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aloging Korean Material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비도서자료의 목록규칙에 관한 고찰 -AACR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ataloging Codes of Nonbook Material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 강미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17-146
    • /
    • 1984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all forth a special attention to nonbook materials as part of library materials and to improve its bibliographic study of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concern the cataloging codes of nonbook materials in Anglo-American tradition for discussion, analyses and comparison. Furthermore, an emphasis was made on the general historical development of nonbook cataloging codes mainly used in U. S. and its impact on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AACR). In addition, in the part III of AACR1, several controversial issues will be argued for further revision in provision. As shown in the revised Chapter 12 of AACR 1, this thesis will try to identify common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standard cataloging codes. It will require a comparison of various subjects with three other leading international cataloging codes, served as the principal sources of information for the revision. And my final discussion will be argued for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AACR 1 and AACR 2 with exemples.

  • PDF

녹음자료의 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aloging of Sound Recording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5-15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ness and problem areas in cataloging rules of sound recording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and kinds of sound recordings and the cataloging rules related to sound recordings in non-book cataloging rules are examined first as the backgrounds. Then the sources of information,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physical description, choice of headings, and uniform titles in ISBD(NBM)·AACR2R·AECT4 and KORMARC(NBM) are analyzed. And the special issues and som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cataloging of sound recordings are presented.

  • PDF

비도서자료의 편목정책과 기술규칙 (Cataloging Policy and Descriptive Cataloging Rules for Non-book Materials in Korea)

  • 조명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83
    • /
    • 1996
  • 모든 편목절차는 편목정책에 근거하여 행해져야 하므로 일관성 있고 발전적인 비도서자료의 편목을 위하여는 비 도서자료의 편목정책의 결정이 우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비도서자료의 편목정책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기술편목의 제반사항을 조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도서자료의 기술편목과 서지통정에 문제가 되는 영역을 조사하고 편목기술규칙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비도서자료의 편목정책에 반영하여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국내 비도서자료편목의 표준도구가 될 KORMARC기술규칙(안), 비도서자료용이 최근 제안되었으므로 이를 검토하고 필요한 부분은 AACRER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최종 규칙제정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도서자료의 주제접근을 위한 원칙과 도구 및 제 문제점들을 논하였다.

  • PDF

저작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한 FRBR의 목록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RBR Implementation to Catalog by Using Work Clustering)

  • 이미화;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5-82
    • /
    • 2008
  • 검색 자원의 증가와 멀티 버전 자료의 증대에 따라 목록의 기능 중 집중기능이 필요하게 되면서,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이 제안되었으나, 기존 서지데이터를 FRBR로 변환시 불완전함과 FRBR을 구체화할 목록규칙의 부재 등 현행 목록데이터를 FRBR로 완벽히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FRBR을 온라인목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기존 MARC 데이터를 FRBR 알고리즘으로 처리해야 하지만, 기입력된 MARC 데이터와 현행 목록규칙은 FRBR을 완벽히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FRBR로의 변환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목록규칙과 MARC 기술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에 FRBR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FRBR 알고리즘을 실재 목록시스템에 적용하여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고는 FRBR을 목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FRBR을 위한 목록규칙과 MARC 데이터 기술 방안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FRBR을 위한 저작 표현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재 도서관 시스템에 적용하여 저작의 집중도와 적용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FRBR의 저작 집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목록규칙과 MARC 입력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의 경험과 교훈 (Lesson from the Cataloging Experience on Multicultural Collection)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7-420
    • /
    • 2008
  • 이 연구는 최근 다문화도서관이나 도서관에서의 다문화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아시아공동체 부설 국제어린이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1만 여권의 다문화 장서에 대한 목록 구축 경험에 기초하여 향후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적용할수 있는 체험적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1) 그동안 다문화 장서의 목록 구축에 관한 국내외 도서관계의 기존 논의를 추적하고, (2)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그리고 민간도서관에서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 장서 목록 구축의 사례와 북미 도서관계의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본 다음, (3) 실제 목록 구축의 경험을 통해 향후 우리 도서관계에서 다문화 장서의 목록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MARC 포맷과 표기법(表記法) (On the Influence of Pronunciation and Scripts on the MARC Formats)

  • 오동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3-49
    • /
    • 1991
  • 동양에 있어서 전통적인 목록의 표기법 또는 독음(讀音)에 대한 처리문제가 MARC 포맷에 어떻게 반영되고 포맷 자체에 어떠한 영향을 마치고 있는지를 목록이론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동양삼국의 관련 규칙을 검토하고, 각국의 MARC 포맷과 USMARC 및 UNIMARC 포맷을 아울러 비교분석하여, 각각의 개선 점을 제시하였다.

