect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the study focuses o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It also looks at the effect of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extension product and identifies if the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 is a concept playing a mediating role betwee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or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produc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SPSS for Windows 18.0 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n,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obtained using SPSS for Windows 18.0 to measure reliability. In addition, the convergence and discriminative measures of the measured item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using AMOS 18.0. Finally, we have validated a path model and a parameter model in which brand personality-self-matched attitude toward brand extension. Results -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mpact of parent brand-self image consistency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nsistency on the attitude of extended products was positive.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s has been shown to play a role of intermediary between parent brand-self image congruence and consumer attitudes to extended products. However, perceived fit between parent brand and extension products did not play a role as intermediary between the parent brand-functional congruity and the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product. Finally, in relation 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 brand-congruity (self image/functionality) and attitudes to extended products. The effect of parent brand-functional coherency on attitudes toward extended products was found to be greater in groups with higher involvement than in those with lower involvement. Conclusions - Although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what variables mediated when parent brand-self image consistency and parent brand-functional coherency affect consumer attitud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finding whether perceived fitness between the parent brand-congruity and the extension product is mediated.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기술혁신 장애요인에 따른 혁신원천 및 정부지원제도 활용과 혁신성과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Use of Innovation Source and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n Technology Innovation Performance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 강승규;황서연;박재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73-388
    • /
    • 2018
  • 최근 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생존에 있어 기술혁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반면 기업이 직면하는 기술혁신 장애요인도 다양해지고 있다.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기술혁신 장애요인을 해소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다양한 내 외부 혁신원천과 정부지원제도의 활용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다만 단순한 인과모형에 기반해 변수간의 다양한 관계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 같은 선행연구의 지적에 바탕하여 본 연구에서는 혁신활동 수행에 있어 기업이 직면하는 기술혁신 장애요인을 OECD의 오슬로 매뉴얼(Oslo manual)과 다수 선행연구에 근거해 재무적 요인과 기술역량, 시장/제도관련 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들 요인 간의 상호종속적 관계를 고려하여 혁신원천과 정부지원제도 활용 그리고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에 기반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는 "2014 한국기업혁신조사: 제조업 부문"결과에서 결측치를 제외한 1,251개의 관측치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금, 역량, 시장 등 기술혁신 장애요인은 혁신원천과 정부지원제도 활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업이 활용한 다양한 혁신원천과 정부지원제도는 기술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기술혁신 장애요인 중에서는 자금이 가장 부정적으로 기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