  • PDF

목록에서의 자료종별표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377-40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terial designation in library cataloging and to suggest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GMD) and Specific Material Designation(SMD) in Korean. A summary of the study follows. In library cataloging, methods of indicating the type of material are : (1) color-coding, (2) media code as part of the call number, (3) material designation in physical description area or note area, (4) GMD and SMD. GMD is a term indicating the broad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SMD is a term indicating the special class of material to which a bibliographic item belongs. GMD was listed in parenthesis following the title proper before AACR1975 code, but currently it is listed in square brackets after the AACR1975 code. AACR2 was the standard cataloging rule in GMD and SMD terminology. It is suggested that GMD be used in Korean for graphic material, sound recordings, drawings, microform, multimedia, videorecordings, manuscripts, photographs, slides, printed music, motion pictures, printed texts, objects, braille, cartographic materials, computer files and transparenies.

  • PDF

마이크로컴퓨터 소프트웨어에 관한 목록규칙의 형태사항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description area of cataloging rules on microcomputer software)

  • 신용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99-128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the each cataloging rules about the physical description area that generated the greatest controversy in the cataloging of microcomputer software, and to suggest solutions of these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Because the physical description area of materials is to identify the physical attributes of the carrier, file description might better described in the material specific details area. 2. Integrated software that related file is linked together need to be used terms that represented any type of software 3. It is desirable that the term 'computer' is to be used as a modifier to devide the carrier of microcomputer and other non book materials. 4. System requirements would better described in a note area rather than physical, description area. 5. It is desirable that other physical details such as recording density, tracks, etc., is to describe in the physical description area, since such information is to represent specifics of the carrier.

  • PDF

디지털 도서관을 위한 서지레코드 핵심데이터요소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core data elements of bibliographic record in digital library)

  • 김상미;남태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6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도서, 비도서자료 및 인터넷자원을 포괄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서지레코드 핵심데이터요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우해 현대 편목규칙의 기반이 되는 AACR2R의 기술사항, 목록의 비용효과를 효율적으로 거둘수 있는 미국국회도서관의 핵심레코드(Core Record), 인터넷자원을 기술하기 위해 제안된 더블린코어(Dublin Core) 메타데이터, KORMARC 등의 데이터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비교결과를 토대로 핵심데이터요소를 필수요소, 적용 가능한 경우에 필수요소, 선택요소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 PDF

종교 저작에 대한 한국목록규칙의 개정 방향과 범위 탐색 (Exploring the Revision Direction and Scope of the Korean Cataloging Rules for Religious Work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53-177
    • /
    • 2021
  • 한국목록규칙(KCR)에 대한 전면적인 개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룬 부분은 종교 저작에 관한 규칙이다. 종교 저작은 음악작품이나 법률 저작과 함께 IFLA LRM 개념모형을 지향하는 새로운 목록규칙에서도 특별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KCR2 이후에 접근점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국내의 경우, 종교 저작에 관한 기술과 접근점 규정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는지, 한다면 어떠한 내용과 범위를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하여, (1) 최근 개정을 완료한 목록규칙인 RDA와 NCR에 수록된 종교 저작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2) 실제 사례를 통해 종교 저작에 적용된 접근점과 그 기능을 검토한 다음, (3) 종교 저작에 대한 KCR4의 개정 방향과 범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종교 저작의 경우 동일 저작이 상이한 버전이나 표제를 가지는 경우가 많아 이를 집중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교 저작의 유형별로 우선표제의 선정과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규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KCR 개정과정에서 후속 논의가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제안하였다.